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안의전쟁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인체안의전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체실험에 대한 역사적 고찰
2.1. 고대의학에서 인체실험 및 히포크라테스의 가르침
2.2. 근대 서양의학의 발전과 인체실험
2.2.1. 자가 인체실험
2.2.2. 세균학의 발전과 인체실험

3. 2차 세계대전과 나치 독일의 비윤리적인 인체실험
3.1. 우생학 이데올로기와 나치하의 보건의료
3.2. 나치독일의 국가사회주의와 의료인
3.3. 나치독일의 보건의료정책
3.4. 나치독일의 인체실험

4. 일본의 세균전과 잔학한 인체실험
4.1. 731부대와 일본의 인체실험
4.2. 731부대의 활동내역

5. 미국의 인종차별주의와 인체실험
5.1. 터스키기 매독 연구
5.2. 일반에게 알려지다
5.3. 그 이후

6. 의학연구를 위한 인체실험에서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

7. 보다 건강한 사회, 그리고 보다 윤리적인 사회를 위한 의료인들의 과제

8.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백신의 종류와 특성
8.1. 모더나 백신
8.2. 화이자 백신
8.3. 얀센 백신
8.4.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궁극적으로 인간의 질병과 인체를 연구하는 의학에서 임상실험을 포함해서 다양한 형태로 인간의 몸에 직접 실험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의학지식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체를 대상으로 한 의학실험이 불가피하다. 인체실험(Human experiment)이란 새로운 약의 효용을 평가하는 임상실험(Clinical trial)으로 부터 2차 세계대전 중 나치에 의한 생체해부(Human vivisection)에 이르기까지 실험동물이 아닌 사람의 몸을 가지고 의학실험을 하는 것을 넓게 지칭한다. 사실상 인체실험은 의학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것이다. 인체실험은 새로운 진단방법이 나올 때마다, 그리고 새로운 치료제나 치료법이 나올 때마다 계속 되어졌다. 또한 병의 원인이나 인체에 대한 연구를 할 때에도 인체실험이 행해진 경우가 많았다. 의학의 목표는 인체에 대한 의학적인 지식의 증진과 인간의 질병의 치료에 있으므로, 아무리 동물실험을 많이 한다고 하여도 인체에 대한 연구를 통하지 않으면 새로운 의학지식과 의학기술의 과학적 정당성이 입증될 수 없다. 그러나 인류역사의 경험이 보여주듯이 인체 실험은 종종 범죄자, 정신 질환자, 고아, 정신지체부자유자 등 사회적 약자들을 실험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잔혹한 인권침해의 결과를 초래해왔다. 그동안 인체실험에 희생된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알려지면서 사회적으로도 보건의료 및 의학연구에 대해 윤리적인 자각이 높아지고 있다.


2. 인체실험에 대한 역사적 고찰
2.1. 고대의학에서 인체실험 및 히포크라테스의 가르침

고대의학에서 인체실험 및 히포크라테스의 가르침은 다음과 같다.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헤로필루스(Herophilus)와 에라시스트라투스(Erasistratrus)는 B.C. 2세기 의학사에서 해부학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들은 신경계의 존재를 발견하였고, 현대 의학용어에 까지 내려오는 해부학적 구조명칭을 명명하였다. 이들의 의학연구는 강력한 프톨레미(Ptolemy) 왕가의 지원을 받았으며, 사형선고를 받은 죄인들을 내어주어 생체해부를 할 수 있었다. 이들의 생체실험은 이후 시대에도 나타났던 윤리적인 문제들을 유발시켰다. 그들은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1) 오직 사형수들에게만 생체해부를 했으며, 2) 당시 생체해부는 의학지식을 획득하는 데 필수적이었고, 3) 소수의 죄인들의 희생으로 대다수에게 상당한 이득이 되는 과학 활동이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켈서스(Celsus, A.D. 1세기)와 같은 고대 의학자들은 이들의 생체실험의 잔인성에 대해 "Medical murderers(의학의 이름으로 살인하는 자들)"이라고 비판하였다.

한편 히포크라테스(B.C. 4세기)는 의사들이 환자들의 복리에 주된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히포크라테스의 대원칙은 "To Help or at least to DO NO HARM"으로, 의료와 관련된 어떤 경우에라도 환자에게 해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그의 저서 Aphorism에서 "테스트를 통해 증명되지 않은 치료법 등을 인체에 시험해 보는 것은 위험하다. 나쁜 실험은 신체 전체를 파멸시킬 만큼 위험하기도 하다"고 경고하였다. 이처럼 히포크라테스의 의료윤리는 개인주의에 기반하여 환자 개인의 복지에 중점을 둔 반면, 이후 18-19세기의 공리주의 원칙에 입각한 인체실험의 논리와는 다른 맥락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당시 고대 문헌에서는 환자들이 의학교육의 도구로 사용되어 병이 더 나빠졌던 것에 대한 불평 기록들도 나타나고 있다.


2.2. 근대 서양의학의 발전과 인체실험
2.2.1. 자가 인체실험

자가 인체실험(Autoexpermentation)이란 의학연구자가 환자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인체실험을 하기 전에 실험자 자신의 몸이나 그의 가족, 또는 연구팀의 일원의 몸에 실험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체실험의 역사만큼 오래되었으며, 일반적인 인체실험보다 윤리적으로 인정된다.

의학 역사상 자가 인체실험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18세기 말 제너(Edward Jenner)의 종두법 실험, 18세기 존 헌터의 매독균과 임질균 실험, 1847년 에테르를 대체하는 마취제를 발견하려고 chloroform을 자신에게 마취시킨 심슨(James Simpson), 1884년 국소마취제 코카인을 자신과 제자들에게 주입한 할스테드(William S. Halsted) 등이 있다.

또한 20세기 이후에도 자가 인체실험이 이루어졌는데, 1929년 카테터를 자신의 정맥에 넣어 심장에 이르게 한 포스만(Werner Forssman), 1900년 황열병 전염경로를 알아내기 위해 군인들과 함께 실험한 월터 리드(Walter Reed), 유행성 출혈열 백신을 자신에게 먼저 실험한 이호왕 교수,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수들의 기생충 실험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자가 인체실험은 실험자 자신이 피험자가 되어 연구를 진행한다는 점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체실험보다 윤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실험자 자신이나 가족, 동료들에게 심각한 위험을 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주의가 필요하다.


2.2.2. 세균학의 발전과 인체실험

19세기를 통해 근대 실험의학이 발전한 이래 동물 생체실험과 인체실험이 급증하였다. 특히 임상과학이 발전하면서 대학병원의 임상의사들(그들은 대개 임상의학 연구자이기도 했음)은 규제할 법규가 없는 가운데, 환자들을 실험대상으로 삼았다. 그들은 "Bedside"를 의사들의 "Laboratory"라고 불렀으며, 질병을 "Nature's experiment"라고 불렀다. 단순한 관찰(Observation)을 넘어 그들은 환자의 질병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실험을 하거나, 환자의 치료와는 상관없는 시술을 통해 의학 지식을 넓히려고 하였다.

1870년 이후 코호(Robert Koch)와 파스퇴르에 의해 세균학의 기초가 놓인 이래 의학자들의 연구는 세균학이 중심이 되었다. 이른바 "BACTERIOMANIA" 시기에 "germ theory"의 유산을 따라 인체실험이 급증하였다. 적절한 실험동물을 찾지 못한 경우가 많았으므로, 시설에 수용된 사회의 약자들에게 비인간적인 실험이 많이 행해졌다. 한센(G.A. Hansen)은 나병균을...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joba34?Redirect=Log&logNo=140015356248 네이버블로그 맘착한 토끼아찌
글쓴이: 빌헬름 카이텔(독일장군)
http://ko.wikipedia.org/wiki/731_%EB%B6%80%EB%8C%80 위키백과 731부대
http://moral.snu.ac.kr/pds/data/09/010.html 김옥주 (M.D. &Ph.D. 미국 하버드 대학교 Post-Doc)
http://cafe.daum.net/gsd10/DCqZ/19?docid=1H2ML|DCqZ|19|20090713155933 송삼흙내음
http://www.bionest.or.kr/sub/bio_catalog.php?CatNo=59터스키기 매독 연구사례 울산의대 구영모교수
http://jbreview.jinbo.net/maynews/readview.php?table=organ&item=0&no=559 진보평론 제26호
김옥주,황상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교실
HU HANQING. "합리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서울
“코로나19 백신 종류에 따른 부작용 비교”, 의과학연구정보센터>연구정보실>연구동향정보
질병관리청-예방접종도우미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