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교란식물 5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생태계교란식물 5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외래종과 귀화종
1.2. 외래종의 도입

2. 생태계 교란 식물의 현황
2.1. 생태계 교란 식물의 종류
2.2. 생태계 교란 식물의 분포 현황
2.2.1. 영산강 유역의 생태계 교란 식물 분포
2.2.2. 생태계 교란 식물 서식지별 비교

3. 주요 생태계 교란 식물의 현황과 대책
3.1. 돼지풀
3.2. 가시박
3.3. 털물참새피

4. 외래 생물로 인한 국내외 피해 사례
4.1. 외래생물로 인한 국내의 피해 사례
4.1.1. 블루길 및 큰입배스
4.1.2. 황소개구리
4.1.3. 붉은귀거북
4.2. 외래생물로 인한 해외의 피해 사례
4.2.1. 구피
4.2.2. 뉴트리아
4.2.3. 담배가루이
4.2.4. 모잠비크틸라피아

5. 결론
5.1. 외래생물의 도입 차단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외래종과 귀화종

외래종과 귀화종은 생물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외래종은 원래 외국에서 도입된 종을 의미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토종 생물이더라도 원래 서식지를 벗어나 다른 공간으로 이주하여 서식하는 종들도 외래종으로 부른다.

외래종 중에는 특정한 목적 없이 유입되었으나 아직 자연 생태계에 정착하지 못한 도입종이 있고,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야생 생태계에서 스스로 번식하고 생존할 수 있는 종인 귀화종이 있다. 귀화종은 자연스럽게 토종 생물들의 생태계에 정착하여 서식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도입종과 구분된다.

이처럼 다양한 경로로 유입된 외래종들은 천적이 없고 번식력이 뛰어나며 적응력이 높아 토종 생물들의 생태계를 지배하고 점령하고 있다. 이로 인해 토종 생물들의 터전은 점점 줄어들고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먹이사슬이 무너지고 있다. 따라서 생태계 파괴의 주범이 되는 외래종의 유입과 확산에 대한 관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1.2. 외래종의 도입

외래종은 다양한 경로로 이동되고 퍼져나가며 도입되고 있다. 의도가 있어 도입된 외래종을 보고 의도된 도입경로에 따른 외래종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동식물들을 전시, 관람하기 위해 외래종이 도입된 경우, 왕우렁이처럼 농업에 이용하기 위해서 들어온 경우, 또한 밍크나 뉴트리아처럼 모피를 얻기 위해서 들어온 경우, 황소개구리처럼 식용을 위해서 도입된 경우, 희귀한 애완동물을 기르겠다며 외국에서 가져오는 경우 등을 외래종의 의도된 도입이라고 말한다. 반대로 농산품 오염물질, 종자와 식물묘목에 의한 오염, 소포나 우편, 비행기, 선박등을 통한 유입, 여행자와 여행자 짐으로 인한 도입처럼 아무 의도 없이 모르는 사이 도입된 경우를 비의도적 도입이라고 한다. 이처럼 도입된 외래종들은 천적도 없고 번식력도 뛰어나며 적응력이 뛰어나 토종생물들의 생태계를 지배하고 점령하고 있다. 그로 인해 토종생물들의 터전은 점점 줄어들고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먹이사슬이 무너지고 있다."


2. 생태계 교란 식물의 현황
2.1. 생태계 교란 식물의 종류

생태계 교란 식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황소개구리는 북미 원산의 외래종으로, 몸길이가 12~20㎝ 정도이며 눈과 고막이 매우 크다. 몸 색깔은 회색에서 은녹색이며 등쪽은 옅은 녹색이나 갈색, 회색 등으로 변이가 심하다. 몸에 작고 검은 점들이 표면에 있고, 배 쪽에는 돌기가 없다. 국내 참개구리나 다른 개구리들보다 두세 배 크고, 울음소리는 소가 우는 소리와 유사하다. 농경지 수로, 연못, 웅덩이에서 서식하며, 우리나라에는 천적이 거의 없어 참개구리, 청개구리, 뱀까지 잡아먹는 등 탐식성 양서류이다.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교란하여 생태계를 파괴하는 등 악영향을 끼쳐 생태계교란 야생동식물로 지정되었다"이다.

블루길은 파랑볼우럭·월남붕어·넓적붕어라고도 한다. 몸길이 10∼33cm, 몸무게 340∼450g이며, 몸과 머리는 옆으로 납작하고 몸은 길이가 짧은 달걀 모양이다. 몸빛깔은 등쪽이 짙은 푸른색이고 배면은 노란색 광택이 나며, 몸의 옆면에는 8∼9줄의 가로띠가 있다. 블루길은 번식력이 높은 잡식어종으로 규조류, 녹조류, 수서곤충, 새우, 물고기 등 움직이는 생물을 공격하고 포식하여 담수생태계를 파괴한다"이다.

큰입배스는 육식어종으로 치어 때는 갑각류를 주로 먹고 개체가 커지면 수서곤충, 어류 등 움직이는 생물을 섭식한다"이다.

단풍잎 돼지풀은 북미에서 들어온 국화과의 식물로서 양지바른 곳이면 주택가, 산의 능선, 계곡, 휴경지 등에서 왕성히 자라 다른 식물들이 비집고 들어오지 못할 정도의 큰 무리를 이룬다. 특히 단풍잎 돼지풀은 키가 크기 때문에 다른 식물의 생육을 방해할 수 있으며, 제거할 때에는 반드시 뿌리 채 뽑아 건조 후 폐기해야 한다"이다.

돼지풀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30~180 cm로 곧추서있고 가지가 많은 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줄기 하부에서 마주나며 상부에서 어긋나고 2~3회 가늘게 갈라진다. 7~10월에 주로 피며 자웅동주이다. 전국적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고 번식력과 생육력이 매우 높아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문제가 있어 생태계교란 야생종으로 ...


참고 자료

김길웅, 신동현, 이인중, 『최신잡초방제학원론』, 경북대학교출판부, 2021
김진원, 이인용, 이정란,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n Croplands)」,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6 no.2 2017, pp.117-123
이영기, 「생턔계교란 가시박의 수계 내 서식특성 분석 및 적정 방제방안」,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이수인 외, 「돼지풀잎벌레의 섭식에 의한 생태계교란 식물인 단풍잎돼지풀의 제어 가능성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25(3), 2023년, pp.184 - 195
장윤석, 「애기수영의 생태적 방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김하송, 조영준, 곽수란, (2019). 영산강하류지역의 생태계교란식물 분포와 관리방안, 한국도서섬학회, 31(1), pp. 257~276.
http://www.riss.kr/link?id=A106174267
임정철, 정현기, 이철호, 최병기, (2017). 낙동강 하구언 일대의 물참새피군락 분포 현황, 한국하천호수학회, 50(2). pp. 195~206.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584025
한국 잡초학회 홈페이지
https://web.archive.org/web/20171015201754/http://ksws.kr/bbs/board.php?bo_table=6_4&wr_id=274
파주뉴스
https://www.paju.go.kr/news/user/BD_newsView.do?q_ctgCd=1002&newsSeq=699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s://kias.nie.re.kr/home/for/for02002v.do?clsSno=10219&searchClsGbn=eco
KBS 뉴스, 2008.08.25., “호흡기 질환 원인 ‘돼지풀’, 국립공원도 점령”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1620843
조선일보, 2009.07.04. “ "괴물이야, 괴물… 아무리 뽑아도 안돼"”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7/03/2009070301620.html?Dep0=chosunmain&Dep1=news&Dep2=headline1&Dep3=h1_02
지켜라 멸종 위기의 동식물, 백은영, 과학동아북스, 2013
황소개구리를 내 쫓아라, 이재현, 천재교육사, 1995
Why 물고기, 김남길, 예림당, 200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