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농산물 업체 출하방법 개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농산물 유통환경
2.1. 현황
2.2. 특징
3. 유통환경의 변화
4. 도매상의 마케팅 의사결정 전략
5. 도매상의 발전 방향
5.1. 경매제도 개편
5.2. 시장도매인제 도입
6. SCM의 발전과정
6.1. 재고관리법
6.2. 발주점 발주방식
6.3. MRP(Materials Requirements Planning)
6.4. CLOSED LOOP MRP
6.5. MRPII(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6.6. JIT(Just-In-Time)
6.7.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6.8. TOC(Theory of Constraints)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996년부터 WTO협정에 의해서 유통시장이 완전개방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농산물유통환경은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처해있다. 대형 유통기업들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도매시장을 중심축으로 하여 운영되어 왔던 전통적인 농산물 유통질서는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신물류 유통시스템에 대한 적응을 위한 엄청난 변화의 와중에 들어가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신물류시대의 발전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집중적으로 점검함으로써 농산물 산지유통의 효율화 방안을 구명·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농산물 유통의 산지단계에서 농산물의 표준규격화, 브랜드화는 어떻게 효율적으로 추진할 것인가? 둘째, 신선농산물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예냉처리→저온저장→저온수송"의 저온일관유통체계는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셋째, 산지출하조직을 어떻게 육성하고 그 운영을 활성화 시킬 것인가? 넷째, 짧은 기간 동안에 대량으로 설치된 산지유통시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어떤 시책이 강구되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농산물 유통환경
2.1. 현황
농산물 유통환경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17년 기준으로 한국의 농수산물 공영도매시장은 총 33개소이며, 도매시장법인은 106개, 시장도매인은 56개가 영업 중이다. 공영도매시장 종사자는 총 27,337명으로, 이 중 산지유통인이 12,028명으로 가장 많고, 중도매인이 7,512명, 하역인이 3,871명, 도매법인 임직원이 2,460명, 관리사무소 887명, 매매참가인 734명 순으로 나타났다.
총 거래량은 7,343,034톤으로 2016년 대비 약 0.3% 소폭 감소하였으며, 총 거래금액도 127,868억 원으로 2016년 대비 1.4% 소폭 감소하였다. 그러나 2010년 총 거래량 약 5,273,000톤(원예 농산물 도매시장 경유율 40.8%)에서 2015년 총 거래량 약 7,118,000톤(원예 농산물 도매시장 경유율 68.6%)으로 대형마트, 온라인 시장 등 경쟁유통경로의 성장 속에서도 도매시장 경유율이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도매시장이 여전히 농산물 유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2. 특징
농산물 유통환경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물은 생산의 계절성으로 인해 저장이 필수적이다. 포장센터에서는 저온저장을 통해서 농산물을 장기간 보관함으로써 가동율을 제고시키려 하고 있으며, 생력화 측면에서 지게차와 팔레트의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건립되어 있는 창고와 표준팔레트와의 정합성은 대체로 미흡한 편인데, 이는 건설할 때부터 물류혁신에 대한 인식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표준규격화는 등급 규격화와 포장규격화로 구분되는데 대부분의 생산자 및 산지 출하조직에서는 포장규격화는 상대적으로 잘 하고 있으나 등급규격화는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품목별로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면 품종이 다양하고 같은 품종이라 하더라도 토질·재배기술 등 재배환경에 따라 품질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질의 등급을 수집하기가 어려운 점이 가장 큰 이유이다. 또한 수취가격면에서 별 이득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매시장의 중매인들 조차도 등급마진을 취하고자 제대로 등급화된 것을 원치 않고 있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셋째, 청과물 전체로 보아 표준팔레트를 이용해 외부로 운반하고 있는 비중은 겨우 18.2%일 뿐, 대부분의 산지에서 표준팔레트를 이용하지 않고 있다. 출하조직에서 팔레트를 이용할 만큼의 등급별 물량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넷째, 산지에서의 출하상품의 브랜드는 주로 농협 또는 영농조합 법인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브랜드별 물량이 소형화되어 지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공동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브랜드의 신뢰도가 저하되고 있으며, 브랜드의 이용 지역 범위가 협소해 등급별 물량의 확보가 어려운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3. 유통환경의 변화
국가 주도의 급격한 산업화 과정을 통해 인구의 이동과 도시화, 특히 수도권으로의 집중이 가속화되었다. 반면 인구감소로 발생하는 농촌지역의 잉여농산물을 가능한 값싸게 공급하는 것은 농촌지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실제로 도시지역 농산물 소비의 증가와 급격한 상업농화로 농산물 수급불안과 가격 급등락이 심화됨에 따라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77년 공영도매시장 건립을 결정하고, 1985년 가락시장이 개장됨으로써 공영도매시장 시대가 시작된다.
이후 한국 농산물 유통의 중추적인 경로로 자리 잡아온 공영도매시장에 대한 정책은 정부 농산물 유통정책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여 왔다. 그러나 농산물 도매시장과 관련된 정책이 "소비 트렌드 및 사회적·기술적 환경" 변화를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전후방 가치사슬의 변화를 견인해야 하는 중간 유통기구로서의 도매시장 역할은 상대적으로 그 역할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즉 도매시장 건립 당시의 비차별적인 원물(元物)중심의 농산물 수요가 차별적인 친환경, 전처리, 소포장 농산물 수요 등으로 바뀌고 소비패턴도 빠르게 변화하는 등 농식품 유통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으나, 이러한 효용부가 활...
참고 자료
권승구, 「유통환경변화와 농산물 도매시장의 비젼」, 한국식품유통학회, 2016
권승구, 「농식품 유통의 현실과 미래과제」, 한국식품유통학회, 2017
김동환, 「4차산업혁명과 농산물 유통」, 신유통리서치, 2016
김병률, 「유통환경 변화와 도매시장 유통 혁신방향」, 한국식품유통학회, 2015
김병률, 「지속가능한 농업과 식품유통부문 연계방안」,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6
김병률 외, 「농산물 유통효율화를 위한 이미지경매 기술개발 및 실증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위태석, 「도매시장 종사자의 경쟁촉진을 위한 정산기구 도입방안」, 한국식품유통학회 , 2017
성형주, 「농산물 유통효율화를 위한 공영도매시장 정보화 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논문, 2019
한국농정신문, “도매시장은 아직도 중앙집권시대”, 2019. 04. 01.
머니투데이방송, [더 리더] 이병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장 "농식품 산업 강한 대한민국 만들기 위해 발로 뛸 것", 2019. 04. 02.
조선비즈, [2018 유통포럼] AI가 바꾼 유통의 미래...“혁신없인 생존 불가능”(종합), 2019. 03. 22.
울산 MBC, 안동 전통시장-대형마트 '상생 실험', 2019. 02. 01.
[양승룡 칼럼] 경매제와 시장도매인제 논쟁, 무엇이 문제인가, 양승룡, 농민신문, 2019.11.11.
도매시장 유통환경변화 대응 물류개선 방식 필요, 박현렬, 농수축산신문, 2018.11.08.
도매시장의 미래와 SCM, 김주수
[인터뷰] 도매시장, 변하는 유통을 보고만 있을 건가, 권순창, 한국농정, 2019.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