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조혈계통
1.1. 정상적인 조혈 과정과 림프절 기능
정상적인 조혈 과정과 림프절 기능은 다음과 같다.
조혈은 골수에서 일어나는 과정으로, 다양한 성숙단계의 조혈세포가 섞여 있다. 그 모세포인 조혈줄기세포(다능성줄기세포)는 여러 계통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과 자가복제능력을 겸비하고 있다. 이 줄기세포가 분열하여 생긴 2개의 세포 중 하나는 다른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고, 다른 하나는 원래의 줄기세포와 같은 성질을 유지하기 때문에 분화하는 세포를 반복해서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골수에서 만들어진 혈액세포 중 적혈구는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백혈구는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면역 작용을, 혈소판은 혈액응고에 작용한다. 한편 림프구는 림프절이나 비장에서도 만들어진다.
림프절은 체내 전신에 분포하며, 탐식능력이 뛰어난 세포로 구성된 그물내피계통(망상내피계)에 속한다. 이 림프절은 세균이나 특수한 이물질을 처리하고 면역계통의 작동 등 신체방어 기능을 한다. 따라서 림프절은 감염이나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부어오르게 된다.
이처럼 골수와 림프절은 정상적인 혈액세포 생성과 면역 기능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2. 빈혈의 발생기전
빈혈의 발생기전은 다음과 같다.
빈혈은 말초혈액 내의 헤모글로빈 농도가 감소된 상태로, 그 원인은 적혈구 생산의 저하, 적혈구 상실의 증가, 혈색소 요구량의 증가 등 다양하다. 적혈구 생산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는 감염이나 약물, 방사선의 영향에 의한 조혈세포의 손상, 철분이나 DNA 합성에 필요한 비타민 B12, 엽산 등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적혈구 상실이 증가하는 요인에는 외상에 의한 대량출혈 등으로 혈액 자체가 몸 밖으로 누출되거나 적혈구 자체가 파괴되는 것을 들 수 있다. 혈색소 요구량이 증가하는 경우는 임신이나 수유기의 여성, 성장기에 있는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이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의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철결핍빈혈, 재생불량빈혈, 거대적혈모구빈혈, 용혈빈혈 등이 있다. 철결핍빈혈은 헤모글로빈의 원료인 철분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빈혈로, 철분의 수요 증가, 만성적인 혈액 상실, 영양결핍 등이 원인이 된다. 재생불량빈혈은 골수의 조혈능력 자체가 현저하게 떨어져 발생하는 빈혈이다. 거대적혈모구빈혈은 골수에 비정상적인 모양의 거대적혈모구가 출현하는 빈혈로, 엽산이나 비타민 B12 결핍이 원인이 된다. 용혈빈혈은 적혈구의 수명이 정상보다 짧아 조기에 파괴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빈혈로, 유전적 요인이나 자가면역 반응, 적혈구의 기계적 파괴 등이 원인이 된다.빈혈의 발생기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만들어지며, 이 과정에 필요한 것이 철분, 비타민 B12, 엽산 등의 영양소이다. 이러한 영양소가 부족하면 적혈구 생성이 저하되어 빈혈이 발생한다. 특히 철분 결핍은 가장 흔한 원인으로, 출혈, 소화기계 질환, 임신 등으로 인해 철분 요구량이 증가하거나 철분 섭취가 부족한 경우 철결핍빈혈이 발생한다.
또한 골수의 기능 저하로 인해 적혈구 생성이 감소하는 경우도 빈혈을 유발한다. 재생불량성 빈혈은 자가면역 반응, 독성 물질 노출, 유전적 소인 등으로 인해 골수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한다.
한편 적혈구가 정상보다 빨리 파괴되는 경우에도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용혈성 빈혈은 적혈구막 결함, 효소 결핍, 자가면역 반응 등으로 적혈구가 조기에 파괴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빈혈은 적혈구 생성, 적혈구 손실, 혈색소 요구량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그 원인에 따라 각기 다른 유형의 빈혈이 나타나게 된다.
1.3. 철결핍빈혈, 재생불량빈혈, 용혈빈혈의 차이
철결핍빈혈, 재생불량빈혈, 용혈빈혈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철결핍빈혈은 헤모글로빈의 원료인 철분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빈혈이다. 철분이 부족하면 헤모글로빈이 충분히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헤모글로빈의 양이 줄어들고 적혈구의 크기도 작아진다. 철결핍빈혈의 원인에는 철분의 수요 증가, 만성적인 혈액 상실, 출혈성 궤양, 영양결핍, 다이어트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창백, 피로, 두통, 입술의 염증, 빠른맥, 호흡곤란 등이 나타난다""
재생불량빈혈은 골수의 조혈능력 자체가 현저하게 떨어져 순환혈액 중 혈구수도 감소되는 질환이다. 적혈구뿐만 아니라 백혈구나 혈소판 등 모든 혈구 성분을 생산할 수 없게 되는 범혈구감소증이 나타난다. 증상으로는 헐떡임(빈혈), 출혈반(혈소판 감소), 발열(백혈구 감소)이 있다. 원인은 특발성, 약물(항암제, 항생제, 진통제 등), 세균감염(특히 C형 간염), 화학물질, 방사능 접촉 후 등이 있다""
용혈빈혈은 적혈구의 수명이 정상보다 짧아 조기에 파괴(용혈)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빈혈이다. 원인에는 유전(낫적혈구빈혈), 적혈구에 대한 항체 형성(자가면역용혈빈혈), 적혈구가 기계적으로 파괴(심장에 인공판막을 이식한 경우 등)가 있다. 증상은 심한 빈혈, 창백, 빠른맥, 호흡곤란 등이다. 병리소견으로 지라비대, 황달, 쓸개돌증, 골수 과다형성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
1.4.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차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과립구 가운데 가장 미성숙한 골수모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