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글루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베타글루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glucan의 정의
1.2. glucan의 소개

2. α-glucan
2.1. α-glucan이란
2.2. α-glucan의 종류와 특성
2.2.1. 아밀로오스
2.2.2. 아밀로펙틴
2.2.3. 글리코겐
2.2.4. 덱스트린

3. β-glucan
3.1. β-glucan이란
3.2. β-glucan의 종류
3.2.1. β-1,3-글루칸
3.2.2. β-1,3-1,4-글루칸
3.2.3. β-1,3-1,6-글루칸
3.3. β-glucan의 생리활성
3.3.1. 면역 조절
3.3.2. 항암 작용
3.3.3.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및 혈당 감소작용
3.4. β-glucan 함유 식품
3.4.1. 버섯류
3.4.2. 보리
3.5. β-glucan의 식품산업에서의 이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glucan의 정의

glucan은 가수분해에 의해 D-글루코오스만을 생성하는 다당의 총칭으로 미생물, 식물,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항암 및 면역증강작용을 가지고 있는 포도당 중합체이다. D-glucose monomer의 글리코시드 결합(glycosidic linkage)을 기본 구조로 가지고 있고, 포도당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구조 및 물리 화학적 성질이 다르다. 알파 글루칸(Alpha glucan)과 베타 글루칸(Beta glucan)으로 구분되며, 알파글루칸은 식물의 전분 속에 들어있고, 베타글루칸은 버섯, 곡물류 및 효모의 세포벽 내에 들어있다. 특히 버섯에 들어있는 알파 글루칄과 베타 글루칸은 NK세포를 활성화 하여 항암작용을 하며,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어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2. glucan의 소개

glucan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물질로, 그 소개와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최근 주위를 둘러보면 이유를 알 수 없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빈번해졌으며, 성인 아토피 환자도 늘고 있다. 이는 알게 모르게 우리가 환경오염에 노출된 탓이라고 입을 모아 이야기하지만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는 만큼 우리 몸의 '면역력'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 면역력을 키울 때 빠지지 않는 물질이 바로 베타-글루칸이다.

해마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암 발생률, 사망률 등 암에 관한 여러 가지 통계를 발표하는데, 2015년 통계를 보면 2015년 한 해 동안 인구 1천명당 1.3명이 암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항암에 대한 연구는 날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영지버섯, 상황버섯, 동충하초, 아가리쿠스 등의 버섯과 고려인삼은 모두 탁월한 항암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오래 전부터 주목을 끌어 왔다. 이들이 항암 효과를 내는 주성분은 '베타-글루칸'이라는 물질이다.


2. α-glucan
2.1. α-glucan이란

α-glucan은 포도당 두 분자가 알파 결합으로 이루어진 다당류를 말한다. α-glucan에는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글리코겐, 덱스트린 등이 포함된다.

아밀로오스는 녹말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D-포도당이 α-1,4결합으로 수백~수천 개가 연결되어있는 곧은 사슬 글루칸이다. 일반적으로 녹말의 20~25%를 차지하지만 찹쌀 등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다. 아밀로오스 분자는 포도당잔기 6~7개로 구성된 1번 감은 나선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요오드와 청색의 복합체를 형성한다.

아밀로펙틴은 아밀로오스와 함께 녹말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이다. 고등식물에 존재하며, 쌀·밀·옥수수·감자·고구마·바나나 등에는 아밀로펙틴이 70~80%, 아밀로오스가 20~30% 함유되어 있다. 찹쌀의 녹말은 모두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 있고 아밀로오스를 함유하지 않는다. 아밀로펙틴의 구조는 25~30개의 글루코스가 α-1,4결합으로 연결된 사슬이 기본을 이루며, 이 사슬에 다른 사슬이 나뭇가지처럼 결합하고 있어 분지가 많은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다.

글리코겐은 동물의 체내에 널리 존재하는 저장 다당류의 하나로, 간이나 근육에 존재하며 세포질 속에서 물에 불용상태인 과립으로 존재한다. 포도당 분자가 α-1,4 배당체결합을 하여 10여 개 연속해있는 곳에 α-1,6 배당체 결합으로 다른 포도당 분자가 결합되고 거기에서 다시 α-1,4 배당체 결합으로 포도당 분자가 결합되어 글리코겐은 나뭇가지 모양을 하게 된다.

덱스트린은 세균의 α-1,6결합으로 이루어진 α-glucan이다.

이처럼 α-glucan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에 널리 분포하는 다당류로, 포도당 두 분자가 알파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2.2. α-glucan의 종류와 특성
2.2.1. 아밀로오스

아밀로오스는 녹말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D-포도당이 α-1,4결합으로 수백~수천 개가 연결되어있는 곧은 사슬 글루칸이다. 녹말의 20~25%를 차지하지만 찹쌀 등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다. 아밀로오스 분자는 포도당잔기 6~7개로 1번 감은 나선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요오드와 청색의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아밀로오스는 식물의 전분 속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저장형 다당류이다."


2.2.2. 아밀로펙틴

아밀로펙틴은 녹말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이다. 아밀로펙틴은 고등식물에 존재하는데, 쌀·밀·옥수수·감자·고구마·바나나 등에는 아밀로펙틴이 70~80%, 아밀로오스가 20~30% 함유되어 있다. 또 찹쌀의 녹말은 모두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 있고, 아밀로오스를 함유하지 않는다.

아밀로펙틴의 구조는 25~30개의 글루코스가 α-1,4결합으로 연결된 사슬이 기본을 이룬다. 1개의 사슬에 다른 사슬이 나뭇가지처럼 결합하고, 분지한 사슬에는 다시 다른 사슬이 결합하고 있어, 분지가 많은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다. 분지의 결합은 α-1,6결합을 이룬다.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합성되는 식물의 저장형 다당류이다. 아밀로펙틴은 아밀로오스와 함께 녹말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이며, 식물에 널리 분포하는 복합다당류이다.


2.2.3. 글리코겐

글리코겐은 동물의 체내에 널리 존재하는 저장 다당류의...


참고 자료

최춘언(전 한국식품과학회 회장), Cookand, July 2004 No. 92, p. 178~179
윤 실, 버섯을 먹으면 암이 낫는다, 전파과학사, 1998, p.83
나가카와 유조 교수, 식탁위에 숨겨진 항암식품 54가지, 동도원, 2002, p. 169~172
이원종, 위기의 식탁을 구하는 거친 음식, 랜덤하우스중앙, 2004
http://blog.naver.com/coolfellas.do?Redirect=Log&logNo=6548755
http://www.econbio.co.kr/products/p_3_3.htm
http://glucan.co.kr/betaglucan_type.htm
http://knatural.com/c/c_2.php
http://blog.naver.com/informer77.do?Redirect=Log&logNo=80012298990
Review of immune stimulator substances/agents that are susceptible of being used as feed additives: mode of action and identification of end-points for efficacy assessmen
https://efsa.onlinelibrary.wiley.com/doi/pdf/10.2903/sp.efsa.2015.EN-905
http://www.eltscience.com/goods/detail.asp?l_code=BBB&m_code=B15&s_code=E111&s_name=%C0%CC%B9%C2%B3%EB%B1%D7%B8%B0&mNum=3&sNum=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3353&cid=62802&categoryId=6280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77232&cid=42776&categoryId=4278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25533&cid=58440&categoryId=5844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87118&cid=59913&categoryId=5991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73612&cid=59913&categoryId=59913
하재정. "군집두수, 사료첨가제 및 조·농 비율이 한우의 친환경 사양관리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강원도
김동운, 채수진, 김영화, 정현정, 이성대, 박준철, 조규호, 사수진, 김인철, 김인호. "In vitro 발효에서 Prebiotics와 Probiotics가 돼지 장내미생물과 발효산물에 미치는 영향." 미생물학회지 49.1 (2013): 24-29.
전동경. "SD랫드에서 Probiotics 및 Prebiotics 급여에 따른 성장, 소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경상남도
홍성욱. "차세대 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9.1 (2020): 11-19.
김영훈. "인간 건강과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그리고 신바이오틱스." BT NEWS 23.1 (2016): 17-22.
황혜원(Hye Won Hwang),and 이동우(Dong-Woo Lee). "프리바이오틱스 최신 연구 현황 및 제품 개발 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52.3 (2019): 241-260.
김유진. "사료첨가용 생균제 개발을 위한 마늘 내성 유산균의 분리와 배양 특성." 국내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10. 경기도
양일영. "천연물 발효 사료첨가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면역 활성과 Salmonella enterica serovar Gallinarum에 대한 항병력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광주
이시정. "육계사료내 Probiotic, Prebiotic, Synbiotic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면역반응 및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013. 강원도
데일리벳, 반려견 장 건강, 유익한 마이크로바이옴 활동 유도해야,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