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앙공급실 업무
1.1. 개요
중앙공급실은 환자의 안전과 치료 및 감염예방을 위해 병원 내 모든 부서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적절하게 멸균처리하며 멸균 또는 비멸균 물품과 장비를 통제하고 처리, 공급을 담당하는 부서이다.""중앙공급실의 기본 구역은 가능한 개별 구역으로 분리 되어야 하며, 오염구역, 청결 구역, 멸균 구역으로 나눠진다. 멸균 방법은 스팀 멸균, EO gas 멸균, 건열 멸균 등을 주로 이용한다.""중앙공급실에서는 사용되었던 각종 의료기구와 재처리 소모품 및 수술용 방포 등을 세척, 조립, 포장하여 멸균 후 공급하며 환자와 직원이 사용하는 각종 환의, 침구, 및 작업복 등을 세탁하여 공급한다.""또한 멸균물품이 완벽한 상태로 공급되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멸균과정을 확인하고 물품을 보관, 공급 및 사용하기까지 엄격한 감시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철저히 수행한다.""이렇듯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일체의 멸균물품과 기구를 취급하므로 이로 인한 감염위험의 확산을 방지하고 감염위험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중앙 공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간호단위 실무담당자로서 병원 감염관리 규정을 이행해야 한다.""
1.2. 멸균 방법
멸균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증기멸균은 밀폐된 멸균기 내의 고온과 고압을 이용한 물리적 멸균방법으로, 포화스팀상태의 습열이 침투되어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다. 멸균기에서 꺼내기 전 반드시 건조시켜야 하며 300°C 이상의 고온에서 15분 이상 멸균된다. "
둘째, 건열멸균은 스팀이 침투되지 않는 물품의 멸균에 적용되며, 고온으로 인한 파괴 효과를 이용하여 140°C에서 3시간 이상 멸균한다. 파우더, 오일, 바세린 거즈 등의 멸균에 사용되지만 습열 침투가 어려워 시간이 오래 걸린다.
셋째, EO가스 멸균은 55°C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멸균하는 저온 멸균 방법으로, 고열이나 습도에 민감하여 고압증기 멸균이 불가능한 물품을 멸균할 수 있다. EO가스는 효과적이지만 가연성이 높아 이산화탄소나 프레온 등의 비활성 가스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멸균 후에는 EO가스를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넷째, 과산화수소 가스플라즈마 멸균은 열에 약한 기구나 린넨, 종이 같은 흡수성 물질의 멸균에 적용되며 58%의 과산화수소를 가스화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파우더, 액체, 오일 등은 멸균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과초산 멸균은 과초산 용액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멸균하는 방법으로, 고열에 약한 기구나 물품을 멸균하는 데 사용된다.
이처럼 멸균 방법은 스팀, 건열, 가스, 화학물질 등 다양한 원리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료기구 및 물품의 특성에 맞추어 적절한 멸균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특히 각 멸균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으므로, 효과와 함께 물품에 대한 영향, 처리 시간과 비용 등을 고려하여 최선의 멸균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1.3. 소독 방법
소독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독의 수준에 따라 높은 수준 소독, 중간 수준 소독, 낮은 수준 소독으로 나뉜다.
높은 수준 소독은 모든 미생물과 일부 세균의 아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준위험 기구들은 매 사용 시마다 높은 수준의 소독을 시행해야 한다. 주로 높은 수준의 화학 소독제를 사용하며, 소독 후에는 반드시 멸균 증류수로 잔류 소독제를 깨끗하게 씻어내어야 한다.
중간 수준 소독은 결핵균과 영양성 세균, 대부분의 바이러스와 진균을 사멸시킬 수 있으나 아포는 사멸시키지 못한다. 일부 준위험 기구나 비위험 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
낮은 수준 소독은 10분 이내에 대부분의 영양성 세균과 일부 진균과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으나 결핵균과 아포는 사멸시키지 못한다. 비위험 기구에 적용된다.
이처럼 소독의 수준은 기구의 위험도에 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