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전문직의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상황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1. 간호전문직 표준
1.1.1. 간호전문직의 개념과 특성
1.1.2.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과 중요성
1.2.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
1.2.1. 간호사의 법적 책임과 의무
1.2.2. 간호실무 상의 법적 기준 준수
1.3. 간호실무의 윤리적 기준
1.3.1. 한국간호사 윤리선언과 윤리강령
1.3.2. 간호실무 상의 윤리적 기준 적용
1.4. 간호전문직 표준, 법적ㆍ윤리적 기준의 이행 현황 분석
1.4.1. 간호실무표준 이행 수준
1.4.2. 전문직 수행표준 이행 수준
1.4.3. 법적ㆍ윤리적 기준 이행 수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1. 간호전문직 표준
1.1.1. 간호전문직의 개념과 특성
전문직이란 고유한 지식에 기초를 둔 지적 활동을 수행하며 자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책임을 수반한다. 또한 장기간의 엄격한 교육이 필요하며, 개인의 이익보다는 사회적 봉사를 더 중요시하고, 강한 정체성을 가지고 엄격한 자기 통제와 규제를 맹세한다.
간호전문직의 개념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인 업무보다는 정신적인 업무를 수행하며 높은 책임감을 수반한다. 둘째, 연구를 통해 정련되고 발굴된 지식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셋째, 이론적이면서 실용적이다. 넷째, 고도의 학습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전문지식을 실무에 적용한다. 다섯째, 대학에서 교육이 이루어진다. 여섯째,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지식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교육과 서비스 기술을 향상시킨다. 일곱째,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전문지식이 있다. 여덟째,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정책과 활동을 자율적으로 통제한다. 아홉째, 의사결정과 행동의 지침이 되는 윤리강령이 있다. 열째, 사회적 가치를 추구한다. 열한째, 이론이나 지적 기술을 가지고 있다. 열두째, 공동체 의식이 있다.
1.1.2.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과 중요성
전문직은 고유한 지식에 기초를 둔 지적 활동을 수행하며 자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책임을 수반한다. 또한 장기간의 엄격한 교육이 필요하며, 개인의 이익보다는 사회적 봉사를 더 중요시하고, 강한 정체성을 가지고 엄격한 자기 통제와 규제를 맹세한다. 이러한 전문직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간호전문직 표준은 대상자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사정하여 진단하고, 간호중재를 규명하여 수행하고 이를 평가하는 간호과정의 적용에 관한 것으로, 간호사 개인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간호전문직 표준은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함으로써 간호실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간호사는 의사의 지시와 감독을 받기도 하지만,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사의 업무수행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간호행위의 적절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을 명시함으로써 간호사의 전문성과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의료현장에서 간호업무의 범위와 간호사의 역할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위험이 수반되는 간호업무도 증가할 수밖에 없으므로, 간호행위와 관련한 의료사고 발생의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실무의 안전성을 높이고 간호사의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함으로써 의료사고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
결국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간호실무의 질적 향상, 간호사의 전문성 제고, 의료사고 예방 등 다양한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실무의 발전과 간호의 사회적 인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강화될 필요가 있다""
1.2.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
1.2.1. 간호사의 법적 책임과 의무
간호사의 법적 책임과 의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적 책임이다. 간호사는 태만한 업무수행으로 자신의 의무를 다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로 인한 책임을 지게 된다. 법적 책임이란 법이 정한 사회질서에 대한 책임으로, 불법 또는 위법 행위를 한 자에게 법률상의 불이익 또는 법률적 제재가 가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고로 인해 간호대상자에게 신...
참고 자료
보건의약관계법규, 김동희 외 공저, 수문사, 2022년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유해영, 현문사, 2017
염영희 외(2020), 간호관리학 개정7판 학습성과기반, 수문사
국가법령정보센터, 의료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D%98%EB%A3%8C%EB%B2%95
2022. 신미자 외 공저. 간호관리학 개정판. 수문사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윤리선언
대한간호협회의 간호표준(2003), P595-598
보건의약관계법규(2017), P235-236
간호학개론, 고문사, 고명숙 외, 2011
일반응급처치 굿라이프(김재호, 이담북스, 2014)
성인간호학 상(조경숙 외 9명, 현문사, 2014)
성인간호학Ⅰ(김금순, 김영숙, 수문사, 2012)
http://pharm.snuh.org/formulary/index.htm - 서울대학교 병원 약제부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