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스타벅스 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타벅스의 성공 요인
1.1. 경영자의 리더십과 혁신
1.2. 독특한 기업문화와 종업원 중심 경영
1.3. 감성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구축
2.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
2.1. 한국 사례: 전통과 현대의 조화
2.2. 동북아시아에서의 스타벅스 전략
2.2.1. 일본: 차별화된 매장 분위기와 표준화
2.2.2. 중국: 경제 변혁기와 젊은층 타깃
3. 고객 중심 경영과 지속 가능성
3.1. 스타벅스의 5P 마케팅 믹스
3.2. 오감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경험
3.3. 향후 과제와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스타벅스의 성공 요인
1.1. 경영자의 리더십과 혁신
하워드 슐츠(Howard Schultz) 스타벅스 회장은 스타벅스를 커피 회사로는 처음 주식시장에 상장시키고 전 세계에 2,000여 개의 매장을 갖는 다국적 기업으로 키워낸 장본인이다. 그는 1982년 대기업 부회장의 자리를 박차고 당시 오직 4개의 스토어를 갖고 있던 작은 커피 회사 '스타벅스'에 마케팅 책임자로 입사하게 된다. 이후 1987년 8월 스타벅스를 인수, 회장 겸 최고 경영자가 됐다. 슐츠 회장은 오늘의 스타벅스를 탄생시킨 사람으로서 그는 강력한 리더십의 소유자로 인식되고 있다.
슐츠 회장은 스타벅스를 보자 세계적 브랜드로 키우고 싶은 야망에 빠져들었다. 그는 본격적으로 스타벅스의 CEO가 되자 최고의 품질을 지닌 커피를 만든다는데 대해서 어떠한 타협 없이 밀어붙였다. 일례로, 스타벅스는 인공향을 넣지 않고 프랜차이즈로 운영하지도 않으며 슈퍼마켓에서 팔지도 않는다. 또 스타벅스의 성공 비결 중 하나는 '포장'인데, 커피가 상하지 않는 포장 법을 꾸준히 개발, 보관기간을 늘려왔다. 이 덕에 7년 전만 해도 보관기일이 7일 정도밖에 안됐던 것이 약 3달 정도로 크게 늘어났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스타벅스의 성공신화는 감성마케팅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이 감성마케팅을 창안한 사람도 바로 하워드 슐츠 회장이다. 슐츠 회장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독창적인 비즈니스 감각을 지닌 사람이다. 그는 사업 영역을 커피라는 한 종류의 상품에 집중시켰으며 여기에 감성을 도입, 세계적인 브랜드로 키워냈다. 슐츠 회장은 커피가 삶의 한 단면인 미국에서 후발주자로서 출발한 스타벅스가 무언가 다른 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초창기에 부족한 자본을 메우려고 백방으로 돈을 꾸러 다녔다고 한다. 그러나 커피라는 아이템에 투자할 미국의 투자자는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슐츠 회장은 불굴의 신념과 자신의 아이템에 대한 확고부동한 자신감으로 투자자들을 설득했다.
슐츠 회장은 기존의 커피전문점과 다른 신 개념의 커피 하우스를 창조해 나갔다. 사람들이 커피를 마시면서 감성적으로 친밀하고 즐거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했다. 고객들이 스타벅스에 들르면 거기에서 공동체적인 느낌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이렇듯, 스타벅스는 전통적인 비즈니스 방식 즉, 제품을 생산하고 경쟁사로부터 시장점유율을 빼앗아오기 위한 기존의 대량광고나 대량 유통방식을 취하지 않고 대신에 감성적인 마케팅 방식을 선택했다. 이러한 모든 아이디어는 슐츠 회장의 두뇌에서 나온 것이다.
스타벅스가 세계적인 다국적 커피기업으로 성장하게 된 요인은 슐츠 회장의 강력한 리더십과 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 외에도 독특한 기업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슐츠 회장은 모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성공은 공유돼야 최고의 가치를 발휘한다"고 밝힌 바 있다. CEO는 그런 면에서 종업원이 중요한 구성 요소라는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는데, 슐츠 회장은 그런 점을 잘 실천한 인물이다.
1.2. 독특한 기업문화와 종업원 중심 경영
스타벅스의 독특한 기업문화와 종업원 중심 경영은 기업의 성공 요인 중 하나이다. 스타벅스는 사원친화적 방침과 협력적인 일터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다른 경쟁사들을 따돌릴 수 있었다. 특히 파트타임 사원들에게도 보험 등의 기타 복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등 기존 기업들과는 차별화된 접근을 취했다. 이는 동기부여가 충분하고 헌신적인 인적자원이 소매업에서 성공하는 비결임을 스타벅...
참고 자료
김영한, 임희정. (2003).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 서울: 넥서스.
맹명관. (2005). 스타벅스 100호점의 숨겨진 비밀. 서울: 비전코리아.
신수영. (2002). 한국화 성공 – 인사동 스타벅스, 2002.3.19, 3, 머니투데이.
하워드 슐츠. (1999). 스타벅스, 커피 한잔의 성공신화. 서울: 김영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