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청소년의 성문제와 성교육 방안
1.1. 청소년의 성문제 실태
1.1.1. 청소년의 성고민
청소년의 성고민은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가장 큰 고민거리 중 하나이다. 최근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소비자 중심" 또는 "수요자 중심"의 논리가 대세를 이루고 있지만, 실제로 청소년들의 성고민은 학교 교육의 중점과제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가족계획협회의 최근 3년간 청소년 전화상담 내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충동 문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성기구조와 건강문제, 원치 않은 임신, 비정상적인 성관계 등 다양한 성고민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성고민은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쳐 중·고등학생들의 학습 부진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은 주로 친구나 선배와 상담하거나 혼자서 해결하는 경향이 있으며, 부모나 교사와의 상담은 극히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청소년들의 성고민은 심각한 수준이지만, 사회적인 관심과 대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1.1.2. 성고민 내용
청소년들의 성고민 내용은 대한가족계획협회에서 최근 3년 동안(95.7~97.9) 청소년 전화상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충동 문제가 가장 많았다""이는 전체 성고민 중 53.5%를 차지하였으며, 이 중 자위행위 21.3%, 성욕구 11.6%, 성관계 11.4%, 불륜관계 4.6%, 근친상간 2.7%, 강간 1.9%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신체구조와 건강문제로 11.9%를 차지하였고, 이 중 성기 5.2%, 신체이상 2.1%, 포경수술 2.0%, 몽정·유정 1.6%, 신체변화 0.7%, 월경 0.3% 등이었다"". 세 번째로 많은 것은 원치 않은 임신으로 5.2%를 차지하였고, 이 중 임신여부 3.2%, 인공유산 2.0%였다"". 그밖에 비정상적인 성관계 4.4%, 이성교제 3.3%, 성병 2.5%, 동성연애 1.6%, 에이즈 0.7% 등의 내용도 있었다"".
1.1.3. 성고민의 영향
청소년들의 성고민과 그 부적응 현상은 학업성취도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국립교육평가원에서 1995년도에 실시한 전국 초·중·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100점 만점 중 평균 50점 미만자(이들은 수업 중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비몽사몽간에 졸고 있는 학습부진아들임)가 중학교 1학원 45%, 중학교 2학년 66%, 고등학교 2학년 84%, 고등학교 3학년 89%로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누적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한 반 50명 중 무려 45명이 수업시간에 졸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 학교교육의 취약성을 단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중학교 1학년의 해당 학생들을 무작위로 표집·조사한 바에 의하면 이들의 학습부진 원인의 86.2%가 성(性)적 부적응 내지 자위행위의 남용으로 학습집중력이 떨어지고 그것은 다시 누적적인 학습 결손으로 이어져 결국 영원한 학습 부진아로 처지게 되는 것이었다. 핵가족이 보편화된 오늘날 부모의 자녀에 대한 과보호징후군은 청소년들의 영양과잉섭취를 초래하고 그것은 다시 학교내의 학습 광으로 인한 각종 욕구 불만과 어우러져 청소년들의 지나친 성충동을 유발하고 그것을 해소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자위행위를 택하게 되는데 남학생들 중에는 교실에서 수업 중에도 자위행위를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상당수의 해당 학생들은 자위행위는 건강이나 학습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는 속설을 그대로 믿고 있었음)."라는 것은 청소년의 성고민이 학업성취도에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1.1.4. 성고민의 해소방법
청소년들이 성고민을 해결하는 방식을 보면, 고등학교 남학생의 경우 대부분이 친구나 선배와 상담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고(56.2%), 부모와 상의하는 학생은 극소수이며(5.7%), 학교 선생님과 상담하는 학생은 거의 없다(1.5%). 그리고 아무하고도 상의하지 않고 혼자서 해결하는 학생이 26.1%나 된다. 여자고등학생의 경우도 사정은 비슷해서 친구와의 상담(44.5%), 상담전문가와의 상담(33.6%)이 주류를 이루고, 부모와의 의논(12.2%)은 남학생보다는 많으나 극히 적은 수이며 학교 교사와의 상담은(1.1%) 남학생보다 더 기피하는 성향이다. 이처럼 청소년들은 성고민을 주로 또래 친구나 전문 상담가와 상담하는 경향이 있으며, 부모나 교사와의 상담은 극히 드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1.5. 성지식 취득방법
청소년들의 성지식 취득 방법을 살펴보면, 전국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성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장 많은 경우가 Tape이고(78.5%), 다음이 친구(50.3%)이며, 학교선생님(23.0%), TV와 Computer(16.3%), 성교육강사(11.5%), 부모형제(1.2%)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주간지·월간지를 비롯해서 Pormo Video Tape와 친구들로부터 얻는 성 정보라는 것이 과장·왜곡·허황된 것이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은 여전히 그것들에 탐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청소년들은 적절한 성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