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금오신화 속 욕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작품소개
1.1. 《금오신화》와 김시습
1.1.1. 《금오신화》의 개요
1.1.2. 김시습의 생애
1.2. 이생규장전
1.2.1. 줄거리
1.2.2. 특성
1.2.2.1. 낭만성
1.2.2.2. 비극성
1.2.3. 시 삽입의 의의
2. 인물의 역할극
2.1. 이생
2.2. 최랑
2.3. 이생의 아버지
2.4. 최랑의 부모
3. 김시습과의 인터뷰
4. 이생규장전 현대적 변용 사례 및 창작 기획
4.1. 의 현대적 변용 사례
4.1.1. 홍원기의 창극
4.1.2. 국립국악원, 정가극
4.1.3. 김인웅의 애니메이션
4.2. 의 새로운 콘텐츠 제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작품소개
1.1. 《금오신화》와 김시습
1.1.1. 《금오신화》의 개요
《금오신화》는 김시습이 창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傳奇)소설집이다. 전기소설은 문사들이 화려한 변체에 가까운 문언으로 남녀의 이합이나 신이한 이야기 등의 기사를 저술한 작품들을 가리킨다. 《금오신화》에는 , , , , 등 다섯 편의 전기소설이 수록되어있다. 이 가운데 , , 는 남녀의 이합을 다룬 것이며, , 에서는 자아의 이념이나 현실비판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거나 이상세계를 설정함으로써 서사의 영역을 넘어 교술 장르에 가깝게 다가갔다. 일반적으로 전기적인 이야기나 소설은 허황된 것으로 여겨져 경시되었다. 하지만 김시습은 사대부들의 태도와는 다르게 《금오신화》 창작에 정성과 진지함을 기울였다. 더 나아가 그는 후대에 이 책을 보고 자신을 알아줄 사람이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피력하기도 했다.
1.1.2. 김시습의 생애
김시습은 5세 때 이미 시를 지어 신동이라는 소문이 세종에게까지 알려졌다. 세종이 시험을 해보고는 장차 크게 쓸 재목이니 열심히 공부하라고 당부하고 선물을 내리고 '오세'라는 별호를 얻게 되었다. 그는 이 별호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여 자신이 머무는 거처를 '오세암'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 일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이후 지속적으로 그의 정체성 형성에 관여했다.
하지만 1455년 단종 폐위 사건이 일어나자 그 길로 입신양명의 꿈을 버리고 불교에 귀의하게 된다. 이는 단종의 폐위가 그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를 보여준다. 그는 지배체제 안에서 주어진 위치를 받아들이지 않고 반발을 보이며 이념적으로도 이단을 택한 대표적인 '방외인'이다. 선비로서 성장했으되 세상을 버리고 승려가 되었으며 만년에는 환속하였다가 다시 출가하는 파란만장한 생애를 보냈다. 사상적으로도 성리학, 불교, 도교 등을 두루 편력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정립하기에 고심하였다.
1.2. 이생규장전
1.2.1. 줄거리
송도에 사는 이생(李生)이라는 총각이 학당에 다니다가 노변에 있는 양반집의 딸인 최씨녀를 알게 되어 밤마다 그 집 담을 넘어다니며 애정을 키워갔다. 아들의 행실을 눈치챈 이생의 부모가 이생을 울주(울산)의 농촌으로 보내버리자 둘은 서로 만나지 못해 애태우다가 최씨녀의 굳은 의지와 노력으로 양가부모의 허락아래 혼인을 하였다. 이생이 과거에 급제함으로써 행복이 절정에 달하였으나 홍건적의 난으로 양가 가족이 죽고 이생만 살아남아 슬픔에 잠겨 있는데 죽은 최씨부인이 나타났다. 이생은 그가 이미 죽은 여자인 줄 알면서도 열렬히 사랑한 나머지 의심하지 않고 반갑게 맞아 수년간을 행복하게 살았다. 어느 날 최씨부인이 이승의 인연이 끝났다며 사라지고 이생은 최씨부인의 뼈를 찾아 묻어준 뒤 하루같이 그리워하다가 병을 얻어 죽었다.
1.2.2. 특성
1.2.2.1. 낭만성
의 두 주인공, 이생과 최랑은 멋있고 아름다운 청년들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두 재자가인은 동네 사람들의 찬사를 한 몸에 받을 만큼 이상화되어 있다. 시를 통해 마음을 주고받은 두 사람은 부모 몰래 처랑의 처소에서 밤마다 사랑을 나누게 된다. 여기서 자신의 감정과 욕구에 충실한 이들은 당시의 도덕적 관습을 과감하게 거스르며 운명을 걸고 연애를 하는 모험을 감행한다. 배경의 묘사 또한 연인의 처소로 뛰어든 이생의 설렘과 황홀감 같은 내면 심리가 투영되어 신비감마저 깃들어 있으며, 이처럼 황홀한 배경 속에서 남녀가 시로서 정을 나누는 주정적 분위기를 연출하며 독자의 정서를 자극한다. 이 대목 이후 이들의 사랑은 봉건·가부장적 사회현실의 힘 앞에서 시련을 겪게 된다. 이생의 부친에 의해 두 연인은 강제 이별을 당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최랑은 이에 대해 '남녀간의 애정은 인간으로서는 소홀히 여기지 못할 일'이라며 적극적으로 대처한다. 가부장제의 위력과 문벌지체의 차이를 극복하려는 그녀를 통해 그들의 사랑은 더욱더 극대화된다. 중세적 속박 속에 억압되고 있던 남녀 간의 사랑, 성적 욕망에 기초한 자연스런 인간 감정을 긍정하는 당시로서는 매우 진보적인 행동이다. 작가는 이들이 결혼 후에도 서로 상대방을 사랑하고 공경하니 비록 옛 사람이라도 그들의 절의를 따를 수 없다고 하는데, 이는 그들이 낭만적 열정의 소유자일 뿐 아니라 도덕적 이상에 충실한 인물들임을 설명하는 말이다. 그리고 이 같은 절의와 열정, 진보적 윤리사상을 아우른 그들의...
참고 자료
《금오신화》, <이생규장전>의 비극성과 그 미학적 기제」, 김창현, 온지학회, 2011
「한국문학강의」, 이혜순, 길벗, 1998
「《금오신화》, <이생규장전>의 비극성과 그 미학적 기제」, 김창현, 온지학회, 2011
「금오신화의 사상적 성격」, 박혜숙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의 작품 세계와 전기 미학에 대한 재성찰」, 정학성, 한국고전문학회, 2013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의 작품 세계와 전기 미학에 대한 재성찰」, 정학성, 한국고전문학회, 2013
「<이생규장전>의 구조적 연구 - 삽입시가의 기능을 중심으로」, 윤경희, 한국고소설학회, 1997
「『금오신화』의 현대적 계승 및 변용 연구 – 고전의 가치에 대한 인식의 일환으로」, 정희진,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4
국내 논문
강소영, 「전기소설에 나타난 揷入 詩詞의 기능 :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東方學. 제9집, 2003
류수열, 「비극성의 관점에서 본 고전소설 결말구조 연구-<이생규장전>, <운영전>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류경아, 「『금오신화』의 서사방식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박일용, 「<용궁부연록>에 설정된 윤필연의 의미와 그 치유적 함의」,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안창수, <용궁부연록>의 작품세계와 의미, 한국문학회, 2009
유천교, 「『剪燈新話』와 『金鰲新話』의 揷入詩 硏究」,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이복자, 「「금오신화」의 우의성 연구」, 경성대학교, 2004
전성운,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의 연회와 서사 전개」, 어문연구학회, 2009
정품종, 「『金鰲新話』의 삽입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조승원, 「金鰲新話』所載 詩歌에 대한 연구 : 揷入詩歌의 機能 및 詩語 活用樣相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단행본
김시습, 「김시습 선집ㅡ길위의 노래」, 돌베개,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