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종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태권도의 역사와 현황
1.1. 태권도장의 역사
1.2. 태권도의 성장과 도전
1.3. 코로나19 사태의 영향
2. 태권도장 운영 실태 조사
2.1. 태권도장 경영 현황
2.2. 수련생 현황
2.3. 온라인 승품 심사
3. 태권도장 활성화 방안
3.1. SNS를 통한 홍보와 소통
3.2. 'Home Day' 운영
3.3. 보육 프로그램 개발
3.4. 마케팅 계획 재수립
3.5. 도장 연합 협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태권도의 역사와 현황
1.1. 태권도장의 역사
태권도장의 역사는 1945년 해방 전후에 생긴 5대 기간도장(基幹道場)에서 비롯되었다. 청도관·무덕관·송무관·조선연무관 권법부(지도관)·YMCA권법부(창무관)은 오늘날 태권도의 토대가 되어 모체관(母體館)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5대 기간도장이 1950년대 중반 분파되어 생긴 강덕원과 오도관, 정도관, 한무관을 합쳐 9대 중앙본관을 이루고, 또 여기서 40여 개의 작은 관이 생기면서 수백 개소의 지관(支館)을 형성하면서 태권도장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본관과 분관, 지관에서 태권도를 배운 청년들이 지도자 과정을 밟고 전국 각지에 도장을 개관한 것이다. 1967년 전국태권도장은 519개소였고, 1971년에는 1600여 개소로 수련 인구는 130만 명이었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2020년에는 초등생의 42%가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태권도장이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1.2. 태권도의 성장과 도전
태권도는 한국의 전통 무예를 바탕으로 발전해온 대표적인 무도이자 스포츠로, 그 명성과 위상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졌다. 특히 태권도가 1980년대부터 대외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잡게 되었다.
태권도는 1960년대부터 전국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고, 1970년대에는 전국적인 규모의 태권도 교류전과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태권도는 1973년 아시아태권도선수권대회, 1980년 모스크바올림픽 시범종목 채택, 1988년 서울올림픽 정식종목 채택 등 국제 무대에서 점차 그 위상을 높여갔다.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태권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됨에 따라 태권도는 세계적인 스포츠로 정착될 수 있었다. 이후 1994년 아시아경기대회, 2000년 시드니올림픽 등에서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국내외 선수들의 기량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 말부터 정부 차원에서 태권도 진흥 정책을 적극 펼치면서 세계 각국으로 태권도가 빠르게 보급되었다. 이에 따라 세계태권도연맹(WTF)이 1970년대 말에 결성되었고, 국제경기대회도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등 태권도의 국제화가 가속화되었다.
또한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태권도는 Korean Wave의 원조격인 국가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태권도가 K-Pop, 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와 결합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게 되었고, 이를 통해 한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이처럼 태권도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니면서도 시대의 변화에 맞춰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한국의 전통 무예를 계승하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점차 국제 스포츠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한국의 국가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는 태권도 관계자들의 노력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1.3. 코로나19 사태의 영향
코로나19 사태는 전국 태권도장에 큰 타격을 주었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태권도장들이 휴관하면서 수련생 감소와 경영 위기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태권도장의 87.2%가 정부의 휴업 권고 및 운영 중단 명령으로 2~8주간 운영을 중단했다. 이에 따라 태권도장의 수련생 출석률이 30% 미만으로 떨어졌다. 특히 초등학생이 주 수련...
참고 자료
임미화, 2019, 태권도사범으로서의 삶과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p.12~14
김혜경, 2008, 태권도 사범의 유형과 역할,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p.5~22
목진환, 2019, 태권도 사범의 직무만족도와 태권도장 활성화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p.4
이혜정, 2016, 태권도장 품새지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p.51~53
국기원, 전국태권도장 연합회 홈페이지 참조
TKD BOX 참조 : http://www.tkdbox.com/
김병식 외(2004). 스포츠 연구법. 서울: 대한미디어.
김대섭(2016). 태권도 용품에 센서 입히니 대박, 이진재 제미타 대표. 아시아경제.
김동성(2018). 대한민국 국기 태권도의 새로운 도약. 전라일보.
고광욱(2020) 코로나19 사회적 거리 두기 신체활동수칙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김남순(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보건ㆍ복지 Issue&Focus.
송민기(2020). 코로나19 재확산 및 경제 붕괴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조절 필요성. 주간금융 브리프.
채수미(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미래 질병 대응을 위한 과제. 보건ㆍ복지 Issue&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