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모의수업 교안
1.1. 학습 문형 A/V-아서/어서 (이유)
'A/V-아서/어서'는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아서'와 '-어서'는 후행절의 행동이나 상태의 이유를 나타낸다. 즉, 선행절의 상황으로 인해 후행절의 행동이나 상태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가 고파서 식당에 갔다"에서 "배가 고프다"는 선행절이고 "식당에 간다"는 후행절이다. 선행절의 상황인 "배가 고프다"로 인해 후행절의 행동인 "식당에 간다"가 발생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커피를 마셔서 잠을 잘 수 없었다"에서 선행절의 상황인 "커피를 마셨다"로 인해 후행절의 상황인 "잠을 잘 수 없었다"가 발생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A/V-아서/어서'는 원인과 결과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되며, 선행절에 나타난 이유나 원인으로 인해 후행절의 상황이나 행동이 발생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1.2. 학습 목표
'A/V-아서/어서'의 의미, 형태, 기능을 이해하고 'A/V-아서/어서 (이유)'의 표현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다.""
이는 본 수업의 학습 목표로, 학생들이 'A/V-아서/어서'의 의미와 형태, 그리고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이유'를 표현하는 문장을 말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A/V-아서/어서'라는 문법 형태를 익히고, 이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자신의 의도와 이유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1.3. 수업 단계
1.3.1. 도입
도입에서는 평소 학습자들의 경험과 관련을 짓는 질문을 통해 학습자의 이해를 높이고 동기를 부여한다. 교사는 안녕하세요라는 인사로 시작하여 학습자의 여름방학 여행 경험을 묻는다. 학습자 개개인의 경험을 언급하며 '바빠서 고향에 못 갔어요'와 같이 '-(아)서/-(어)서' 문형을 활용한 대화를 이어간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이미 해당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오늘 수업에서 이 문법에 대해 자세히 배우게 될 것이라는 점을 안내한다. 이처럼 도입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경험과 관심사를 환기하고 수업 내용과 연결시켜 수업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1.3.2. 제시: 의미 제시 및 형태 제시
'제시: 의미 제시 및 형태 제시'는 학습자들이 'A/V-아서/어서'의 의미와 형태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교사는 다양한 예문을 제시하며 'A/V-아서/어서'가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임을 설명한다. 구체적인 예문들을 통해 학습자들이 'A/V-아서/어서'의 사용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A/V-아서/어서' 형태를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모음 변화와 자음 변화에 대한 규칙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A/V-아서/어서'의 의미와 형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3.3. 연습: 기계적 연습
[연습: 기계적 연습]
학습자는 교사가 제시한 그림(단어)카드를 보고 알맞은 문장을 만들어 반복 연습한다. 교사는 그림카드를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각 그림에 대해 학습자가 '-아서/어서'를 사용하여 이유를 나타내는 문장을 만들어 말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아서/어서'의 사용법을 기계적으로 연습하여 익히게 된다. 예를 들어 교사가 "배고파서 식당에 갔어요."라고 말하면 학습자는 "배가 고파서 식당에 갔어요."라고 반복하여 말한다. 이러한 기계적 연습을 통해 학습자는 '-아서/어서'의 형태와 의미를 체화할 수 있다."이다.
1.3.4. 연습: 유의미한 연습
연습: 유의미한 연습은 학습자들이 직접 목표 문법을 사용하여 대화를 나누며 연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짝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장을 만들고 서로 묻고 답하는 과정에서 목표 문법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