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수주위적 접근방법 시각과 진보주의적 접근방법 시각의 두 시각에 대하여 비교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청소년 범죄의 원인 및 결과
2.1. 구조 기능주의적 시각
2.2. 갈등주의적 시각
3. 청소년 범죄 해결방안
3.1. 가정과 사회의 역할
3.2. 성적 표현의 인정과 자기결정권 강화
4. 사회문제 이론 비교
4.1. 기능주의 이론
4.2. 갈등주의 이론
5. 가족에 대한 다양한 관점
5.1. 전통적(보수적) 관점
5.2. 자유주의적 관점
5.3. 여성학적 관점
6. 현대사회 가족관에 대한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청소년이란 청년과 소년을 총칭하는 말로 인간의 성장 단계 중에 신체적, 정신적으로 가장 뚜렷한 변화를 보이는 시기이다. 청소년기는 개인이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과도기이다. 이 시기에 청소년들은 신체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심리적 사회적으로 심한 혼란과 복잡한 변화를 겪는다고 한다. 심리학에서는 청소년이란 아동의 역할을 더 이상 갖게 되지 않으나, 성인 역할 행동을 하기에는 아직 이른 단계에 있는 자를 말하며 청소년기란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으로 볼 때 아동이 성인이 되어 가는 시기를 말한다. 이는 개인의 다양한 내적 외적 경험을 통합하여 성숙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청소년들은 사회가 요구하는 기대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면서 육체적, 정신적, 감정적 그리고 사회적인 발달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예전보다 훨씬 건강해진 체격과 발랄한 성격의 지금 우리 청소년들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 사회의 미래가 지금보다 훨씬 활기 있고 자신감 넘치는 사회로 발전될 것이라고 낙관할 것인지 혹은 지금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청소년 문제들로 인해 장차 더 많은 사회문제가 발생해서 지금보다 더욱 불안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걱정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들것이다. 하지만, 최근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는 청소년 비행 혹은 폭력성 경향은 결코 간과할 수준이 아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청소년 흡연율을 비롯해 술집 및 윤락가에까지 드나드는 어린 청소년들, 그리고 날로 증가하는 미혼모 임신과 낙태는 물론 소비와 향락을 위한 각종 범죄 행위 등으로 지금 우리 청소년들은 중병을 앓고 있다. 본문에서는 청소년 범죄의 원인 및 결과를 구조 기능주의적 시각과 갈등 주의적 시각으로 살펴보려 한다.
2. 청소년 범죄의 원인 및 결과
2.1. 구조 기능주의적 시각
기능주의에서는 사회문제의 원인을 어떤 사회 체제가 사회화 과정과 결과에서 실패한 상태로 보고 있다. 이를 청소년 비행 문제에 적용 시켜 보면, 부부간, 친척 간의 불화와 대립으로 인한 가족 간의 대화 부재와 가정교육이 소홀히 되었고, 학교는 아이들을 교육하기보다는 단순히 보호하는 기능에 치우치며, 부모의 과잉보호 때문에 모든 일에 쉽게 좌절하는 그들의 심성도 청소년 비행의 한 원인이 된다. 또한 청소년 교도 시설에서 청소년 범죄자와 생활하면서 상습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도록 사회화 되는 경우도 비행 행위를 하게 된다. 이처럼 청소년들은 무엇에 영향을 받아 이렇게까지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것일까 오늘날 청소년 시기에는 반감이 생기는 시기로서 저소득 계층 자녀들의 부모들은 대부분 돈을 벌기 위해 맞벌이를 하는 경우가 많고, 자녀에게 신경을 쓸 시간조차 없을 것이다. 그런 자녀들은 무관심과 방관에 자연스럽게 방치되고 있다. 이는 불안한 심리 상태에 이르게 되고 불만감이 고조돼 범죄를 저지르게 되기 마련이다.
2.2. 갈등주의적 시각
갈등주의적 시각에 따르면, 청소년 범죄의 원인을 사회 구조적 모순과 계층 간 갈등에서 찾을 수 있다. 빈곤 청소년에 대한 복지와 지원이 미흡했고, 청소년 비행은 기존 질서에 대한 문란 행위 및 입시 위주의 교육정책에서 비롯된 부작용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 집단 간의 대립과 갈등 역시 청소년 범죄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갈등주의자들은 사회 문제의 근본 원인이 권력과 자원의 불균형에 있다고 주장한다. 청소년 범죄 또한 지배 계층과 피지배 계층 간의 갈등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사회 구조의 변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중하층 청소년들이 겪는 상대적 박탈감과 좌절감이 그들의 비행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갈등주의 관점에서는 청소년의 성적 ...
참고 자료
경향신문 “ 길모퉁이 소년과 비행적 하위문화”
청소년 지도방법론 l 양성원 l 성열준, 우상용, 김정일(2016) l 제2부 전체
청소년 활동론 교안 l 명지전문대 아동청소년복지전공
청소년 범죄의 발생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l 맹창영 (건양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석사)
이소영(2007), 청소년 사이버 범죄 예방을 위한 사회적 교육방안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수정(2019). 「최신범죄심리학」 학지사.
이승현• 박성혼(2018). 소년강력범죄에 대한 대응체계의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인구
원 이슈페이퍼,
이용주(2019). 청소년범죄 유형과 원인 및 예방대책. 교정상담학연구
정병수(2007). 청소년범죄 실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노병일. 사회문제론. 창지사, 2013.
성미애, 『가족생활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