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안전하게 살기를 바라는 것은 모두의 공통된 바람이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벌어지는 많은 화재와 재난은 대부분 인재(人災)에서 비롯된다. 주거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아파트는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많은 인명 피해가 예상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방재 측면에서 소방건축공학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실제 거주하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소방건축 측면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고 그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 법규도 함께 검토할 것이다.
2. 건축물의 개요
2.1. 용도, 구조, 층수 등 일반 현황
대상 건축물은 주거용 아파트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벽은 콘크리트 옹벽 위에 페인트가 마감되어 있고 내벽은 벽지와 일부 타일로 마감되어 있다. 창호는 하이샷시 이중창호로 되어 있다. 총 20층 중 8층 제801호 주거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방 3개, 거실, 주방 겸 식당, 욕실 2개, 발코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2. 공간적 측면의 방재 특성
2.2.1. 계단, 복도, 출구 배치
이 건축물의 계단, 복도, 출구 배치는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모든 층에서 피난 층 또는 지상으로 직접 연결되는 직통계단인 특별피난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를 통해 화재 시 재실자들이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복도는 콘크리트 바닥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특별피난계단과 현관문 사이에 부속실이 설치되어 있다. 부속실은 화재 시 연기의 확산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출구의 경우 현관문으로부터 비상문까지 식별이 가능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2.2.2. 구획 및 피난구역
구획 및 피난구역의 경우, 직통계단과 부속실의 구획을 위한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고, 계단실의 벽은 내화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발코니와 침실 사이에 이중창호가 설치되어 화재 시 연기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거실과 각 침실마다 타일로 마감된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어 임시 대피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공간을 적절히 구획하고 피난구역을 마련하여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3. 소방 시설적 측면의 방재 특성
3.1. 감지 설비
감지 설비는 화재의 발생을 초기에 감지하여 화재상황을 알리는 설비로, 주요 종류에는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가스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