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의 정의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은 일시적인 빈 호흡을 주증상으로 하는 양성 질환이다. 이는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는 폐액의 흡수 지연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만삭아에게 나타난다.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하고 경한 질환으로서, 빈호흡, 경한 흉부함몰, 신음호흡, 경한 청색증 등의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지만, 정상 혈액 가스 소견을 유지하기 위해 산소 요구량이 FIO2 0.4 이상으로는 필요하지 않은 양성질환이다. 보존적인 요법으로 대부분 48~72시간 내에 흉부방사선 소견의 호전을 보이고 임상적으로도 호전된다.
1.2. 신생아 호흡기 질환 중의 위치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은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하고 경한 질환에 해당한다. 폐액의 흡수 지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 질환은 주로 만삭아나 만삭에 가까운 후기 조산아에게 나타난다. 비록 빈호흡, 경한 흉부함몰, 신음호흡, 경한 청색증 등의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혈액 가스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 높은 농도의 산소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양성 질환이다. 보존적인 치료로 대부분 48~72시간 내에 임상적, 방사선학적 증상이 호전되는 것이 특징이다. 신생아 호흡기 질환 중에서도 비교적 경증이며 양호한 예후를 보이는 편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2. 병태생리
2.1. 폐액 흡수 지연으로 인한 일과성 폐부종
신생아 폐포 및 폐 간질 등의 폐조직 내 폐액의 흡수 지연으로 인해 일과성 폐부종이 발생하게 된다. 정상적으로는 출생 과정에서 폐포 내 폐액의 2/3가 배출되고 나머지 1/3은 림프관으로 흡수되어 폐 풍선이 팽창하고 공기가 차게 된다. 그러나 폐액 흡수가 지연되면 세기관지 주위 림프관과 기관지 혈관 공간에 폐액이 차게 되어 세기관지 압박과 허탈, 공기 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의 탄성이 감소하고 고탄산혈증을 보상하기 위해 빈호흡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즉, 출생 전후 정상적인 폐액 흡수 과정의 지연이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의 핵심적인 병태생리라 할 수 있다.
2.2. 폐 림프계와 기관지 혈관 공간의 영향
폐 림프계와 기관지 혈관 공간의 영향이다. 출생 전, 출생 중 정상적인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면 세기관지 주위의 림프관들과 기관지 혈관 공간(bronchovascular space)에 폐액이 차게 된다. 이어서 세기관지 압박으로 세기관지 허탈 및 공기 저류가 나타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폐의 탄성이 감소하고, 고탄산혈증을 보상하기 위해 빈호흡이 나타나게 된다.
3. 증상 및 예후
3.1. 빈호흡 및 관련 호흡곤란 증상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을 겪는 신생아들은 전형적으로 출생 즉시 빠른 호흡, 흉부함몰, 신음 호흡 등의 호흡곤란 증상을 나타낸다. 호흡이 점차 더 빨라져 분당 60회~120회 이상의 빈호흡이 관찰되며, 수 시간 안에 호흡곤란이 더욱 악화되면서 호흡수는 계속 증가하고 호흡이 더욱 힘들어진다.
특히 호흡수의 증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허탈된 폐포를 확장시키려고 노력하는 횡격막의 움직임이 더욱 두드러져 흉골 퇴축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