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어해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0.23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고등어해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척추동물의 특징
1.2. 어류의 분류와 일반적 특징

2. 고등어의 특징
2.1. 고등어의 학명과 분류
2.2. 고등어의 외형적 특징
2.3. 고등어의 생태적 특징

3. 실험 재료 및 방법
3.1. 실험 도구 및 시약
3.2. 실험 과정

4. 실험 결과
4.1. 고등어의 외형 관찰
4.2. 고등어의 내부 기관 관찰
4.3. 고등어 비늘의 관찰

5. 실험 결과 고찰
5.1. 고등어의 특징 분석
5.2. 고등어 내부 기관의 구조와 기능
5.3. 어류와 육상동물의 차이점

6. 외래어종 고찰
6.1. 배스
6.2. 블루길
6.3. 무지개송어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척추동물의 특징

척추동물은 몸의 중축에 반드시 척색이 생기며, 나중에 그 주위에 연골성 조직으로 된 척추골들이 생긴다. 경골어류 이상에서는 연골성 등뼈는 골화(骨化)하여 경골성 척추골로 된다.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척추골들이 연결되어 척주를 이룬다. 몸의 등쪽에는 관 모양의 중추신경이 앞뒤로 달리는데, 그 앞부분은 부풀어서 뇌로 되고 나머지는 척수를 이룬다. 배쪽에는 체강이 발달하고, 그 속에 심장 ·폐 ·위 ·장 ·신장 ·생식기 등의 내장이 들어 있다. 포유류에서는 체강이 횡격막(가로막)에 의해 흉강과 복강으로 나뉜다. 머리에는 두개 속에 뇌가 들어 있고 눈 ·코 ·귀 등의 감각기관이 있으며, 또 앞 끝에 입이 열려 있다. 몸통에는 운동기관으로 앞뒤에 1쌍의 지느러미 또는 다리가 붙어 있다. 체벽의 근육은 하등한 어류에서는 체절적인 구조가 뚜렷하다. 호흡기관으로는 아가미 또는 폐가 있는데 폐를 가지는 것도 발생 초기에는 새열이 나타난다. 순환계는 완전한 폐쇄형이며 심장 ·동맥 ·정맥 ·모세혈관 ·림프계로 되어 있다. 순환계를 흐르는 혈액 속에는 적혈구가 들어 있다. 심장은 어류에서는 2칸, 양서류에서는 3칸, 파충류에서는 3∼4칸, 조류나 포유류에서는 4칸으로 나뉘어 있다. 보통 자웅이체이고 유성생식을 한다. 난생 ·난태생 또는 태생을 한다.


1.2. 어류의 분류와 일반적 특징

어류는 척추동물문에 속하는 동물로, 물속에서 생활하며 아가미로 호흡하는 생물을 말한다. 어류는 우선 척추동물문에 속하지만 하나의 분류군이라고 보기 보다는 무악어강, 연골어강, 경골어강의 3개의 강을 편의상 묶은 것이다.

무악어강에는 턱이 없는 먹장어나 칠상장어가 속하며, 연골어강에는 뼈가 부드러운 상어나 가오리가 속한다. 경골어강에는 단단한 뼈를 가진 붕어나 잉어 등이 속한다. 어류는 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많은 종을 가지고 있으며, 약 2만 9천 종이 알려져 있다. 그 중 2만 종은 경골어류이다.

어류는 대부분 변온동물이며, 부레로 공기를 조절하여 물에서 떠오르거나 가라앉는다. 어류는 알을 낳아 번식하는 난생, 모체 안에서 알이 부화해 유생형태로 태어나는 난태생, 모체 안에서 태반을 통해 영양분을 받아 성장하여 태어나는 태생 등 다양한 생식방법을 가진다. 어류는 주로 바다나 호수, 강 등의 물에 서식한다.

어류의 기관으로는 호흡기관인 아가미, 소화기관인 입, 식도, 위, 창자, 소화샘인 간과 유문수, 순환기관인 심장, 동맥, 정맥, 모세혈관, 배설기관인 신장, 생식기관인 난소와 정소 등이 있다. 어류는 무척추동물과 달리 척추를 가지고 있으며, 폐쇄형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2. 고등어의 특징
2.1. 고등어의 학명과 분류

고등어의 학명은 Scomber japonicus이며, 이는 동물계(Animalia), 척색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농어목(Perciformes), 고등어과(Scombridae)에 속하는 경골어류이다. 고등어는 전 대양의 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한국을 비롯하여 동중국해와 제주도 연안 등에서 관찰된다. 고등어는 상위 포식자로서 동물성 플랑크톤과 작은 어류를 주 먹이원으로 하는 회유성 어종이다.


2.2. 고등어의 외형적 특징

고등어의 외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고등어의 몸체는 방추형으로 길고 좌우로 약간 납작한 형태이다. 등 쪽은 암청색을 띠고 있으며 배 쪽은 은백색을 띤다. 등 쪽에는 흑청색의 물결무늬가 측선에까지 분포한다.

고등어의 지느러미는 크게 등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뒷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등 총 5종류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높이는 1번째 등지느러미가 더 높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의 중앙에 위치하며 크기가 비교적 작다. 꼬리지느러미는 잘 발달된 가랑이형이며 회색을 띠지만 바깥쪽 가장자리가 검다. 뒷지느러미는 2번째 등지느러미와 대칭을 이루고 있으...


참고 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6063&cid=40942&categoryId=32310
https://www.nifs.go.kr/frcenter/species/?_p=species_view&mf_tax_id=MF0010790
https://www.scienceall.com/%EC%95%84%EA%B0%80%EB%AF%B8%EB%9A%9C%EA%BB%91operculum/
http://fishillust.com/Scomber_japonicus
http://lg-sl.net/product/infosearch/curiosityres/readCuriosityRes.mvc?curiosityResId=HODA2004030055
Lisa A. Urry, Michale L. Cain, Steven A. Wasserman, Peter V. Minorsky, Jane B. Reece/ 2017 / 캠벨 생명과학 포커스 / ㈜바이오사이언스출판 / 550~551p
척추동물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6063&cid=40942&categoryId=32310
고등어/네이버지식백과-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70898&cid=40942&categoryId=32581
Lisa A. Urry/캠벨 생명과학포커스 2판/2017/(주)바이오사이언스출판
Son, H. D. and M. J. Bae. 2009. HIGHTOP 생물Ⅱ. 두산동아, p88-p89
Cambell, N. A., J. B. Reeece, L. G. Mitchell, and M. R. Taylor. 2009. BIOLOGY: Concept & Connection. 6th Ed., Benhamin Cummings, p356-p35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