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전광역시 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 분석
1.1. 사업체 및 종사자 수 현황
대전광역시의 사업체 및 종사자 수 현황은 다음과 같다.
대전광역시의 사업체 수는 1998년 81,181개에서 2017년 115,423개로 약 42% 증가하였다. 특히 2010년대 전반기부터 사업체 수가 급증하여 2012년 104,609개, 2015년 111,815개, 2017년 115,423개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종사자 수 또한 1998년 338,025명에서 2017년 605,742명으로 약 79% 증가하였다. 사업체 수와 유사하게 2010년대 전반기부터 종사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여 2012년 521,281명, 2015년 586,069명, 2017년 605,742명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이처럼 대전광역시의 사업체 및 종사자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의 대전 이전으로 인한 지방 균형발전 정책의 영향으로 보인다. 정부기관 이전에 따라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이에 따른 관련 업종 사업체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1.2. 인구 추이 분석
대전광역시 인구 추이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왔다. 2000년 1,396,869명이었던 대전광역시의 추계인구는 매년 증가하여 2019년에는 1,523,897명에 이르렀다. 이는 최근 20년간 약 9.1%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2002년부터 2007년까지는 연평균 1.43%의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대전광역시에 정부기관이 이전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진 결과로 추정된다. 이후 2007년부터 2012년까지는 연평균 증가율이 0.93%로 다소 둔화되었지만, 2012년부터 2017년까지는 연평균 1.56%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다시 빠르게 늘어났다.
인구 증가의 배경에는 대전의 산업구조 변화와 맞물려 있다. 정부기관 이전으로 공공행정이 중심이 된 지역에서 최근에는 제조업 및 지식서비스업이 성장하면서 인구유입이 있었다. 또한 지역 균형발전 정책의 영향으로 대전의 교통 인프라가 크게 개선되어 접근성이 높아진 것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도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과 연구소의 대전지역 유치가 가속화되면서 대전의 인구 증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급증하는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주택공급, 교통 및 의료 인프라 확충 등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1.3.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추정
대전광역시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추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정이유를 살펴보면, 정부기관의 대전 이전으로 인한 지역 균형발전으로 대전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해당 지역을 선택하였다. 통계자료를 확인해보면 실제로 대전광역시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전광역시의 사업체 수는 1998년 81,181개에서 2017년 115,423개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종사자 수 또한 1998년 338,025명에서 2017년 605,742명으로 증가하였다. 인구 추이를 살펴보면 2000년 1,396,869명에서 2019년 1,523,897명으로 증가하여 지역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를 추정해 볼 수 있다. 단순 이동평균법을 적용하면 2022년 사업체 수 예측치는 114,538개, 종사자 수 예측치는 601,121명으로 나타났다. 가중평균법이나 지수평활법 등의 방법을 적용하면 보다 정교한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대전광역시는 정부기관 이전 등 지역 균형발전 정책에 힘입어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물류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2. 상용차 부품 물류센터 입지 요인 분석
2.1. 상용차 등록 및 화물 운송 현황
상용차 등록 및 화물 운송 현황이다. 행정안전부 「한국도시통계」에 따르면, 대전광역시의 화물차 등록대수는 2009년 82,865대에서 2016년 86,422대로 증가하였다. 인천광역시는 2009년 158,856대에서 2016년 183,445대로, 부산광역시는 2009년 189,029대에서 2016년 191,215대로 증가하였다. 전라북도 전주시는 2009년 36,848대에서 2016년 38,064대로, 강원도 원주시는 2009년 22,930대에서 2016년 25,441대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주요 지자체들의 화물 수송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2. 주요 지역별 물류 인프라 분석
주요 지역별 물류 인프라 분석은 다음과 같다.
부산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