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백과 로저스의 성격이론에대한 비교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성격이론
2.1. 벡의 인지적 성격이론
2.1.1. 인지 수준
2.1.2. 인지적 왜곡
2.2. 로저스의 현상학적 성격이론
2.2.1. 자아실현가능성
2.2.2. 성격의 발달과 구조
3. 이론 비교
3.1. A 남성의 사례 분석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성격이라는 어휘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 사람들이 처음 듣는 경우가 드물다. 이는 단어의 무분별한 사용이 아니라 성격이라는 개념 자체의 모호성 때문이다.
성격의 어원을 살펴보면, 과거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배우들이 사용했던 가면의 뜻을 가진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즉,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을 통해 그 사람의 성격이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결국 성격이란 사회적으로 부여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서부터 개인이 형성하는 표면적인 사회적 이미지까지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공적인 모습을 통해 드러나는 대인관계의 특성, 즉 매력, 사교성, 인기, 성적 매력 등이 성격의 중요한 측면이 되는 것이다.
본 글에서는 특히 벡과 로저스의 성격이론을 각각 살펴보고, 이론의 강점과 함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성격이론
2.1. 벡의 인지적 성격이론
2.1.1. 인지 수준
벡의 인지적 성격이론에서 인지 수준은 네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자동적 사고는 마음 속에서 지속해서 진행되는 인지의 흐름으로, 상황과 정서를 중재한다. 둘째, 중재적 신념은 자동적 사고를 형성하고 있는 극단적이면서도 절대적인 태도와 규칙을 반영한다. 셋째, 핵심 신념은 자동적인 인지에 바탕이 되는 본인 중심적인 사고로, 세계와 타인, 그리고 자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반영한다. 넷째, 스키마는 핵심 신념을 동반하는 정신 내의 인지구조로, 정보처리와 행동을 지배하는 구체적인 규칙이다. 즉, 스키마는 자신, 세계, 미래를 보게 되는 개인의 특유하고 습관적인 방식을 의미한다. 이렇듯 벡은 인간행동에 있어 인지의 역할을 강조하며, 상담자는 내담자의 부적...
참고 자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권석만 (학지사, 2012.08),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Nancy McWilliams (학지사, 2007.06), 심리치료와 상담, 박경애 (공동체, 2020.03)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창지사, 천덕희 외, 2012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강의안
김춘경, 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6.
노안영,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05.
이인정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2011.
최옥채 외, 인간행동이론과 사회 환경, 양서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