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리더십 상황이론과 상황변수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피들러의 리더십 상황이론
1.1. 개요
1.2. 리더십 유형 분류
1.2.1. 관계지향 리더십
1.2.2. 과업지향 리더십
1.3. 상황변수
1.3.1. 리더-구성원 관계
1.3.2. 과업구조
1.3.2.1. 목표명료성
1.3.2.2. 경로-목표의 다양성
1.3.2.3. 검증가능성
1.3.2.4. 구체성
1.3.3. 리더의 지휘권력
1.4. 리더십 상황이론의 의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피들러의 리더십 상황이론
1.1. 개요
상황이론은 효과적인 리더십이 보편적인 형태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조직이 처한 상황에 따라 변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시작된 이론이다. 피들러는 이러한 상황이론의 관점에서 리더의 유형을 제시하고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조직의 목적, 구성원과의 관계, 업무 특성 등 상황구성요소들을 파악하고 각 특성에 맞는 지도자와 리더십 유형을 제시하는 것이 피들러 리더십 상황이론의 핵심이다. 이를 통해 조직이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 유형을 선택함으로써 리더십의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 피들러의 주장이다.
1.2. 리더십 유형 분류
1.2.1. 관계지향 리더십
관계지향 리더십은 팀의 구성원들과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중요시하는 리더십 유형이다. 관계지향 리더들은 최대한 구성원들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리더십을 발휘하며, 상호 간의 신뢰와 협력을 중시한다. 이들은 구성원들의 감정과 요구사항에 귀 기울이며, 구성원들의 성장과 복지에도 관심을 가진다. 또한 구성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팀워크와 화합을 증진시키고자 노력한다. 관계 지향적인 리더들은 구성원들과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팀의 결속력과 응집력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성원들의 자발성과 참여도를 제고하여 팀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황이 리더에게 중간 정도로 호의적일 때 관계지향 리더십이 효과적일 수 있다.
1.2.2. 과업지향 리더십
과업지향 리더십은 팀의 구성원과의 관계보다는 일 자체의 목표달성에만 신경을 쓰는 유형이다. 때문에 직원들을 엄격하게 대하고 통제 중심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과업지향 리더십은 상황변수 중 과업의 구조화 정도와 직위권력이 매우 낮거나 매우 높은 경우에 효과적이다. 과업의 구조화 정도가 아주 높거나 낮은 경우, 즉 과업의 목표와 절차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거나 상대적으로 유연한 경우에는 과업지향 리더십이 더 유효하다. 또한 리더의 직위권력이 아주 크거나 아주 작은 경우에도 과업지향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반면 중간 정도의 과업 구조화와 적절한 수준의 직위권력이 존재...
참고 자료
하동석, 행정학용어표준화연구회,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 용어사전」, 2019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79008&cid=51072&categoryId=51072
조임현, 1998, 리더십의 상황적합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생산성학회, 제 12권 4호 p321~p339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리더십 교안, 2021, 3주차 2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