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세 수도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도원 운동의 역사와 발전
1.1. 초기 수도원의 등장과 발전
1.1.1. 수도원의 성서적 배경
1.1.2. 이집트의 수도원 운동
1.1.3. 서방 세계로의 전파
1.2. 베네딕트 수도회의 성립과 영향
1.2.1. 누르시아의 베네딕트
1.2.2. 베네딕트 규칙서의 특징
1.2.3. 베네딕트 규칙의 확산과 영향
1.3. 클뤼니 수도원과 개혁 운동
1.3.1. 개혁의 배경
1.3.2. 베르노 원장의 개혁 활동
1.3.3. 클뤼니 수도원의 특징과 의의
1.4. 시토 수도원과 개혁 운동
1.4.1. 개혁의 배경
1.4.2. 성 버나드의 개혁 활동
1.4.3. 시토 수도원의 특징과 의의
2. 수도원의 역할과 영향
2.1. 정치적 역할
2.2. 경제적 역할
2.3. 사회적 역할
2.4. 종교적 역할
2.5. 문화적 역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도원 운동의 역사와 발전
1.1. 초기 수도원의 등장과 발전
1.1.1. 수도원의 성서적 배경
초대 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와 그의 제자들의 삶을 본받아 세상을 초월한 완전한 영적 삶을 살고자 하였다. 예수와 그 제자들은 결혼하지 않고 특정한 거처 없이 방랑하며 금욕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이러한 그들의 삶은 수도원 운동의 성서적 배경이 되었다. 초대 교회 그리스도인들은 현실에 있는 한 완전한 영적 삶을 살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홀로 은둔하거나 광야에 나가 성경 묵상, 기도, 명상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그리스도교 최초의 광야 금욕이며, 이러한 은둔자들의 생활은 3세기를 전후하여 이집트, 팔레스티나, 시리아 지역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중 최초로 광야에 나가 그리스도교적 은둔의 삶을 살았던 인물로 알려진 것이 안토니우스이다.
1.1.2. 이집트의 수도원 운동
이집트의 수도원 운동은 3세기를 전후하여 발생한 그리스도교 최초의 광야 금욕 생활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당시 그리스도교인들은 예수와 제자들의 금욕적인 모습을 본받아 세속을 완전히 떠나 홀로 은둔하거나 광야에 나가 성경 묵상, 기도, 명상을 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은수자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안토니우스이다.
안토니우스는 이집트의 코마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 18세 무렵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자신의 전 재산을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어린 여동생을 수녀원에 맡긴 뒤 20여 년간 이집트 사막에서 홀로 은둔하며 신앙생활만을 하였다. 그는 천막이나 오두막, 무너진 성채, 무덤, 동굴 같은 곳에서 살며 명상과 기도를 가장 중요한 일과로 삼았고, 육체노동에도 종사하여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하였다.
안토니우스로 대표되는 이러한 은수자 운동을 더욱 발전시킨 인물은 파코미우스이다. 파코미우스는 이집트의 수도자로, 일상적 불편과 정신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처음으로 공동체적인 수도원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이집트 타베네제 지역에 첫 수도원을 세우고 공동 거주, 공동 노동과 공동 기도, 상급자에 대한 순종 등을 강조한 규칙을 제정하였다. 이를 본받아 곧 많은 수도원이 세워졌고, 그 결과 자신의 이상을 수도원 생활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수도자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파코미우스의 수도원 운동은 가이사랴의 바실리우스에 의해 신학적으로 정리되어 동방교회 수도원과 수도자들의 삶의 모습에 전형이 되었다.
이처럼 이집트의 사막 지역에서 발생한 은수자 운동과 파코미우스의 공동체적 수도원 운동은 기독교 역사상 최초의 수도원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이후 서방 세계로까지 전파되어 중세 서방교회의 수도원 문화 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1.1.3. 서방 세계로의 전파
이집트의 수도원 운동은 4세기 초반에 등장한 안토니우스와 파코미우스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이들의 영향으로 동방 수도원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후 이러한 동방 수도원 운동은 서방 세계로 전파되었다.
서방 세계로의 전파는 4~5세기 경 이탈리아의 로마와 베르첼리, 밀라노, 갈리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은 제롬, 카시누스, 성 패트릭이다.
제롬은 382년부터 384년까지 3년간 로마에 머물면서 금욕적 공동체를 만들고 성경을 가르쳤으며, 그가 떠난 후 그의 공동체 일원이었던 마르셀라가 이를 계승하여 여성들만의 금욕 공동체를 만들었다. 이는 로마 지역에 금욕 공동체가 만들어지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카시누스는 마르세유에 수도원을 세웠는데, 그는 이집트에서 10년간 수도자 생활을 한 후 로마를 거쳐 마르세유에 도착했다. 그는 자신이 경험한 수도원 생활을 바탕으로 남자와 여자를 위한 각각의 수도원을 세워 운영하였으며, 이를 통해 '규칙'과 '대화집'이라는 저술을 통해 서방교회 수도원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성 패트릭은 갈리아 지역의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었는데, 그의 전도 활동으로 인해 아일랜드 전체가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아일랜드의 그리스도교는 금욕적이고 수도원 중심적이었으며, 수도원장이 가장 중요한 종교지도자였다. 아일랜드 수도자들은 학문에 대한 열정이 강했고, 이들은 훗날 카롤링거 르네상스의 배경을 제공하는 등 고대 학문 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동방에서 시작된 수도원 운동은 4~5세기 경 서방 세계로 전파되었고, 제롬, 카시누스, 성 패트릭과 같은 인물들이 이를 주도하였다. 이를 통해 동방 수도원과는 다른 서방만의 독특한 수도원 문화가 형성되었다.
1.2. 베네딕트 수도회의 성립과 영향
1.2.1. 누르시아의 베네딕트
누르시아의 베네딕트은 480년 이탈리아의 누르시아에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로마의 행정관으로서 필요한 교양을 배우기 위해 유모와 함께 로마로 유학을 갔으나, 환락과 퇴폐가 만연했던 로마 생활에 염증을 느끼고는 엔피데의 수비아코 계곡에 있는 동굴에서 홀로 은수 생활을 시작했다. 당시 로마는 사회적으로 이민족의 침략에 시달리고 있었고, 종교적으로는 다수의 이단적 사상의 발원으로 정통 교리를 수호하려는 신학적 논쟁이 계속되는 등 교회는 분열되어 있던 상태였다.
그러던 어느 날, 베네딕트의 기도로 기적이 일어난 것을 계기로 많은 사람들이 그를 찾아오기 시작했고, 사람들의 요청에 의해 마지못해 비코바로의 수도원장을 수락했다. 하지만 그의 수도생활은 엄격한 규칙을 요구했기에 이를 참지 못한 수도자들이 그를 없애려는 계략을 꾸미기 시작했다. 이를 눈치 챈 베네딕트는 다시 수비아코 계곡으로 돌아와 그를 따르는 12명의 제자들과 함께 12개의 수도원을 설립하여 그 곳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 인근 지역 사제로부터 시기를 받게 되었고, 그러자 ...
참고 자료
심창섭, 『기독교 교회사』,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1998
Schaff, Philip, 『교회사전집 4』, 이길상, 크리츠찬 다이제스트, 2004
Schaff, Philip, 『교회사전집 5』, 이길상, 크리츠찬 다이제스트, 2004
주도홍, 『새로 쓴 세계교회사』, 개혁주의신행협회, 2006
Williston Walker, 『기독교회사』, 송인설,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Anselm Grun, Benedikt von Nursia, 정하돈 역, 『안셀름 그륀의 베네딕트 이야기』 (경북 왜관: 분도출판사, 2008), 43.
Gregorius Magnus, 『베네딕도 전기』, 44-45; 홍성임 옮김
크리스토퍼 브룩 지음, 이한우 옮김, 『유럽을 만든 은둔자들 수도원의 탄생』, 청년사, 2005
호이징가, 최홍숙 옮김, 『중세의 가을』, 문학과지성사, 1997.
페르디난트 자입트, 차용구 옮김, 『중세의 빛과 그림자』, 까치, 2000.
브라이언 타이어니/시드니 페인터 공저, 이연규 역, 『西洋中世史』, 집문당, 2002.
민석홍, 『西洋史槪論』, 三英社, 2001.
E. M. 번즈/R. 레너/S. 미첨 공저, 박상의 옮김, 『서양문명의 역사Ⅱ』, 소나무, 1994.
김영재, 『기독교교회사』, 이레서원, 2004.
칼 수소 프랑크, 최병걸 역, 『기독교 수도원의 역사』, 은성, 1997.
유스토 L. 곤잘레스, 서영일 역, 『중세교회사』, 은성, 1987.
수잔 와이즈 바우어 지음, 최수민 옮김, 정병수 그림,「교양있는 우리아이를 위한 세계역사이야기 2 중세편』, 꼬마이실, 2004
진원숙, 『살림지식총서 283 - 초기 기독교 이야기』, 살림출판사, 2007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크리스토퍼 브룩, 이한우 역, 『수도원의 탄생』, 2005.
곽은서, 「중세 시토 수도원의 개혁운동에 나타난 성 버나드의 개혁영성에 관한 연구」, 2004.
구남일, 「수도원 운동에 관한 연구 - 베네딕트 회를 중심으로」, 2006
주재현, 「베네딕투스 수도회 연구 - 수도회 규칙을 중심으로」, 2010
허재필, 「Benedict 수도원 운동에 관한 연구」, 2010
엄윤섭, 「베네딕트 수도원의 생활과 규칙에 관한 연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