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닌 형광분석실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0.22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퀴닌 형광분석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형광 정량분석 개요
1.1. 형광의 정의와 특성
1.2. 형광 분석의 장단점
1.3. 형광 소광 현상
1.4. Stern-Volmer 상수

2. 표준물 첨가법
2.1. 표준물 첨가법의 원리
2.2. 단일 용액 첨가와 다수 용액 첨가 방식
2.3. 표준물 첨가법의 장단점

3. 실험 재료 및 방법
3.1. 시료 준비
3.2. 형광 스펙트럼 측정
3.3. 교정 곡선 작성
3.4. 표준물 첨가법 수행

4. 실험 결과 및 분석
4.1. 교정 곡선 구축 결과
4.2. 미지시료의 정량분석 결과
4.3. 염화 이온에 의한 형광 소광 결과

5. 토의
5.1. 교정 곡선과 표준물 첨가법 비교
5.2. 염화 이온의 형광 소광 메커니즘
5.3. 매트릭스 효과 최소화 방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형광 정량분석 개요
1.1. 형광의 정의와 특성

형광은 분자가 들뜬 상태에서 빛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바닥 상태로 돌아오는 현상이다. 이러한 형광 현상은 분자의 전자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분자가 빛을 흡수하면 들뜬 상태의 전자가 생성되고, 이 전자가 다시 바닥 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흡수된 빛의 파장보다 길어지는데, 이를 스토크스 이동(Stokes shift)이라 한다. 이는 분자가 들뜬 상태에서 진동 및 회전 운동을 하면서 일부 에너지를 잃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출 스펙트럼은 흡수 스펙트럼의 거울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형광 현상은 분자의 구조와 주변 환경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공액 이중 결합이 많은 aromatic 화합물이나 금속 착화합물과 같은 분자들은 높은 형광 양자 수율을 보이는 반면, 방향족 아민이나 니트로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은 형광이 약하거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온도, pH, 용매 등의 요인에 따라서도 형광 특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형광은 분자의 구조와 환경에 매우 민감한 현상으로, 이를 분석에 활용하면 다양한 물질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하다. 형광 분석은 간단한 전처리와 빠른 측정 시간, 높은 감도와 선택성 등의 장점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1.2. 형광 분석의 장단점

형광 분석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형광 분석은 그 방법이 간단하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서 가장 널리 쓰이는 분석법 중 하나이다. 또한 sensitivity와 selectivity가 모두 높고 한 번의 측정으로 스펙트럼, 양자 효율, lifetime 등의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형광 분석의 단점은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 이외에 용액 속에 존재하는 다른 물질에 의해 형광 신호가 바뀌는 matrix effect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matrix effect를 보정하기 위해 가능한 matrix 종류들을 선별해서 모델링하는 등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1.3. 형광 소광 현상

형광 소광 현상은 들뜬 상태의 분자가 그 상태에서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다른 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형광의 세기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분자가 빛을 흡수하면 들뜬 상태가 되며, 이 들뜬 상태의 분자는 다시 바닥 상태로 떨어지면서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출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분석물질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분석 시료 중에 다른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이 물질이 형광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들뜬 상태의 분자가 바닥 상태로 떨어질 때 방출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형광 소광 현상이라 한다.

형광 소광 현상은 크게 정적 소광(static quenching)과 동적 소광(dynamic quenching)으로 구분된다. 정적 소광은 형광 분자와 소광제가 바닥 상태에서 비발광성 복합체를 형성하여 형광이 감소하는 경우이며, 동적 소광은 들뜬 상태의 형광 분자와 소광제 간의 충돌에 의해 형광이 감소하는 경우이다.

동적 소광의 경우 소광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형광 분자와 소광제의 충돌 확률이 높아져 형광 세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동적 소광 과정은 Stern-Volmer 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식에 의하면 소광제의 농도와 형광 세기의 비는 선형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Stern-Volmer plot을 통해 소광 상수(Stern-Volmer 상수, Ksv)를 구할 수 있다.

정적 소광의 경우 소광제와 형광 분자가 바닥 상태에서 복합체를 형성하므로 이 과정은 Stern-Volmer 식으로 설명할 수 없다. 대신 형광 분자의 수가 감소하게 되므로 형광 세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은 형광 소광 현상은 정량 분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매트릭스 효과의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정확한 정량 분석을 위해서는 이러한 형광 소광 현상을 이해하고,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1.4. Stern-Volmer 상수

Stern-Volmer 상수는 형광 소광 현상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소광제가 없을 때의 형광 양자 수득률 와 소광제가 일정 농도 [Q]만큼 존재할 때의 형광 양자 수득률 의 비는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PHI _{f}^{0}} over {PHI _{f}} = {I _{f}^{0}} over {I _{f}} =1`+` tau _{0} k _{Q} [Q]`=`1`+`K _{sv} [Q]

여기서 는 형광의 수명, 는 소광제와 형광단 간의 소광 속도 상수, 는 Stern-Volmer 상수이다.

Stern-Volmer 상수 는 소광제의 농도에 의해 형광 세기가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소광제의 농도에 대한 선형 그래프의 기울기로 계산된다. 따라서 Stern-Volmer 상수가 클수록 소광제에 의한 형광 소광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염화 이온이 퀴닌의 형광을 소광시키는 현상을 관찰하였고, Stern-Volmer plot을 통해 Stern-Volmer 상수 를 구하였다. 그 결과 Stern-Volmer 상수가 142.6 ± 6.4 M-1로 측정되었다. 이는 기존에 보고된 372 M-1보다 다소 작은 값이다.

Stern-Volmer 상수가 문헌값과 차이가 나는 이유는 염화 이온의 농도에 따른 ionic strength 변화로 인해 quenching rate 가 달라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염화 이온과 퀴닌의 quenching 과정이 diffusion-controlled이기 때문에, ionic strength가 증가할수록 반응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Stern-Volmer 상수 역시 ionic strength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표준물 첨가법
2.1. 표준물 첨가법의 원리

표준물 첨가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미지시료 속 분석물질의 농도를 정확히 구하기 위해서는 시료에 존재하는 다른 물질들의 영향을 최대한 배제해야 한다. 그러나 교정 곡선 방식으로 미지시료의 농도를 구할 경우, 시료 속 다른 물질의 매트릭스 효과로 인해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표준물 첨가법은 이러한 매트릭스 효과를 보정하여 분석물질의 정확한 농도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미지시료에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물질을 일정량씩 첨가하여 형광 신호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때 미지시료의 농도와 표준물질의 농도가 선형관계를 나타내므로, 이 관계식의 x절편을 구하면 원래 미지시료 속 분석물질의 농도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준물 첨가법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작용한다. 미지시료 V_0에 농도 C_0의 분석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에 농도 C_s의 표준물질을 V_s만큼 첨가하면, 최종 용액의 농도는 (V_0*C_0 + V_s*C_s) / (V_0 + V_s)가 된다. 이때 측정되는 형광 신호 I는 분석물질의 농도에 비례하므로, I = k(V_0*C_0 + V_s*C_s) / (V...


참고 자료

Warner, I. M., Callis, J. B., Davidson, E. R., Gouterman, M., Christian, G. D. (1975). Fluorescence Analysis: A New Approach. Analytical Letters, 8 (9), 665-681.
Rodriguez, N., Real, B. D., Ortiz, M. C., Sarabia, L. A., Herrero, A. (2009). Usefulness of parallel factor analysis to handle the matrix effect in the fluorescence determination of tetracycline in whey milk. Analytica Chimica Acta, 632, 42-51.
Atkins, P., & Paula, J. D. (2010). Physical Chemistry (9th ed). New York, N.Y.: W.H. Freeman and Company.
Harris, D. C. (2010).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8th ed). New York, N.Y.: W.H. Freeman and Company.
Chaichi, M. J., & Alijanpour, S.O. (2014). The fluorescence Quenching Study of Quinine in Presence of Some Anions. Caspian Journal of Chemistry, 3 (1), 15-21.
Ellison, S. L. R. & Thompson, M. (2008). Standard additions: myth and reality. Analyst, 133, 922-997.
Bigger, S. Q., Watkins, P. J., Verity, B. (2000). Quinine Fluorescence Quenching at Low Ionic Strength. International Journal of Chemical Kinetics, 32, 473-477.
Gutow, J. H. (2005). Halide (Cl–) Quenching of Quinine Sulfate Fluorescence: A Time-Resolved Fluorescence Experiment for Physical Chemist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2 (2), 302-305.
Bryan, A. J., Silva, A. P., de Silva, S. A., Reupasinghe, R. A. D. D., Sandanayake, K. R. A. S. (1989).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as a general design logic for fluorescent molecular sensors for cations. Biosensors, 4 (3), 169-179.
Kim, J. H., Han, S. H., Chung, B. H. (2011). Improving Pb2+ detection using DNAzyme-based fluorescence sensors by pairing fluorescence donors with gold nanoparticles.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26, 2125-2129.
Atkins, P. W.; De Paula, J.; Keeler, J. Atkins’ Physical Chemistry, 11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19, pp. 462-464.
Atkins, P. W.; De Paula, J.; Keeler, J. Atkins’ Physical Chemistry, 11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19, pp. 858-860.
Harris, D. C.; Lucy, C. A.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10th ed.; Macmillan Learning: New York, NY, 2020, pp. 116-119.
Harris, D. C.; Lucy, C. A.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10th ed.; Macmillan Learning: New York, NY, 2020, pp. 96-97.
Joshi, S.; Pant, D. D. Ground and excited state dipole moments of quinine sulfate dication: Solvatochromic shift of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a. Journal of Molecular Liquids 2012, 172, 125–129.
Yamaguchi, Y.; Matsubara, Y.; Ochi, T.; Wakamiya, T.; Yoshida, Z. How the π Conjugation Length Affects the Fluorescence Emission Efficiency.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8, 130 (42).
Schulman, S. G.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spectroscopy: Physicochemical Principles and Practice; Elsevier, 2013.
Wang, J.; Gu, X.; Ma, H.; Peng, Q.; Huang, X.; Zheng, X.; Sung, S. H. P.; Shan, G.; Lam, J. W. Y.; Shuai, Z.; Tang, B. Z. A Facile Strategy for Realizing Room Temperature Phosphorescence and Single Molecule White Light Emission. Nature Communications 2018, 9 (1).
Verity, B.; Bigger, S. W. The Dependence of Quinine Fluorescence Quenching on Ionic Strength. International Journal of Chemical Kinetics 1996, 28 (12), 919–923.
Gehlen, M. H. The Centenary of the Stern-Volmer Equation of Fluorescence Quenching: From the Single Line Plot to the SV Quenching Map.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C: Photochemistry Reviews 2020, 42, 100338.
Chaichi, M.; Alijanpour, S. The Fluorescence Quenching Study of Quinine in Presence of Some Anions. Caspian J. Chem 2014, 3, 15–21.
Douglas Arvid Skoog; F James Holler; Crouch, S. R. Principles of Instrumental Analysis; Thomson-Brooks/Cole: Belmont, Ca, 2007.
Lakowicz, Joseph R., Principles of fluorescence spectroscop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Saif Shaikh & Colm O'Donnell, Applications of fluorescence spectroscopy in dairy processing: a review, Curr. Opin. Food Sci. 17:16-24, 201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