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렴 중환자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선정된 질환의 중요성
2. 본론
2.1. 선정된 질환의 해부학적 측면
2.2. 선정된 질환의 생리, 병리학적 측면
2.3. 선정된 질환의 약리학적 측면
2.4. 선정된 질환의 주요 검사 및 처치
2.5. 선정된 질환의 간호
2.6. 건강사정
2.7. 약물
2.8. 진단검사 소견
2.9. 치료경과 및 계획
2.10. 간호과정
2.10.1. 과다한 객담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2.10.2. 염증 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2.10.3. 배설물 및 분비물과 관련된 피부 손상
3. 결론
3.1. 요약
3.2.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체는 대사를 위해 지속적인 산소공급을 필요로 한다. 호흡기계는 기도를 통해 폐포로 산소를 운반하며, 폐포에서는 산소가 혈액으로 확산되어 조직으로 운반된다. 이 과정은 매우 중요하여 호흡기계 문제 자체가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실제 죽음의 상황이든 아니든 호흡기계 문제를 가진 사람들은 매우 불안해하고 죽을지 모른다는 공포를 가지고 괴로워한다. 호흡기계는 조직으로부터 폐로 운반된 대사 산물인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고 폐로 들어가는 공기를 여과 하고 가습한다. 또한 기도 안으로 유입된 인자들을 점액으로 포획하여 기침 및 연하를 통해 구강 쪽으로 배출 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호흡기계는 사람에게 있어서 중요한 기관이며 호흡기질환을 가진 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여러 가지 사정 절차를 수행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호흡기 질환을 가진 대상자를 위한 신체사정과 진단절차 간호 제공 등에 관하여 좀 더 전문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1.2. 선정된 질환의 중요성
폐렴은 하부 호흡기계 염증이며 폐렴에 의한 노인의 사망률은 40% 정도이며, 급성 치료기관의 경우 병원 감염성 폐렴에 의한 사망률이 병원 감염증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폐렴은 노인과 병원에 입원한 환자에게 있어 매우 치명적인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폐렴의 원인은 병원성 세균, 음식물 흡인, 체액 침하 및 화학물질 흡인인데 특히 노인의 경우 박테리아성 폐렴이 대부분이며 이 중 약 50%가 폐구균에 의해 일어난다"" 즉, 노인 폐렴의 주된 원인이 병원균 감염과 흡인으로 인한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2. 본론
2.1. 선정된 질환의 해부학적 측면
폐는 호흡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기관으로 공기의 들숨과 날숨을 통해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관이다. 가슴우리 안에 위치하며 오른쪽, 왼쪽 허파로 한 쌍을 이룬다. 가슴우리 안에 들어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 성인의 경우 약 500~600g 정도로 가벼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허파 꼭대기는 빗장뼈보다 2~3cm 위에 있고 오른허파의 꼭대기가 왼허파 꼭대기보다 조금 높다. 허파 바닥은 가운데 빗장뼈선에서 제6갈비뼈 사이에 위치하고 오목한 형태이다. 허파의 안쪽 측면 중앙에는 기관지와 혈관들이 출입하는 허파문이 있고 기관지 이하 호흡기는 허파 속에 들어 있다. 허파동맥(폐동맥)은 오른심실에서 시작되며, 허파정맥은 왼심방으로 들어간다. 이처럼 폐는 호흡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생명현상 유지를 위해 산소를 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2.2. 선정된 질환의 생리, 병리학적 측면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폐 증상과,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및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모든 폐렴의 공통적인 특징은 침입한 미생물이나 이물질에 대한 폐의 염증성 반응이다. 폐의 방어기전이 효과를 잃고 무균상태인 하부기도에 미생물이 침투해서 염증이 발생한다. 기계적 방어인 기침 및 섬모운동의 붕괴로 폐에 군락이 형성되고 감염이 일어나게 된다. 염증과 삼출액으로 차있는 폐포낭에서는 산소와 이산화 탄소의 효과적인 교환이 일어나지 못한다. 폐포 삼출액은 고형과 되어 점점 더 배출해내기 어렵게 된다. 세균성 폐렴은 감염이 진행 되면서 심각한 환기- 관류 불균형을 초래 할 수 있다.
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겨서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폐 증상과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폐 증상으로는 호흡기계 자극에 의한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이 나타난다. 가래는 끈적하고 고름 같은 모양으로 나올 수 있고, 피가 묻어 나오기도 한다.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까지 염증이 침범한 경우 숨쉴 때 통증을 느낄 수 있고 호흡기 이외에 소화기 증상, 즉 구역, 구토, 설사의 증상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전신 질환의 반응에 의해 보통 열이 난다. 폐의 염증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
2.3. 선정된 질환의 ...
...
참고 자료
드러그 인포 [www.druginfo.co.kr]
김지희(2015), 연하장애와 흡인성 폐렴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흡인성 폐렴 예방 태도 및 실천
편측성 폐질환 중환자에서 측위적용이 동맥혈 산소분압에 미치는 영향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김명자, 구미옥 외.(2009), 기본간호학Ⅰ , 현문사
김명자, 구미옥 외.(2009), 기본간호학Ⅱ , 현문사
전시자, 김강미자 외(2009),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최영희,이항련(2004)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드러그 인포 www.druginfo.co.kr
성인간호학 상 (2009 전시자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 상, 하 (2008 번영순 외) 정담미디어
고성희 외.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네이버 통합검색 의학정보 (폐렴 http://medic.naver.com)
박성애 외 (1998) 간호중재 분류 ,현문사
드러그 인포 ( 약물 조사)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