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복지 개념과 필요성 및 발전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청소년복지의 개념
2.1. 청소년의 개념
2.2. 청소년복지의 개념
3. 청소년복지의 필요성
3.1. 가족의 변화
3.2. 사회 환경의 변화
4. 청소년복지의 특징
4.1. 가족과 사회의 변화와의 연관성
4.2. 청소년의 주체성 인정
4.3. 교육환경의 문제
4.4. 정부와 민간의 협력
4.5. 전문 인력의 다양한 역할
4.6. 보편적이고 제도적인 서비스
5. 청소년복지의 발전과정
5.1. 맹아기(광복 이후 ~ 1961년)
5.2. 도입기(1962년~1987년)
5.3. 전개기(1988년~현재)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청소년기의 시작과 끝을 정확히 정의하기란 어렵다. 청소년기는 어원적으로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나아가는 과도기를 의미한다. 청소년기의 범위에 대한 관점은 생리학적·법적·사회적 관점으로 구분된다. 생리학적으로는 성적 성숙이 시작되고 완성될 때까지의 기간을 뜻한다. 법적 관점에서 청소년기는 다양하게 정의된다. 우리나라의 청소년보호법에서는 만 19세 미만을 청소년으로 정의하는 반면 청소년기본법에서는 만9세부터 24세까지를 청소년으로 정의한다. 청소년은 성인과 비교하여 여러 가지 권리가 제한되어 있다. 사회적 관점에서 청소년기는 사회로 진출하기 위해 준비하는 기간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최근 들어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청소년기가 점차 연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청소년기에 대한 논의는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기본적으로 청소년복지란 청소년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이후부터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청소년복지가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 청소년복지의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다.
2. 청소년복지의 개념
2.1. 청소년의 개념
청소년은 아동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성장과 성숙을 통하여 성인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이다. 그런데 인간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성숙은 개인에 따라 시작점과 도달점이 다르기 때문에 청소년의 정의를 내리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청소년의 개념은 학문적, 제도적, 정책적 차원에서 다르게 이해되고 있다.
청소년의 개념은 청년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젊은이로 보는 정의와 아동을 중심으로 좁은 의미의 사춘기로 정의된다. 협의의 개념에서 청소년은 위험에 처한 존재,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존재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광의의 개념에서 청소년은 문제로 보기보다 자원으로 이해되며 사회가 안정된 시기에 채택된다.
청소년에 대한 개념은 통상 청년과 소년을 총칭하는 말로 홀(Stanly Hall)이 처음으로 체계화하여 사용하면서부터 일반화되었다. 청소년이란 개념은 생물학적으로 '성장하는 상태에 있는 일정한 기간'을 일컫고, 심리학적으로는 '청소년은 현대 산업사회의 산물이며 단순히 나이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변화나 기준으로 특정 지어지는 독특한 시기'라고 정의되었다. 사회학에서는 청소년기를 '의존된 아동기에서부터 자립적인 성장기로 가는 전환기이며, 심리적으로 하나의 주어진 사회에서 아동의 행동과 성인으로서의 행동을 구별하여 새로이 적응해야 하는 상태'라고 이해하고 있다.
청소년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신체적 특성, 연령에 따른 구분 등이 있다. 법상 규정된 청소년의 연령은 UN의 공식 정의와 우리나라 법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UN은 15세부터 24세 사이의 집단을 청소년으로 보고 있으며, 우리나라 「청소년기본법」에서는 9세 이상 24세 미만을 청소년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연령적 범위는 9세에서 24세까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2.2. 청소년복지의 개념
청소년복지의 개념은 청소년을 보는 관점에 따라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청소년복지의 여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청소년복지의 개념은 두 가지 차원에서 정의되어왔다.
좁은 의미에서 청소년복지의 개념은 가정이나 사회로부터 버려지거나 적응하지 못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이들의 정상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
참고 자료
청소년기본법 제3조제4호
배주현. 위기 청소년, 잘못된 부모 양육으로 발생. 매일신문, 2021년 12월 26일자. http://news.imaeil.com/page/view/*************738350 (검색일: 2022.3.8.)
최세영·최미경, 2020, 「청소년복지론」, 어가
김성이, 1993, 「청소년복지론」, 한국청소년개발원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청소년복지론
여성가족부, 2018, 「2018년 청소년백서」
청소년복지론 :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청소년 문제의 심각성과 사회복지서비스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덕여대 조혜선
청소년복지정책의 발전 방향 : 김혜래
아동·청소년 복지의 개념과 법체계의 개선방안 : 조성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