본문내용
1. 치과재료학의 정의와 치과위생사의 역할
1.1. 치과재료학의 정의
치과재료학의 정의는 치과위생사에게 반드시 필요한 학문이다. 치과진료실에서 치과위생사는 치과의사와는 다른 역할을 하지만, 치과재료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하고 숙지하고 있어야 내원하는 환자에게 보다 잘 설명하고 이해시킬 수 있다. 또한 치과위생사는 환자진료에 어느정도 직접 관여하며 이때 거의 대부분 치과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치과재료학을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한다. 비록 환자진료 내용이 아말감이나 복합레진의 연마 정도의 과정이라고 하더라도 이 과정은 이들 재료의 수명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 더욱이 치과의사의 진료를 보조해야 할 때 치과위생사가 다루어야 할 치과재료는 다루는 방법에 따라서 환자의 치아나 수복물의 수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1.2. 치과위생사의 역할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치과재료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치과재료의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하여 환자진료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치과위생사는 환자진료에 직접 관여하게 되므로 거의 대부분 치과재료를 사용하게 된다. 비록 단순한 과정이라도 이러한 과정은 치과재료의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치과의사의 진료를 보조해야 할 때 치과위생사가 다루어야 할 치과재료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환자의 치아나 수복물의 수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는 각종 치과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방식을 갖추어야 한다.
2. 치아의 특수성
2.1. 치식과 치아의 수
치식과 치아의 수는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치식은 상악과 하악의 치아배열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성인의 경우 2 1 2 3 의 형태를 가진다"" 치아의 수는 대부분 28-32개이며, 이중 전치 8개, 소구치 8개, 대구치 12개로 구성된다"" 사람의 치아는 단단하고 단독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생명체이며, 재생이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치아는 인체에서 독특한 지위와 역할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구조물이다"" 치아는 대부분 28-32개로 구성되며, 상악과 하악에 각각 14-16개씩 배열되어 있다"" 치식은 상악과 하악 치아의 배열 형태를 나타내는데, 성인의 경우 2 1 2 3의 치식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전치부의 절단면과 구치부의 교합면이 균형을 이루어 저작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이다""
아울러 치아는 단단한 법랑질과 상아질로 이루어진 층상 구조를 가지고 있어 마모에 강하고 치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치아는 재생이 불가능한 생물학적 구조물로, 한 번 상실되면 자연적으로 재생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2.2. 치아의 특성
치아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치아는 흰색을 띠어 심미적인 기능을 한다.""
둘째, 각각의 치아는 고유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사람마다 그 형태가 다르다.""
셋째, 치아는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치아는 매우 단단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다섯째, 치아는 살아있는 생물체이다.""
여섯째, 치아는 움직일 수 있는 운동성을 지니고 있다.""
일곱째, 치아는 재생이 불가능하다.""
여덟째, 치아는 법랑질과 상아질로 층상 구조를 이루고 있다. 법랑질은 매우 단단하여 마모에 강하지만 치근으로 교합압을 전달하여 해를 줄 수 있는 반면, 상아질은 상대적으로 연하여 이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홉째, 치아는 저작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기계적인 기능을 한다. 구치의 경우 77Kg의 압력을, 교두 1개당 1,970Kg의 압력을 견딜 수 있다.""
3. 구강 내 환경과 치과재료
3.1. 온도변화와 치과재료의 관계
구강 내 온도변화는 치과재료의 성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구강 내 온도는 약 5°C(얼음물)에서 70°C(뜨거운 커피)까지 변화가 심하다. 이러한 온도변화는 치과재료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에 변화를 초래한다.
우선 치과용 아말감 충전재료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치아와 아말감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미세누출과 이차우식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온도에 따라 아말감의 경도, 압축강도, 연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변화하여 충전물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과용 레진 수복재료 또한 구강 내 온도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가시광선 중합형 복합레진의 경우 중합 반응이 개시되는 온도 변화에 의해 중합도가 달라져 물성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화학중합형 복합레진도 온도에 따른 중합 속도의 차이로 인해 중합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치과용 인상재의 경우에도 온도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알지네이트 인상재는 물의 온도에 따라 경화 시간이 달라지는데, 물의 온도가 1°C 낮아지면 경화 시간이 약 6초씩 늦춰진다고 한다. 이처럼 부적절한 온도 조절은 인상의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강 내 온도변화는 치과재료의 물리적·화학적 성질 및 기계적 특성, 그리고 임상적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치과 술식 시 온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