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사회복지론 중간고사 예상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사회복지실천기술
1.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1.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유형
2.1. 신뢰도와 타당도
2.2.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3. 사례관리와 강점관점
3.1. 사례관리의 개념
3.2. 강점관점의 개념
4. 가족개입모델
4.1. 위기개입모델
4.1.1. 기본개념
4.1.2. 개입방법
5. 질적평가와 사회복지실천 요소
5.1. 질적평가의 개념
5.2. 사회복지실천의 3대 요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사회복지실천기술
1.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사회복지실천은 '사회', '복지', '실천'이라는 개념들의 합성어로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사회'란 사람과 사람과의 인간관계, 즉 인간의 공동체적인 행위체계를 의미하며, '복지'란 안락하고 만족한 생활상태 또는 인간의 건강과 번영, 안녕의 상태를 말한다. 또한 '실천'이라는 개념에는 인간의 의식적이고 능동적인 활동으로 이론이나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거나 실행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이처럼 사회복지라는 용어에는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이념적 측면과 이러한 이상적 상태를 지향하는 구체적인 실천 활동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이란 사회복지의 기본적인 목적과 이념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이유로 가족이나 시장기능으로부터 소외되거나 배제된 사람들이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고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보다 대상과 내용 측면에서 제한적인 경향을 보이며, 메리 리치몬드의 정의로부터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식이 발달하게 되었다. 즉,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 이념과 이론을 실천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1.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사가 능동적인 사고 과정을 거쳐 지식을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특정 목표나 활동을 향한 복잡한 행위체제"로 정의되기도 한다. 즉,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실천이론을 현장에서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삶을 유용하도록 돕기 위한 수단 혹은 방법, 능력을 의미한다. 사회복지사는 여러 가치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복지실천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클라이언트 체계, 표적 체계, 행동 체계의 특정한 준거틀 안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처럼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지식과 가치를 행동으로 전환하는 실천요소라고 할 수 있다.
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유형
2.1. 신뢰도와 타당도
신뢰도와 타당도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측정할 때에 측정도구가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지를 평가하는 척도이다. 신뢰도는 실제 값에서 표본을 추출하여 구해낸 관찰의 결과 값이 여러 번의 추출을 통해서도 크게 변하지 않는 정도를 측정한 것이다. 즉, 표본의 관찰 값이 실제 값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야 측정의 오차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신뢰도는 "참값변화량/관찰변화량"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관찰변화량은 참...
참고 자료
유해숙, 「사회복지정의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07.25.
지성배, 「잇따른 시험문제 유출, 왜? "문제 알려주는 것 자체가 문제"」, 에듀인뉴스, 2019.07.12
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65
Jerome Kirk. 엄미란 외 2명. “질적 연구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 군자출판사(2007)
김재욱. “사회과학도를 위한 신뢰도reliability와 타당도validity.” 貿易經營社(2002)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양서원(1995)
지식백과. “신뢰도와 타당도”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