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방 신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
2.1. 기원과 특징
2.2. 해방신학의 개관
3. 해방신학자
3.1. 구스타보 구티에레즈
3.2. 호세 미구에즈 보니노
4. 해방신학의 논쟁
5. 결론 - 성과와 쟁점
6. 해방신학 - 구스타보 구띠에레즈의 사상을 중심으로
6.1. 해방신학의 배경
6.1.1. 해방 신학자들
6.1.2. 시대적 배경
6.1.3. 사상적 배경
6.2. 해방신학의 발전 과정
6.2.1. 개척의 단계
6.2.2. 정지작업의 단계
6.2.3. 기초공사의 단계
6.2.4. 체계화의 단계
6.3. 해방신학의 주요 내용
6.3.1. Praxis 신학
6.3.2. 이데올로기적 비판
6.3.3. 성서에 대한 새로운 시각
7. 남미 해방신학에 대한 개혁주의적 평가
7.1. 성경에 나타난 해방에 대한 해석
7.2. 개혁주의 관점으로 본 해방신학
7.3. 빈곤에 대해서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은 현대 역사의 희생자가 되었던 사람들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의 행위와 하나님의 변혁의 은혜에 대한 성찰이다.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은 하나의 해석으로 기독교가 가난한 자들 가운데서 어떻게 실천되는가에 관한 이의제기이자, 하나의 항거이다. 이 해방신학은 역사 내의 가난한 자들 가운데 나타나신 하나님에 대해 이야기 한다. 해방신학은 억압으로부터의 자유뿐만 아니라 역사의 새로운 주체가 될 자유를 수반하는 해방을 이야기한다. 해방신학과 해방신학이 고찰하고 있는 신앙은 역사를 통하여 부요한 자와 가난한 자, 보통 사람과 멸시 받는 사람, 사람다운 사람과 사람취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 사이의 분열구조에 의존해 있는 방식이 아닌, 모든 인류가 인간으로서 새로운 존재 방식을 통해 거듭나도록 인도해주고자 한다."이다.
2.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
2.1. 기원과 특징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의 기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의 기원은 대중적 빈곤이라는 구체적인 정황 속에 있다. 라틴 아메리카의 '현대' 역사는 압제와 식민지화에 의해 특정 지어졌던 역사로부터 비롯된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정복자들을 위해, 노예를 만들기 위해 그리고 '이교도들'을 모두 기독교화하기 위해 토착문화를 유린하며 신세계에 정착했다. 이로 인해 라틴 아메리카의 '현대'역사는 착취와 빈곤, 그리고 압제와 같은 말들을 사용할 때 가장 잘 특징 지어진다.
둘째,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의 특징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1968년 콜롬비아의 메델린에서 열린 제2차 라틴 아메리카 주교회의의 영향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회적 교설은 인간의 존엄성 및 구조적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였고, 메델린 회의에서는 가난한 이들에 대한 부요한 이들의 제도화된 폭력에 맞선 투쟁이 호소되었다. 이를 통해 해방신학은 현대 기독교의 관심사였던 자유와 주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셋째,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은 정치신학, 마르크스주의, 제1세계에 기반을 둔 정치신학 등 다양한 사상적 영향을 받았다. 특히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으로 사회분석의 이론적 도구로서 활용되었다.
이처럼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은 대중적 빈곤이라는 구체적인 상황,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메델린 회의의 영향, 그리고 다양한 사상적 배경을 토대로 형성되었다.
2.2. 해방신학의 개관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의 개관은 다음과 같다.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은 근원적으로 학문적 논쟁을 위한 학문적 담론이 아니다. 오히려 기초적인 기독교 공동체 내에 존재하는 그것의 교회적 상황으로부터 비롯되고 또 그것을 지향하는 교회의 신학이다.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의 자리는 교회지 학계가 아니며, 해방신학이라는 장르는 기독교의 이론적 의미에 대한 이차적인 해석학적 반성이라기보다는 실천에 대한 성찰이자 안내자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해방신학은 무엇보다도 가난한 자들의 현실에 대한 실제적이고 신학적인 담론이지만, 저절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와 제도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며, 이로 인해 해방신학은, 부요한 자들과 제휴해왔던 현대의 기독교를 포함하여, 가난한 자들을 만들어 내는 구조와 제도에 대한 비판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현실, 곧 세상에서 가난한 자, 멸시받는 자, 고통당하는 자가 되는 현실은,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 내에서는 '실천'(Praxis)이라는 말을 통해 이해된다. 실천을 통한 인간 현실에 대한 이 같은 이해는 해방이라는 중심 주제를 통해 기독교적 상징의 해석, 기독교적 상징의 재구성과 결합된다.
결국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은 주로 라틴 아메리카의 로마 카톨릭 교회라는 맥락 속에서 발생한 신학이며, 그 핵심은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들의 해방에 있다고 볼 수 있다.
3. 해방신학자
3.1. 구스타보 구티에레즈
구스타보 구티에레즈(Gustavo Gutierrez)는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의 대표적인 신학자이다. 그의 저작은 가난한 자들의 관점에서 쓰여졌으며,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해방신학』, 『역사에 등장하는 가난한 자들의 힘』, 『우리는 우리의 우물에서 물을 마시네』 등을 들 수 있다.
구티에레즈는 역사철학을 제시하며 가난한 자들은 가난한 자들의 역사 속으로의 돌입에 관한 논의에 기초해 있는 신학적 반성을 첫 단계로 삼았다. 그는 현대역사가 산업중심적이고 진보적인 제1세계를 창출하는 개인주의와 합리주의에 의거한 역사적 실천에 의해 특정지어지나, 역사적 실천은 막대한 사회 경제적 모순들 위에 거듭거듭 가난한 자들의 등에 의존하고 있는 그러한 모순들 위에 세워져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해방과 구속이 구체적인 행위, 역사의 기획, 최종적 구속 이 세 차원에서 연관된다고 말한다. 교회는 그의 신학 속에서 하나님의 은혜의 성례전이며, 성례전으로서의 교회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예언자적 증언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그가 두 번째 단계에서 중심에 둔 것은 하나님의 값없는 사랑이다. 가난한 자들의 관점에서 그가 본 것은 생존하기 위한 그들의 인내어린 투쟁 속에 존재하는 하나님의 사랑과 현존이다. 하나님, 신실함, 가난한 사람들 사이의 사랑은 이제 특별한 역사철학을 대신하여 신학적 반성의 중심이 된다. 하나님의 현존으로 인해 신학의 진정한 주체가 된 가난한 이들은 여전히 신학의 주체다.
라틴 아메리카 대중종교의 가난한 자들이 지니고 있는 특성에 대한 그의 강조는 또한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Bartolome de Las Casas)에 대한 방대한 역사적 연구로 귀결되었다. 구티에레즈는 라스 카사스의 증언이 특히 라틴 아메리카의 민족들이 오늘날 수행해야만 하는 자기발견을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구티에레즈는 권력과 지배, 그리고 불의한 전재들로 얼룩져 가난한 대중을 무시해버리는 현대 신학의 관심에 대한 질문과, 진보적 신학이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주체들의 대부분을 역사 속에서 인간대접을 받지 못하는 사...
참고 자료
데이비드 F.포드 저, 류장열 역,“ 현대 신학과 신학자들”, CLC(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구스타보 구띠에레즈 저, “해방신학 (역사와 정치와 구원)” 분도출판사. 2000
최연충 저, “라틴아메리카 (다시 떠오르는 엘도라도)” 이지출판사“ 2017.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저, “라틴아메리카의 미래 상”. 한울아카데미. 2018.
강문석 저, “라틴아메리카 선교론”, 칼빈서적. 1993
고범서, 『해방신학』, 서울: 범화사, 1985.
고재식, 『해방신학의 재조명』, 서울: 사계절출판사, 1986.
양 견, 『남미해방신학』, 서울: 덕영사, 1988.
이성주, 『현대신학 제2권』, 서울: 문서선교 성지원, 1994.
Emilio A. Nunez C., 『해방신학 평가』, 나용화 역,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87.
Harvie M. Conn, 『해방신학연구』, 홍치모 역, 서울: 성광문화사, 1984.
J.A. Kirk,『해방신학』, 전호진 역, 서울: 엠마오서적, 1989.
Ronald H. Nash, 『해방신학』, 김달생 역, 서울: 도서출판 크리스챤 서적,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