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우리나라 생활체육 현황 및 문제점
2.1. 선진국 생활체육 정책 구상의 특징
2.2. 우리나라 생활체육 현황
2.3. 우리나라 생활체육 문제점
3.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구상 요인
3.1. 국민 의식 개선을 위한 요인
3.2. 시설 인프라 조성
3.3. 여성층 및 인구통계학적 관점 요인
3.4. 국민체력장 제도 도입 방안
4. 학교보건 사업의 국내외 현황 비교
4.1. 우리나라 학교보건 현황
4.2. 미국의 학교보건 현황
4.3. 우리나라와 미국의 학교보건 비교
5. 지역사회간호 관점에서의 결론
5.1. 학습 필요성 및 목적 요약
5.2. 향후 과제 및 개선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의 생활체육은 88서울 올림픽 당시만 해도 체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국민 의식이 높았으나, 2000년대 접어들면서 급격한 경제개발로 인해 엘리트 체육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국민 개인의 체육은 개인 스스로에게 맡겨지게 되었으며, 잘못된 운동방법으로 운동하거나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초고령화 사회를 걱정하고 출산율 저하로 인한 인구 절벽을 염려하는 정부 입장에서 생활체육의 활성화는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선진국의 생활체육 정책 구상과 우리나라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구상 요인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진국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1.2.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독일과 미국 등 선진국과 견주어 보았을 때, 우리나라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구상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진국(미국, 독일, 일본 등)의 생활체육 정책 구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생활체육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한다. 둘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구상 요인으로 국민 의식 개선, 시설 인프라 조성, 여성층 및 인구통계학적 관점, 국민체력장 제도 도입 방안 등을 검토한다. 셋째, 우리나라와 미국의 학교보건 사업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교보건 사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넷째, 지역사회간호 관점에서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향후 과제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독일과 미국 등 선진국의 생활체육 활성화 정책을 벤치마킹하고, 우리나라 생활체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생활체육 현황 및 문제점
2.1. 선진국 생활체육 정책 구상의 특징
선진국의 생활체육 정책 구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독일은 독일 체육회가 주도하며, 체육 클럽의 설립 승인권이 판사에게 있다. 영국은 정부 조직의 체육단체가 없고, 국가적 규모의 자치 조직이 클럽 중심의 생활체육을 전개하고 있다. 프랑스는 근로 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센터, 스포츠 교육센터 등의 자발적 조직이 존재하며, 20명 이상 고용 기업은 신체활동센터와 스포츠 교육센터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운영자와 참여자 간의 긴밀한 소통을 강조한다.
미국은 연구와 보급을 전문가와 자선가가 주도하고, 시설과 재정은 정부가 담당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자생적 발전과정의 스포츠 운동 성격을 띤다. 예를 들어 렉센터에서 85%의 재학생이 런닝머신에서 독서를 한다. 캐나다는 언론, 기업, 정부가 협력하여 생활체육을 위한 광범위하고 집중적인 미디어 캠페인을 전개한다.
일본은 정부와 민간단체가 협력하여 시설 확충과 지도자 양성을 통한 생활체육 진흥책을 추진한다. 그 외 스위스는 모든 사람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공간 확보, 덴마크는 국민 체력과 정신력의 중요성, 오스트레일리아는 국민체육의 날 제정, 벨기에는 상대적 참여율이 낮은 대상을 위한 프로그램, 불가리아는 개인 체력장 제도, 인도네시아는 의무적 그룹 훈련 프로그램 등 특징적인 정책을 가지고 있다.
2.2. 우리나라 생활체육 현황
우리나라 생활체육 현황은 헌법 제35조와 국민체육진흥법 제1조에 명시된 추구하는 비전과 목적은 좋으나, 실제 생활체육 진흥 관련 자금, 시설, 지도자, 조직 등이 대부분 엘리트 체육 중심으로 정비되어 있어 보완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 공공체육시설 개방 저조, 방치된 소규모 시설, 농어촌 주민의 참여 기회 부족, 운동부족 비만 인구 증가, 대상별 운동처방(커스터마이징) 부재, 체력 및 운동 기술 부재로 인한 사고 ...
참고 자료
CDC Healthy Schools: https://www.cdc.gov/healthyschools/
Health at a glance 2021: https://www.oecd.org/health/health-at-a-glance/
보건복지부(2021), 보건복지통계연보 2021, 104-162,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OECD 통계로 보는 한국의 보건의료: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66529
교육부(2022), 2022년 학생건강증진 정책방향, 4-79, 교육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학교보건:https://khealth.or.kr/board?menuId=MENU00822&siteId=null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보건진흥원: https://bogun.sen.go.kr/
서울특별시교육청(2022), 2022학년도 학교보건 기본방향(학교보건분야), 7-38,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2022), 2022학년도 학교보건 기본방향(학교위생분야), 7-43, 서울특별시교육청
김노영, & 김혜경. (2021). 독일, 영국 및 한국의 사례분석을 통한 학교보건교육의 개선방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8(3), 65-76.
한국관광공사(2019) “Korea MICE Industry Outlook 2019 And Beyond”
(2019) “2018 MICE 산업통계 조사·연구”
(2019) “2018 국제회의 개최현황”
(2019) “2018 MICE 참가자 조사”
(2018) “미팅테크놀로지 가이드”
(2018) “2018 컨벤션 유치 경쟁력 조사 보고서”
(2017) “MICE 산업분류 구축방안 연구”
통계청(2012), “MICE 산업포괄범위 연구 품질개선 컨설팅 최종결과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2020) “2020년 국제회의산업 육성 시행계획”
(2017) “MICE 산업 발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0) “전염병 확산에 따른 관광수요 변화와 대응방안”
한국은행(2020) “주요 전염병과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2020) “국내 MICE산업의 위기와 포스트코로나 시대”
Fashion Post(2021) “MICE 산업은 어떻게 변화할 것이가?”
신용보증기금(2014) “국내 MICE 산업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이형주(2020) “AI가 바꿀 미래 마이스 산업의 3가지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