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단-목적 이론 사슬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업의 가치창출과 이윤창출
1.1. 기업의 가치창출
1.1.1. 가치사슬모형을 통한 가치창출
1.1.2. 사회적 가치 창출
1.2. 기업의 가치
1.2.1. 공유가치창출전략(CSV)과 ESG
1.2.2.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1.3. 고객이 느끼는 가치
1.3.1. 경제적 가치
1.3.2. 기능적 가치
1.3.3. 심리적 가치
1.4. 기업의 고객 가치창출 방안
1.4.1. Star customers
1.4.2. Lost customers
1.4.3. Vulnerable customers
1.4.4. Free riders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업의 가치창출과 이윤창출
1.1. 기업의 가치창출
1.1.1. 가치사슬모형을 통한 가치창출
가치사슬모형을 통한 가치창출은 기업의 핵심 경쟁요소로써, 기업의 활동 과정에서 단계별로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가치사슬모형은 기업의 모든 활동을 주 활동과 지원활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주 활동에는 연구개발, 생산, 물류, 마케팅, 서비스 등이 포함되며, 지원활동에는 기업 인프라, 인적자원관리, 기술개발, 구매 등이 포함된다.
기업은 이러한 가치사슬활동을 통해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한다. 예를 들어 신세계 백화점의 경우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업무별 필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경리 및 회계, 판매 및 고객, 물류 등의 분야에서 효율성을 제고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와 우수한 고객서비스를 구축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즉, 가치사슬모형을 통해 기업은 체계적으로 활동을 분석하고 효율화하여 고객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이익 창출에 필수적인 전략이라 할 수 있다.
1.1.2. 사회적 가치 창출
사회적 가치 창출은 기업이 자사의 경영활동을 통해 지속가능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는 방안이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를 들 수 있다. 파타고니아는 환경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원료 구매 및 제품 생산, 유통과 판매 전 과정에서 환경을 고려한다. 이를 위해 버려진 플라스틱 병을 활용한 친환경 소재 개발, 화학 약품 최소화, 유기농 목화 사용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기업의 이익보다는 지구 환경을 살리는 일에 더 큰 가치를 두어 제품 가격에도 이를 반영한다. 이처럼 파타고니아는 경제적 이익 극대화보다는 환경보호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공감과 신뢰를 얻고 있다. 이는 기업이 단순히 이윤 창출에만 몰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1.2. 기업의 가치
1.2.1. 공유가치창출전략(CSV)과 ESG
공유가치창출전략(CSV)과 ESG는 기업의 가치 창출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다.
CSV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여 공유가치...
참고 자료
표적시장 선정 위한 시장세분화 전략, 라이터스 편집부, 라이터스, 2005.11
새로운 시장 트렌드, 롱테일 법칙, 임상묵, 소비자 평가, 2017.12.07
'블록버스터'를 파산시킨 벤처 '넷플릭스'의 전략 이야기(1), 이재형, 머니투데이, 2017.11.13
공격과 방어, 기업 혁신 전략이 따라야 할 두 가지 전략, 공격과 방어, ITWorld
구독경제는 공유경제와는 차원이 다른 변화다, 플래텀, 2020.04.07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지구가 목적, 사업은 수단 인사이드 파타고니아) 이본 쉬나드 저 | 이영래 역 | 라이팅하우스 | 2020.04.30.
경영전략론 (지속적 경쟁우위를 위한) 김승경 저 | 학산미디어 | 2017.08.24.
4차 산업혁명과 공유가치창출 경영 백삼균 저 | 에피스테메 | 2020.11.10
공유가치창출 전략 (경영학회가 제안하는) 박흥수(대학교수), 이장우(대학교수) 외 3명 저 | 박영사 | 2014.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