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제기구와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제기구로서 세계보건기구(WHO)
2.1. 목적
2.2. 역할
2.3. 기능
3. 거버넌스의 개념과 종류
3.1. 개념
3.1.1. 정의
3.1.2. 글로벌 거버넌스
3.2. 종류
3.2.1.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3.2.2. 지방적 거버넌스
3.2.3. 국가적 거버넌스
3.2.4. 지역적 거버넌스
4. WHO의 COVID-19 사태 대응
4.1. 대응에 대한 평가
4.2. 대응 부족의 원인
4.3. 미국의 WHO 비난
5. 거버넌스를 통한 팬데믹 극복방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경제적 번영과 발전은 모든 국가의 목표이자 염원일 것이다. 그러나 인류 평화와 마찬가지로 경제발전은 어떤 국가를 막론하고, 어려운 과제로서 남아있다. 특히, 일정 수준 이상의 경제적 번영을 이룬 선진국과는 달리 개발도상국의 빈곤, 기아의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국제개발에 대한 논의가 21세기 현재에도 여전히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전 세계적 기아와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국제사회는 누가 주체가 되어 어떠한 노력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을까? 자유주의적 시각에서 국제기구는 이러한 범세계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체가 되며, 국제적 규범과 제도를 형성할 수 있는 하나의 장을 마련해 준다. 이처럼 국제사회는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관련 논의와 레짐을 형성하여 발전시키고 있으며, 국제적 협력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UN은 2015년 국제사회의 지속 가능한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설정하고 각국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 이를 이행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글은 국제기구가 주도하는 국제개발 분야에서 SDGs는 어떤 개념과 의미를 지니며 그것이 수립된 배경을 국제기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둔다.
2. 국제기구로서 세계보건기구(WHO)
2.1. 목적
세계보건기구(WHO)의 목적은 세계 각국의 보건 향상과 국제보건협력을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연합(UN)이 만들어지면서 보건 분야의 전담기구로 WHO가 설립되었다. WHO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의 건강권 보장과 건강수준 향상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각국 정부와 협력하여 대규모 전염병 예방과 퇴치, 보건의료체계 구축, 환경보건 개선, 재해대응체계 강화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둘째, 국제보건협력을 증진하여 전 세계적인 건강 증진을 실현하고자 한다. 각 회원국의 보건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정책 조정 및 기술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국가 간 협력을 도모한다. 또한 적절한 국제건강규칙을 제정하고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조치를 마련한다.
셋째, 회원국 정부의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관련 활동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WHO는 국제보건 문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각국 정부의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국가 간 협력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처럼 WHO는 전 세계 인류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로, 회원국 간 보건의료 협력을 도모하고 국제보건 규범을 형성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2.2. 역할
세계보건기구는 냉전 시기에는 오로직 보건의료와 관련된 문제들에 집중하였다. 주요 역할은 질병의 의학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60년대의 천연두와 말라리아를 박멸하는 사업, 70년대에 백신 사업, 80년대에 에이즈 사업 등을 주도하였다. 특히 천연두 박멸을 위한 국가 간 협력을 통해 성공을 거두었다. 이를 통해 국제적 공조가 전염병 해결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냉전이 끝나고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에는 세계화로 국경을 초월하는 과제들이 늘어나면서, 세계보건기구의 역할도 변화가 요구되었다. 세계보건기구는 국가 간 합의를 이끌어내는 조정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대표적으로 2003년 FCTC를 제정하여 담배 규제를 위한 국제협약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국제기구로서 국가 권한을 부분적으로 이식받아 국가 간 합의를 이끄는 역할을 하였다""
2.3. 기능
세계보건기구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보건기구는 국제사회의 다양한 의견들을 모으고 의제를 제시하며 행위자 간 대화와 조정을 촉진하는 조정의 장으로서 기능하였다. 이러한 성취가 있는 것에는 '건강'이라는 상대적으로 중립적이고 필수적인 가치의 중요성을 공통으로 인식한 것이 도움이 되었다. 냉전 이후 국가들은 ...
참고 자료
손혁상, 윤혜정, 안지혜. (2019). 국제개발협력에서 국제기구-NGO 파트너십 연구: 국제기구 사업 실행 파트너(Implementing Partner) 선정 기준과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연구, 11(2), 1-20.
박수영, 윤유리, 안미선. (2021). 개발협력 통합적 접근법의 의미와 사례. 개발과 이슈, (67), 1-68.
최창용, 문경연. (2021). 국제금융기구의 ‘이행조건’ 분석과 북한 개발협력 시사점. 국가안보와 전략, 21(2), 31-75.
김지영. (2017). 국제개발 담론의 변천과 유엔 SDGs 시대. 사회과학논총, 20(1), 1-23.
오진환, 조혜림, 송지선, 박민정. (2021). 개발협력 관점에서 SDGs의 의미와 이행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 1-115.
이성훈. (2017).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인권기반 개발협력. 국제개발협력, (4), 3-38.
박수영, 안미선. (2022). 개발협력 평가 지수 분석과 함의 - CDI와 QuODA를 중심으로 -. 개발과 이슈, (73), 1-53.
손혁상, 이일청, 정수빈. (2020).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다자주의(Multilateralism) 위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행위자와 규범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60(2), 53-86.
서창록, 김영완. (2020). 국제기구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학. 다산출판사.
한국의 사회문제 : 김영재, 신미애 저, 윤성사, 2019
사회문제의 경제학 : 헨리 조지 저, 전강수 역, 돌배게, 2013
사회문제의 핵심 : 루돌프 슈터이너 저, 최혜경 역, 밝은누리,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세계화와 사회문제, 김정규 저, 에듀컨텐츠휴피아, 2017
사회문제의 이해 : 정현주 저, 대왕사, 2014
현대사회문제 이론과 실제 : 이철우 저, 학지사,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조문규, 2018, “세계보건기구의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전략”, 서울대학교 대학원
진경인, 2012, “국제보건협력과 글로벌 보건거버넌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라미경, 2009, “거버넌스 연구의 현재적 쟁점”,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조한승, 2020, “코로나19와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그리고 미국”, 단국대학교
김명룡, 2020.09.26, “"세계 살리겠다" 中 코로나 백신공장 둘러본 외신들 깜짝”,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92415410872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