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초고령 사회에 들어감에 따라 노인이라는 개념의 정립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더욱 필요해졌다. 과거에는 평균 수명이 짧아 65세가 노인의 기준으로 여겨졌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노년층의 활동성 및 건강 수준도 향상되면서 65세 이상을 일률적으로 노인으로 규정하는 기준의 적절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노인 개념의 재정의는 단순히 이론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실제 노인 복지 정책 및 제도 수립에 중요한 기반이 되므로,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2. 노인 개념의 정의와 특징
2.1. 노인의 개념 정의
노인의 개념 정의는 일반적으로 "나이 든" 사람 또는 "나이가 많은" 사람을 의미한다. 1951년 제2회 국제노인의학회에서는 노인을 인간의 노화와 함께 발생하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행동적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따르면 노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환경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조직력이 부족한 자, 둘째, 통합역량이 저하되는 단계에 있는 자, 셋째, 인체 장기 및 조직의 기능이 저하된 기간을 경험한 자, 넷째, 정신적으로 삶 자체에 적응이 부족한 자, 다섯째, 조직과 인간의 기능이 고갈되어 적응력이 저하된 시기에 있는 사람이다.
또한 브린(Breen)은 노인을 생리적/생물학적 장애가 있는 사람, 정신적 기능과 성격이 심리적으로 변하는 사람,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상실된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노인은 나이가 들면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점진적으로 쇠퇴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장애가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여기서 노화란 "늙어가는 것"을 의미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노인의 개념 정의는 노인에 대한 이해와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2.2. 노인 개념의 유형
2.2.1. 노화현상에 의한 노인 정의
노화현상에 의한 노인 정의란 인간의 노화과정에서 생리적, 생물학적인 퇴화가 있고, 심리적, 정신적, 환경적, 행동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쇠퇴하는 과정에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노화현상에 의한 노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는 생리적 조직기능이 쇠퇴하고 있는 사람이다. 둘째, 생체 자체의 통합력이 쇠퇴하고 있는 사람이다. 셋째, 생체 기관 및 조직 기능이 감퇴기에 있는 사람이다. 넷째, 생체 적응능력이 감퇴하고 있는 사람이다. 다섯째, 생체조직의 예비능력이 감퇴하여 적응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다.
또한 비렌(Birren, 1959)은 최소한 인간의 생리적,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노화현상과 결부하여 이해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노인이란 생리적, 신체적 노화현상에 의해 심리적, 사회적 기능과 역할이 감퇴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하였다. 브린(Breen, 1976)은 생물학적, 생리적 측면에서 퇴화기에 있는 사람, 생체의 자체 통합능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인체의 기관/조직/기능에 쇠퇴 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는 사람, 생체의 적응능력이 점차로 결손되고 있는 사람, 조직의 예비능력이 감퇴하여 적응이 제대로 되지 않는 사람이 노인이라고 규정하였다.
즉, 노화현상에 의한 노인의 정의는 인간의 생리적, 신체적 노화 과정에 따른 심리적, 사회적 기능과 역할의 감퇴를 반영하는 것이다. 이는 노인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로 활용되며, 노령연금 수령, 노인복지 서비스 지원 등에 있어 기준이 되고 있다.
2.2.2. 인위적 노인 정의
인위적 노인 정의는 개인의 자각, 사회적 역할, 역연령에 따라 노인을 규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개인의 자각에 의한 노인이다. 노인 자신이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스스로를 노인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