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의 말하기 분석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기분석 보고서
1.1.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1.2. 자기분석하기
2. 타인 임상 분석 보고서
2.1. 대상자 이해를 위한 사전 준비
2.1.1. 가족력
2.1.2. 대상자 발달의 특성
2.2. 타인 임상 보고서
2.2.1. 사전 그림 검사
2.2.2. 기법 적용하여 타인 분석하기
2.3. 타인 임상 보고서를 마치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기분석 보고서
1.1.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은 인간의 대부분의 행동과 성격의 문제를 무의식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 무의식을 파헤쳐서 해석하고자 노력한 이론이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인간의 마음에는 의식되지 않는 무의식이 존재하며, 이 무의식은 직접적으로 알 수 없지만 행동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 구조를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의식은 현재 자각할 수 있는 경험과 감각을 의미하며, 전의식은 의식하지 않지만 노력하면 즉시 의식할 수 있는 경험이나 기억을 말한다. 무의식은 인간이 인식하지 못하는 정신의 내용 및 상태를 의미한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이 인간의 정신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의식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 구조를 원자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구분하였다. 원자아는 본능적이고 충동적인 부분으로 쾌락의 원리에 지배되며, 자아는 현실 원리에 따라 행동하며 외부세계와 조화를 이루려 노력한다. 초자아는 양심, 도덕, 이상을 대표하며 자아를 비판하고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인간의 행동은 이 세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인간 무의식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20세기 심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성욕을 공공연히 논의하여 성 문제가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그의 이론은 지나치게 성적 욕구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비판과 함께 실험적 검증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부 한계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1.2. 자기분석하기
내담자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 할머니와 함께 살았다. 아버지는 어릴 때부터 배를 타서 주로 할머니와 지내는 시간이 많았다. 자주 만나지 못하다 보니 어릴 때부터 무뚝뚝한 아버지를 무서워했고 성인이 되고 나니 더욱 어색해졌다. 아버지는 배가 들어올 때 어쩌다 한번 집에 들어와서도 성적을 물어보고, 성적이 낮으면 '성적이 왜 이렇게 낮아?'라는 이야기만 듣고 이후에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아 눈치가 보였다. 집안에서도 위축되다 보니 자존감이 낮아지고 소심해졌다.
그러다가 성인이 되고 자전거 가게에서 보조 역할로 일도 하고 술집에서 아르바이트도 하며 생활비를 벌었다. 이때에도 성격이 소심해 손님이 주문을 할 때 답답하다고 말해 더 위축되었다. 입대에 하고 나서는 내가 하기 싫은 일이 있어도 선임의 말을 따라야 했다. 선임들이 노래를 부르라고 하여 눈치를 보다가 노래를 부르게 되었다. 이전까지는 목소리가 굵지 않아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내 노래를 들은 선임들이 음색을 칭찬해 주며 잘 부른다고 하였다. 그 이후로는 노래방 가는 것을 좋아하였고 자신감이 생기게 되었다.
이일을 계기로 칭찬을 들으니 성격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무의식 속에서 '나는 이것도 못할 거야.'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었는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또한, 사실 가족에게 칭찬을 받고 싶었...
참고 자료
박순, 상담자의 자기분석, 시그마프레스, 2009.04.30.
최영민, 쉽게 쓴 정신 분석 이론 (대상 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학지사, 2010.07.20.
윤우상, 엄마 심리 수업 (엄마의 무의식이 아이를 키운다), 심플라이프, 2019.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