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키즈존 반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노키즈존의 정의와 배경
2.1. 노키즈존의 개념
2.2. 노키즈존의 발생 배경
3. 노키즈존에 대한 찬반 논의
3.1. 노키즈존 찬성 입장
3.2. 노키즈존 반대 입장
4. 노키즈존 반대 논거
4.1. 차별과 혐오 조장
4.2. 아동의 권리 침해
4.3. 저출산 문제와의 관련성
5. 노키즈존 해결 방안
5.1. 사회적 인식 개선
5.2. 부모의 역할과 책임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요즘 식당이나 카페를 가보면 '노키즈존'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올해까지만 해도 전국에 노키존을 도입한 업소는 542곳으로 매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노키즈존 도입은 수년 전부터 찬반이 갈리는 뜨거운 문제였으며, 특히 올해 초 제주도에서 '노키즈존 금지 조례'가 처음 발의되면서 갈등이 다시 불거지게 되었다. 노키즈존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다양한 노OO존이 유행하고 있다. 과연 이러한 행위가 정당할것인가? 차별을 조장하고 있지 않은가? 노키즈존이 과연 정당한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2. 노키즈존의 정의와 배경
2.1. 노키즈존의 개념
'노키즈존'은 일부 식당 등에서 특정 연령 이하의 아이들 및 아이 동반 손님의 출입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노키즈존은 약 10여 년 전부터 생겨난 것으로, 2011년 부산의 한 식당에서 발생한 아이의 안전사고로 발생하였다. 이 사건의 법원 판결로 인해 노키즈존이 급격히 늘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가끔씩 발생하는 아이의 소란스러운 행동과 이를 방치하는 부모의 행동 등이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점점 많은 업주들이 노키즈존을 도입하게 되었다"".
2.2. 노키즈존의 발생 배경
노키즈존의 발생 배경은 다음과 같다.
노키즈존은 약 10년 전부터 생겨난 것으로, 2011년 부산의 한 식당에서 발생한 아이의 안전사고로 인해 발생하게 되었다. 이 사건에서 업장 내에서 뜨거운 물을 옮기던 종업원과 아이가 부딪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였고, 법원은 이 사고에 대해서 해당 업주와 종업원도 책임이 있다고 판결을 내렸다. 이 법원 판결로 인해 노키즈존이 급격히 늘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가끔씩 발생하는 아이의 소란스러운 행동과 이를 방치하는 부모의 행동 등이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점점 많은 업주들이 노키즈존을 도입하게 되었다. 즉, 아이들의 부주의한 행동으로 인한 시설물 파손 및 안전사고 발생, 그리고 부모의 방임적인 행동으로 인한 매장 내 분위기 저해 등이 노키즈존 도입의 주된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3. 노키즈존에 대한 찬반 논의
3.1. 노키즈존 찬성 입장
노키즈존 찬성 입장은 "안전"과 "매장 내 분위기"를 주요 근거로 삼고 있다. 아이들의 부주의한 행동으로 시설물 파손 및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법적 책임이 업주에게 묻힐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1년 부산의 한 식당에서 발생한 사고로 법원이 업주와 종업원에게 책임이 있다고 판결하면서, 많은 업주들이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노키즈존을 도입하게 되었다. 또한 부모가 아이들을 적절히 돌보지 않을 경우, 아이들로 인해 매장 내 분위기가 산만해지고 다른 손님들에게 불편을 끼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키즈존을 도입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과 매장 분위기 유지를 위해 노키즈존 도입이 정당화될 수 ...
참고 자료
[기획] 노키즈존에 대한 여론, 어떻게 변했을까? . (2023). https://hrcopinion.co.kr/archives/25853.
노키즈존에서 그치지 않은 ‘노00존’ (2021.12.22),
https://news.jj.ac.kr/%EB%85%B8%ED%82%A4%EC%A6%88%EC%A1%B4%EC%97%90%EC%84%9C-%EA%B7%B8%EC%B9%98%EC%A7%80-%EC%95%8A%EC%9D%80-%EB%85%B800%EC%A1%B4/
노키즈존에 대한 여론, 어떻게 변했을까? (2023.02.22), https://hrcopinion.co.kr/archives/25853
‘노 00존’이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와 물음표 (2023.10.01)
http://www.civic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884
인권위, 백화점 휴게실 ‘노키즈존’ 운영은 “차별” (2023.08.30),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08301200001#c2b
‘차별’일까? ‘권리’일까? 여전히 뜨거운 ‘노키즈존’ 논쟁 (2023.05.27),
https://www.madtimes.org/news/articleView.html?idxno=17735
김도균, 유보배, 『노키즈존 확산, 어떻게 볼 것인가』, 이슈&진단 no.220, 경기연구원, 2012, 1-25쪽.
이상협, 이철희, 홍석철, 『저출산 대책의 효과성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전미화, 『골드키즈 시장 확대에 따른 국내호텔의 키즈 마케팅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