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동시적 타당도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타당도의 개념
2.1. 타당도의 정의
2.2. 타당도의 중요성
3. 기준타당도
3.1. 기준타당도의 개념
3.2. 기준타당도의 유형
3.2.1. 동시타당도
3.2.2. 예측타당도
4. 동시타당도의 사례
4.1. IQ 테스트 사례
4.2. 심리검사 사례
5. 기준타당도의 장단점
6.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7. 조사에서의 타당도와 신뢰도 고려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현상이나 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많은 지표와 서로 다른 측정수준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조사 결과를 믿고 사용하려면 자료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으며 타당한지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연구자는 측정대상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를 사용하게 된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얻어진 측정의 결과는 신뢰성과 타당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측정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이 바로 타당도와 신뢰도이다.
타당도는 연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속성을 측정하였는가에 대한 의문이다. 타당도가 변인의 본질과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라면, 신뢰도에서는 그와 같은 변인의 의미를 파악하지는 않는다. 객관적인 측정도구가 이미 존재하는 물리적인 속성을 가진 물체의 타당도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사물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들이 여기에 속한다. 하지만 사회조사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을 조사하는 데 있어서는 이러한 타당도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개념들 자체가 추상적이기 때문에 검사가 어떤 것을 측정하는지 구체화시키기 위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과학 개념을 조사하고 측정할 때는 항상 타당도에 대한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2. 타당도의 개념
2.1. 타당도의 정의
'타당도(validity)'란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어느 정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가를 따지는 문제이며 어떤 척도나 검사가 사용목적에 따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정도를 말한다. 즉, 타당도는 측정도구가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속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타당도가 높다는 것은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2. 타당도의 중요성
타당도는 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가 실제 측정하고자 했던 개념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즉,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변수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는지, 측정 방법과 결과의 관계가 타당한지를 의미한다. 타당도가 높다는 것은 측정 결과가 실제 현상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뜻이다.
타당도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타당도가 높은 측정도구를 사용할 경우 조사 결과에...
참고 자료
박선희 외, 사회복지조사론, 양성원, 2018.
서보준 외,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8.
원석조,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15
이종환,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경기: 공동체, 2012
김기덕, 사회조사론, 박영스토리, 2017
최선희,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공동체, 2018
곽미정, 사회복지조사론, 양성원, 2018
이상철, 사회복지조사론, 창지사, 2019
원석조,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17
김영기,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건강관련 체력 검사도구의 동시타당도 검증, 신라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