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실재론적 수학철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재론과 교육
1.1. 실재론의 입장
1.2.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1.2.1. 형상과 질료
1.3. 실재론의 교육
1.3.1. 교육이론
1.3.2. 교육의 원리
2. 프래그머티스트들과 듀이의 도구주의
2.1. 프래그머티즘의 입장
2.2. 프래그머티스트들과 듀이의 도구주의
2.2.1. 퍼어스
2.2.2. 제임스
2.2.3. 듀이
2.3. 프래그머티즘의 교육이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재론과 교육
1.1. 실재론의 입장
실재론은 사물이 실재한다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실재론자들은 참으로 존재하는 것, 즉 실재는 인간이 그것을 지각할 수 있든지 없든지 간에, 우리의 인식 행위와는 관계없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독립성의 원리"라고 한다. 또한 실재론자들은 지각 작용 등의 인식 행위에 의해서 우리는 실재를 그것이 존재하는 모습 그대로 접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를 "일치성의 원리"라고 한다. 즉, 진리란 우리가 지각하는 바 그대로가 실재와 일치한 것을 표현했을 때 성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재론은 사물이 실재한다고 보며, 우리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1.2.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1.2.1. 형상과 질료
아리스토텔레스는 경험적인 관찰과 탐구를 통하여 '형상(形相: Form)'과 '질료(質料: Matter)'로 연합 구성된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체계를 개발하였다. 그에 따르면 이 세계의 모든 사물은 형상과 질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둘은 구분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재의 두 측면인 이것들은 사유에서만 구분될 뿐 실제로는 구분되지 않는다. 하나의 특정한 사물은, 그것이 하나의 사물로 간주될 수 있으려면 형상과 질료 모두를 갖고 있어야 한다. 형상이 지시하고 목적하는 바대로 질료를 변화시키면서 모든 사물은 움직이고 변화한다. 형상이 사물에 있어서 운동을 부여하는 움직이는 원리라면, 질료는 움직이지 않는 움직여진 원리이다. 즉, 질료가 없으며 형상은 현상(現象)으로 나타날 수 없으며, 반대로 형상이 없으면 질료는 현상으로 나타날 수 없다. 질료와 형상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결여되면 구체적 사물은 있을 수 없다""
1.3. 실재론의 교육
1.3.1. 교육이론
교육이론에 따르면 실재론자들은 사물의 지각 능력을 기르고 자연의 법칙을 탐구하는 지적 능력을 성숙시키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여긴다"" 이들은 교육의 과정에서 학생들이 진리를 알고 진리를 향유할 수 있는 습관과 경향성을 갖추게 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참고 자료
“실재론 [實在論, Realism]”,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
고미숙(2013). 교육철학. 문음사 도서출판.
정영근 외 4명(1999). 교육학적 사유를 여는 교육의 철학과 역사. 문음사 도서출판.
김태오(2015). 교육의 역사와 철학. 정민사.
정승연(2002).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육론 연구”. 학위논문(석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주정현(2009).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유교육론 연구 = A study on Aristotle’s liberal education”. 학위논문(석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신득렬 외(2010). 쉽게 풀어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파주: 양서원.
박의수 외(2009). 교육의 역사와 철학. 서울: 동문사.
고벽진 외(2006). 교육사 및 교육철학. 서울: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