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전문학에서의 자연의 의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전문학 작품에 나타난 '꽃'의 상징성
1.1. 고전소설 속의 '꽃'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1.2. 고전문학 작품에 나타난 '꽃'의 다양한 기능
1.2.1. 인물 묘사를 위한 장치
1.2.2. 배경 형상화를 위한 소재
1.2.3. 주제 의식 전달을 위한 상징적 장치
1.3. 고전소설에 나타난 '꽃'의 상징적 의미
1.3.1. 신성성과 이상향의 표현
1.3.2. 애정 관계와 갈등의 표현
1.3.3. 민중의 해원 의식 반영
2. 한국 고전문학의 현대적 의미
2.1. 고전문학의 현대적 재해석의 필요성
2.2. 고전문학 속 소재와 상징성에 대한 관심 제고
2.3. 고전소설 속 '꽃'의 상징적 의미 발견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전문학 작품에 나타난 '꽃'의 상징성
1.1. 고전소설 속의 '꽃'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고전소설 속의 '꽃'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그동안 시가문학 속의 상징과 소재들이 주목받는 동안 고전소설 속의 소재와 상징성에 대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고전소설 속에 사용된 꽃이라는 소재는 더욱더 유형화되지 못하거나 개별 소재로서 단편적으로만 다루어져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따라서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주요 소재로서 '꽃'을 다루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꽃이 소설 속에서 소설적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장치임을 확인하고, 꽃이 서사 구조적 장치로서 작가 의식을 직접적으로 구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2. 고전문학 작품에 나타난 '꽃'의 다양한 기능
1.2.1. 인물 묘사를 위한 장치
고전문학 작품에서 꽃은 인물을 입체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었다. 에서 여주인공 최랑은 꽃의 묘사로 인물이 좀 더 생생하게 그려진다. 담장 너머로 최랑을 엿보는 이생의 시선에서 최랑은 꽃 숲에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청춘 남녀의 막 피어나는 사랑을 상징한다. 또한 최랑이 도적에게 죽은 후 귀신이 되어 나타나는 장면에서의 최랑의 모습은 전반부와 극명하게 대비되어 더욱 강렬한 효과를 자아낸다. 이처럼 꽃을 통한 인물 묘사는 주인공의 성격과 처지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데 기여한다. 이는 비단 최랑뿐만 아니라 다른 인물들의 묘사에서도 발견되는데, 위생이 첫 만남에서 소 낭자의 아름다운 모습을 자줏빛 꽃 아래 앉아 있는 장면으로 묘사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고전문학 작품에서 꽃은 인물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하는 데 활용되었다.
1.2.2. 배경 형상화를 위한 소재
고전문학 작품에서 꽃은 배경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한 주요 소재로 활용되었다. 작품의 배경을 비유하기 위해 꽃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고전문학 작품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은 궁녀 운영과 김 진사의 비극적 사랑을 다루고 있는데, 주요 사건이 일어난 배경은 수성궁이다. 수성궁에는 비극적 사랑을 꽃으로 형상화한다. 즉 '낙화', 꽃이 떨어져 있는 장면을 통해 짧게 끝나버린 두 남녀의 사랑을 상징함과 동시에 비극적인 결말을 암시하고 있다.
이처럼 고전소설에서 꽃은 작품의 배경을 효과적으로 비유하는 데 사용되었다. 작품 내 주요 사건이 펼쳐지는 공간적 배경을 꽃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작품의 분위기와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1.2.3. 주제 의식 전달을 위한 상징적 장치
'1.2.3. 주제 의식 전달을 위한 상징적 장치'
고전문학 작품에서 꽃은 작가의 주제 의식을 전달하기 위한 상징적 장치로 활용되었다"
고전소설에서 꽃은 단순히 장식적인 요소가 아닌 작품의 내용과...
참고 자료
·게일런 로웰(2000),『달라이라마 나의 티베트』, 시공사
·김대행(1986),『시조유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나정순(2000),『한국 고전시가 문학의 분석과 탐색』, 역락
·성낙은(1996),『고시조 산책』, 국학자료원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 http://www.greensong.or.kr/
·http://pinggoo.com.ne.kr/
양소정.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고전문학 교수학습 방안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中央大學校 校育大學院, 2021. 서울
http://www.riss.kr/link?id=T15926330
이윤경(Lee Yun-Gyeong). "고전의 영화적 재해석 - 고전의 영화화 양상과 그에 대한 국문학적 대응." 돈암어문학 -.17 (2004): 101-127.
http://www.riss.kr/link?id=A76047995
김현화, 「고전소설에 나타난 꽃의 문예적 조명」,『한국언어문학』제74호, 한국언어문학회, 2010,
박일용,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역설적 비극과 낭만:고전소설에 설정된 이상적 인물의 이념과 삶」,『국제고려학회논문집』1,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1999, 269쪽 재인용
김민철, 『문학 속에 핀 꽃들』, 샘터, 2013
김소월, 『진달래꽃[전자책]』, Human&Book, 2011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0(신구판), 444~449 재인용.
중앙일보 기사, 진달래 꽃말, 선녀와 나무꾼의 전설이 얽혀있어.... ‘화제, 2015.04.20. https://news.joins.com/article/17624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