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푸드뱅크에 대한 이해
푸드뱅크(food bank)는 개인이나 식품관련 업체로부터 먹을 수 있는 남은 음식을 기탁 받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하여 유용하게 활용하여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식품은행이다. 본래 미국에서 무료급식소(soup kitchen)의 자원봉사자로 일하던 헹겔(John Van Hengel)이 기탁된 식품의 보관과 분배를 위해 식품 전용창고를 마련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푸드뱅크 사업은 미국의 "제2의 수확(Second harvest)운동"의 차원에서 비롯되어, 잉여 농산물이나 낭비되는 음식물들을 수거하여 가난한 사람이나 열악한 복지시설에 무료로 배포하는 자원운동으로 1967년 미국에서 설립되었다. 우리나라의 푸드뱅크는 복지체계로 도입되기 전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라는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문제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IMF 위기를 맞으면서 실직 노숙자와 결식아동들을 위한 급식문제를 해결하는 사회복지적인 차원에서 푸드뱅크 사업을 실시하였다.
1.2.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푸드뱅크 사업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푸드뱅크는 개인이나 식품관련 업체로부터 남은 음식을 기탁받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함으로써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식품은행이다. 우리나라에서 푸드뱅크 사업은 199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푸드뱅크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다 발전적인 푸드뱅크 운영 모델을 마련하고자 한다.
1.3. 연구의 중요성
푸드뱅크 사업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을 지원하여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결식아동, 무의탁 노인, 노숙인 등 끼니조차 해결하기 힘든 결식계층이 많이 늘고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푸드뱅크는 식품을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기본적인 영양 문제를 해결해주고 있다. 이를 통해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이다.
둘째, 음식물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돈으로 환산하면 약 14조 7천억 원이며, 이에 따른 처리 비용만도 4천억 원에 이른다. 푸드뱅크는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적 및 환경적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이다.
2. 푸드뱅크의 개요
2.1. 푸드뱅크의 정의
푸드뱅크(food bank)는 개인이나 식품관련 업체로부터 먹을 수 있는 남은 음식을 기탁 받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하여 유용하게 활용하여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식품은행이다. 푸드뱅크는 본래 미국에서 무료급식소(soup kitchen)의 자원봉사자로 일하던 헹겔(John Van Hengel)이 기탁된 식품의 보관과 분배를 위해 식품 전용창고를 마련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의 푸드뱅크는 복지체계로 도입되기 전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라는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문제 차원에서 시작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IMF 위기를 맞으면서 실직 노숙자와 결식아동들을 위한 급식문제를 해결하는 사회복지적인 차원에서 푸드뱅크 사업을 실시하였다.
2.2. 푸드뱅크의 역사
푸드뱅크는 1967년 미국의 "존 반 헨젤"이 시작한 것이 그 시초이다. 존 반 헨젤은 슈퍼마켓과 식당에서 엄청난 양의 음식물이 버려지는 것을 보고 아이디어를 떠올려 굶는 이들에게 전달할 "남는 음식물"을 찾기 시작했다. 1976년에는 기업체 기부를 받아 푸드 뱅크에 분배하는 "미국의 두 번째 수확(America's Second Harvest)"이라는 구호 단체를 세웠다. 푸드 뱅크 개념은 캐나다(1981년), 프랑스(1984년), 유럽연합(1986년) 등 복지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1980년대 들어 급속히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프랑스의 경우 1985년 배우 미셸콜뤼시가 시작한 '사랑의 식당(Les Restos du coeur)'이 푸드 뱅크 단체로 활약 중이다. 우리나라는 국제통화기금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던 때인 1998년 1월 서울, 부산, 대구, 과천에서 처음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 이후 2010년 기준, 중앙조직인 전국 푸드 뱅크 1개소 외에 20개소의 광역 푸드 뱅크, 441개소의 기초 푸드 뱅크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2.3. 우리나라 푸드뱅크의 도입 배경
우리나라 푸드뱅크의 도입 배경은 복합적이다.
우리나라의 푸드뱅크는 복지체계로 도입되기 전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라는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문제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즉,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여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는데, 푸드뱅크 사업을 통해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는 IMF 위기를 맞으면서 실직 노숙자와 결식아동들을 위한 급식문제를 해결하는 사회복지적인 차원에서 푸드뱅크 사업을 실시하였다. 당시 실직자와 노숙자, 결식아동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에 대한 급식 지원이 사회적으로 요구되었고, 푸드뱅크 사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따라서 우리나라 푸드뱅크의 도입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측면과 순수복지체계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