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취미와 예술
1.1. 코로나19와 취미 생활의 변화
1.1.1. 코로나19 종식 전망
코로나19의 종식 전망이 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9명이 코로나19가 독감처럼 계속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들의 의견 역시 마찬가지로, 데일리메디 2021년 2월 19일 기사에 따르면 세계 면역학자와 과학자 등 대다수 전염병 전문가가 "코로나19 대유행이 끝나도 사실상 종식은 불가능하다"고 답하였다. 그 비율이 무려 89%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의 불균등한 접종 상황, 백신 거부자, 정치적 의지 부족 등으로 인해 코로나19가 빨리 종식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처럼 국민과 전문가 모두 코로나19의 종식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1.2. 코로나19 이전 취미와 변화된 취미
코로나19 이전 사람들의 취미생활은 술먹기, 카페 가기, 맛집 다니기, 노래방 가기, 여행가기, 만화방 가기, PC방 가기, 클럽과 같은 다중이용시설 가기 등이었다"라고 볼 수 있다. 그 이상의 나이대 사람들 역시 위와 같은 취미 중에 일부를 즐기기도 하였고, 여러 동호회를 통해 각종 취미를 즐기기도 했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이러한 취미활동은 이용제한이나 코로나19 감염 위험성으로 인해 사람들이 기피하게 되면서 변화가 일어났다. 대신 집에서 할 수 있는 취미활동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는데, 셀프 인테리어, 공예, 그림, 취미스타그램, 뜨개질, 핸드메이드, 십자수, 블로그, 커피 만들기, 반려동물 및 꽃 키우기, 오디오북 듣기, 드라마 및 영화 정주행하기 등이 생겨났다. 이러한 취미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주축은 20~50대로 파악되고 있다.
1.1.3. 셀프 인테리어
코로나19 이전에도 집에서 혼자 셀프 인테리어를 하는 사람들이 있긴 했다. 하지만, 소수의 취미에 불과했었던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 등으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크게 증가하면서 유튜브나 블로그 등을 보고 셀프 인테리어를 배워 직접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매일경제 2021년 7월 8일 기사에 따르면 온라인 몰 G마켓은 지난 5월 21일부터 6월 20일까지 리모델링 관련 상품판매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최대 8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특히 집안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타일과 바닥재의 판매량은 762% 증가하였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셀프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1.1.4. 홈 코인 노래방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노래방 이용이 어려워지자, 사람들은 집에서 편하게 노래할 수 있는 홈 코인 노래방을 만들기 시작했다.
홈 코인 노래방은 코인을 넣어 개인적으로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시설을 가정에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이전에도 일부 사람들이 집에 노래방 기계를 설치하긴 했지만, 이는 소수의 취미에 불과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노래방 이용이 어려워지자 홈 코인 노래방이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인사이트 2021년 10월 2일 기사에 따르면 현재 '1인용 노래방 마이크'가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한다. 이외에도 아예 빔프로젝트와 마이크, 앰프 등을 구입하여 노래방을 만든 사람들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노래방 어플리케이션과 블록체인 노래방 서비스, 관련 유튜브 채널 등이 주목받고 있다.
게다가 최근 노래방이 폐업하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면서 반주기나 앰프, 조명 등을 과거에 비해 더 싸게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취미를 즐길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코로나19로 인해 외출이 어려워지면서 사람들은 집에서 편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홈 코인 노래방을 직접 만들어 활용하게 된 것이다. 이는 코로나19가 기존 취미 생활의 변화를 이끌어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1.5. 영화 및 드라마 정주행
코로나19가 크게 유행하면서 사람들의 취미생활에 많은 변화가 생겨났는데, 그중에서도 영화 및 드라마 정주행(binge-watching)은 대표적인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취미 경향이 되었다.
코로나19 이전에도 일부 사람들이 여가시간에 영화와 드라마를 즐기는 경우가 있었지만,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이러한 경향이 급증하게 되었다. 외출이 제한되고 여러 시설들이 폐쇄되면서 사람들은 집에서 시간을 보내게 되었고, 이에 따라 넷플릭스와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이 크게 늘어났다.
특히 넷플릭스는 코로나19 여파로 크게 성장했는데, 코로나19 이후에는 기존의 인기 작품들뿐만 아니라 새로운 화제의 드라마와 영화들을 선보이면서 구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대표적인 사례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며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집콕 문화와 맞물려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영화와 드라마 정주행은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인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크게 증가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이러한 경향이 뚜렷했는데, 이들은 스트레스 해소와 여가 활동을 위해 하루 종일 영화와 드라마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도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될 경우 영화 및 드라마 정주행 문화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TV 중심의 영상 콘텐츠 소비에서 벗어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보편화될 것이며, 이에 따라 관련 산업의 발전도 기대해 볼 수 있다.
1.1.6. 홈 카페
그린포스트코리아 2021년 1월 12일 기사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화로 커피전문점을 찾기보다 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