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쇄골 골절
1.1. 정의
쇄골은 가슴 윗부분의 양쪽에 하나씩 있는 뼈로 가슴뼈와 어깨뼈를 이어주는 뼈이다. 쇄골 골절이란 이 쇄골의 연속성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힘으로 인해 쇄골이 부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1.2. 원인
쇄골 골절의 원인은 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발생한다"" 출동이나 추락, 교통사고, 스포츠 손상 등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그 밖에도 골다공증이나 종양, 골수염 등 뼈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경도의 물리적 외력이 가해졌을 때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쇄골 골절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쇄골 골절은 주로 넘어질 때 손을 잘못 짚거나 아예 짚지 못해 어깨가 땅에 부딪혀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 외에도 스포츠 활동이나 교통사고, 추락 등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골다공증, 종양, 감염과 같이 뼈의 구조적 이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경미한 외력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쇄골 골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뼈의 건강 상태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1.3. 증상
쇄골 골절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골절 부위에 덩어리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어깨 앞부분 피부 밑에 뾰족하게 튀어 나와 있기도 하다"" 드문 경우 골절된 부분의 뼈가 피부 바깥으로 뚫고나와 외부에 노출되기도 한다(개방(복합)골절(compound Fx.)). 쇄골 부위의 통증, 부종, 압통, 어깨나 팔을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한다"" 골절 부위가 심해서 상완신경총이나 쇄골하 혈관이 눌러져 팔의 신경마비나 혈액순환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1.4. 진단
쇄골 골절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신체 검진, 방사선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확인하는데, 대표적으로 쇄골 부위의 통증, 부종, 압통, 관절 운동 시 통증 등이 나타난다. 쇄골 골절 시 피부 돌출이나 골편이 노출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완신경총이나 쇄골하 혈관의 손상이 동반될 경우 팔의 신경 마비나 혈액순환 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진찰 시 쇄골 부위의 외형 변화를 확인한다. 골절이 있는 경우 보통 덩어리나 변형이 관찰된다. 압박하면 통증을 유발하고 골절편 사이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맥박과 감각, 운동기능을 확인하여 혈관이나 신경 손상 여부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단순 방사선 검사를 통해 골절 유무와 위치, 정도를 확인한다. 전후방과 측면 촬영으로 쇄골 골절을 명확히 진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CT나 MRI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여 골절의 양상과 동반 손상 등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종합하면, 쇄골 골절의 진단은 환자 병력 청취, 신체 검진,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골절의 유무, 위치, 정도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1.5. 치료
1.5.1. 비수술적 치료
쇄골 골절의 비수술적 치료는 대부분의 경우에 효과적이며, 초기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8자 붕대법은 가장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골절된 쇄골을 고정하면서도 팔의 일부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8자 붕대로 고정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잘 붙지만, 원래 모양대로 붙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쇄골이 피부 바로 밑에 위치하고 있어 삐튀어 나온 뼈로 인한 미용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에서는 쇄골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쇄골이 잘못 붙어 어깨 관절 가동 범위의 제한이 심하고 통증이 생길 수 있다. 만약 3~6개월이 지나도 뼈가 제대로 붙지 않는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비수술적 치료를 선택하는 경우, 환자의 상태와 치료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여 합병증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또한 환자의 통증 관리와 일상 활동 능력 회복을 위한 재활치료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비수술적 치료는 대부분의 쇄골 골절에서 효과적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수술적 치료가 더 적절할 수 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1.5.2. 수술적 치료
1.5.2.1. ORIF(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
ORIF(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은 피부 및 뼈를 둘러싼 연부조직을 절개하고 뼈를 노출시킨 후 골절 부위의 정렬을 맞추는 수술이다. 대부분 ORIF 시행 후 교정된 뼈의 정렬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나사, 금속판, 금속정 등을 이용하여 금속내고정술을 같이 시행한다. 각 관절의 탈구가 발생하였을 때 연부조직의 감입 등으로 관절의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