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오븐 열에너지 바꾸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전기오븐 열에너지 바꾸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자레인지 화재 위험 및 예방
1.1. 서론
1.2. 전자레인지의 개요 및 작동 원리
1.3. 전자레인지에 금속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
1.4. 전자레인지 화재 사례
1.5. 금속 탐지기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안
1.6. 제안의 실용성
1.7. 결론

2. 마이크로웨이브 기술의 산업 응용
2.1. 마이크로웨이브 정의 및 특성
2.2. 친환경 목재 건조 및 살균 장치
2.3.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
2.4. 마이크로웨이브 유도가열 열처리 기술
2.5. 산업용 마이크로웨이브 배치 오븐

3. 적외선 온도계 기술
3.1. 적외선 온도계 원리
3.2. 적외선 온도계 내부 구조
3.3. 적외선 온도계 활용 분야

4. 에너지 위기와 에너지 빈곤
4.1. 성급한 그린 뉴딜 정책
4.2. 성급한 친환경 정책이 초래한 에너지 빈곤
4.3. 에너지 비용 상승으로 인한 경기 침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자레인지 화재 위험 및 예방
1.1. 서론

전자레인지(microwave range)는 냉장고에 얼려두었던 음식재료를 해동시키거나 차갑게 식은 음식을 따뜻하게 데울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전자제품이다. 최근에는 1인 가구 수의 증가에 따라 이른바 '혼밥족'이 늘어나면서 '컵밥'과 같이 전자레인지로 손쉽게 요리할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전자레인지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레인지는 간편하게 음식을 데울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우리 집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금속물질을 넣고 사용하면 안 되는 것을 알면서도 가끔 실수로 쿠킹호일(cooking foil)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용기를 넣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최근에는 아빠께서 식어버린 커피를 데우시려고 텀블러(tumbler)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사용하시다가 스파크가 일어나 우리가족 모두 깜작 놀랐던 일도 있었다. 우리 아빠의 경우와 같이 실수로 금속물질을 넣고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더라도 빨리 알아차리면 전자레인지 내에서 스파크가 일어나는 정도로 끝날 것이지만 만약 너무 늦게 인지했다면 전자레인지로부터 발화된 불이 우리 집 전체로 퍼져 위험한 상황에 까지 이렸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 팀은 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것 중에 위험요소가 내재되어있는 물건을 전자레인지로 선정하였으며, 전자레인지에 금속물질을 넣고 사용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위험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전자레인지의 개요 및 작동 원리

전자레인지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하는 조리 기구이다. 전자레인지는 빠른 속도로 전기장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마그네트론을 사용하여 1초에 무려 24억 5천만 번이나 전기장의 방향이 바뀌는 전자기파로 식품을 가열한다. 이 전자기파를 마이크로파(micro wave)라고 하며, 마이크로파는 전자기파 중 진동수(주파수) 300MHz~300GHz이며, 파장으로 보면 1mm~1m인 전자기파의 영역이다.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물의 성질을 이용하여 음식을 익힌다. 물 분자들은 평소에는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있으나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극초단파)를 이용하여 전기장을 걸어주면 물의 양전하와 음전하가 회전하면서 재 정렬을 하게 된다. 이때 분자간의 충돌이 일어나며 충돌된 분자는 운동을 하게 되어 운동에너지에 의한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마이크로파에 의한 음식물의 가열원리를 유전가열방식(dielectric heating)이라고 한다. 유리나 종이,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은 마이크로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파를 통과시키지만 음식물 속 대부분을 이루는 물 분자나 그 외 지방, 당과 같은 분자에 흡수되어 음식물을 덥히는 작용을 한다.


1.3. 전자레인지에 금속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

전자레인지에 금속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레인지에는 마그네트론이라는 장치가 있는데, 이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가 금속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금속 용기에 음식물을 넣고 사용할 경우 음식물을 데울 수 없게 된다.

둘째, 안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자레인지 내부 벽면이 금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을 넣고 작동할 경우 금속과 금속의 접촉에 의한 마찰 부위에서 전자기파의 간섭이 일어나 스파크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금속의 모서리와 같이 뾰족한 부분에서는 전자기파의 집중도가 커져 더 위험하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에 금속 물질을 넣고 사용하면 음식물을 제대로 데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재 위험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절대 피해야 한다.


1.4. 전자레인지 화재 사례

전자레인지 화재 사례를 살펴보면, 2012년 경기도 파주 아파트에서 일어난 화재 사고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이 사고에서는 초등학생 남매가 유독가스에 질식되어 중태에 빠졌는데, 이는 어머니가 전자레인지를 잘못 사용하다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KBS 뉴스에 따르면 이 어머니는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음식을 데우려다가 실수로 화재가 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잘못된 전자레인지 사용은 화재 등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특히 금속물질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사용하게 되면 스파크가 일어나고 불이 붙을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EBS 클립뱅크의 실험에서도 금속 물질인 은박지를 전자레인지에 넣었더니 불꽃이 일어나고 화재가 발생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1.5. 금속 탐지기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안

금속 탐지기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안이다. 전자레인지에 금속물질을 넣고 사용하게 되면 스파크가 일어나고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레인지 내부에 금속물질이 들어가기 전에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전자레인지 상부에 금속 탐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좋...


참고 자료

“애니메이션과 함께 보는 전기 전자의 기초 <전기 전자 해부 매뉴얼>”
저자: 이과교육연구소, 출판사: 골든벨, 2017년
“일러스트로 보는 기초전기전자”
저자: 이태원, 출판사: 한진, 2013년
“과학공화국 생물법정 3권 <파리와 전자레인지>”
저자: 정완상, 출판사: 자음과 모음, 2015년
KBS News, (http://news.kbs.co.kr)
EBS 클립 뱅크, (http://home.ebs.co.kr/clipbank)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
두산백과(doopedia), (http://www.doopedia.co.kr)
국민안전처 국가화재정보센터, 화재현황통계(www.nfds.go.kr)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wsoptic&logNo=22139412810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
http://www.autocontrol5.co.kr/board/board1/fileup/upload/20141002/tech2014086776.pdf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97381&cid=42441&categoryId=42441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287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