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바이오 플라스틱의 개발 현황 및 전망
1.1.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로 인한 사회문제
1.1.1. 플라스틱 사용 및 재활용의 문제점
1.1.2. 국내외 플라스틱 규제 현황
1.1.3. 바이오 플라스틱의 필요성 증가
1.2. 바이오 플라스틱 개요 및 종류
1.2.1. 개념
1.2.2. 종류
1.2.2.1. 생분해 플라스틱
1.2.2.2. 천연 고분자
1.2.2.3. 산화생분해 플라스틱
1.2.2.4.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1.3.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규제 및 시장 동향
1.4.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 시장 동향 및 적용 사례
1.4.1. 대표적인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 시장 동향
1.4.2.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 적용 사례 및 현황
1.5. 관련 기업 (NatureWorks)
1.5.1. 기업 개요
1.5.2. 바이오 플라스틱 사업 동향 및 적용 기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바이오 플라스틱의 개발 현황 및 전망
1.1.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로 인한 사회문제
1.1.1. 플라스틱 사용 및 재활용의 문제점
바이오 플라스틱 사용 및 재활용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률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가장 큰 문제는 너무나 많은 종류의 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해 국민들이 쉽게 분리수거를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제조 및 생산 단계에서 분리가 어려운 라벨, 다른 재질과 화려한 색상으로 제조된 페트병이 많아서 분리수거를 하더라도 재활용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경우도 있다.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에 따르면 국내 생산된 페트병 중 재활용이 쉬운 제품은 전체의 1.8%(2015년 기준)에 불과하다. 한 해 출고된 페트병 15만 6401t 중 환경부가 '재활용 용이'로 분류한 1등급 제품은 2744t(1.75%)이었다. 반면 2등급 (재활용 어려움)은 86.6%, 3등급(재활용 불가)도 9.79%로 1등급의 다섯 배가 넘었다. 생산 단계서부터 '재활용 장벽'이 세워진 셈이다. 페트병 라벨 재질이 몸체와 다른 것들은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S(폴리스티렌) 등으로 다양하다. 세부 재질별로 녹는 점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플라스틱이어도 재활용을 하려면 일일이 떼어내 따로 분류해야 한다. 라벨 접착제도 페트병을 다시 녹이거나 분쇄하는 공정에 섞여 들어가면 재활용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이래저래 페트병 재활용이 어려운 구조이다.
또한 커피전문점 등 1회 용품 사용이 늘고 불필요한 과대포장과 온라인 쇼핑 증가 등 소비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유통 및 소비 단계에서는 포장 폐기물 발생이 급증하는데 반해, 재활용 비용이 많이 들어 재활용 업체의 수익성은 점점 악화하는 상황이다. 또한 폐기물 수입 관리 및 국내 재활용 제품 수요 관리 체계도 미미하여 근본적인 문제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사용 및 재활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플라스틱 종류를 줄이고, 재활용이 용이한 제품 설계, 제품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1.1.2. 국내외 플라스틱 규제 현황
전 세계적으로도 석유계 플라스틱 제품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특히 EU에서는 플라스틱 면봉, 빨대, 풍선 막대, 그릇, 식기, 음료 막대, 병, 물티슈, 봉지, 포장지 등 일반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10개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심의 중에 있으며, 또한 2025년까지 각 회원국은 전체 유통되는 플라스틱 음료수병 중 90% 이상을 수거해야만 한다. EU의 플라스틱 전략은 플라스틱 제품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감축, 투자 및 혁신 유도, 글로벌 대응으로 구분되며, 이를 통해 2030년까지 플라스틱 분리수거 및 재활용 산업 분야에서 2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국내 정부 정책에 있어서도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 처리에 대한 대응이 매우 소극적이었던 이전과는 달리, 플라스틱 폐기물 감소에 대한 강력한 대책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각 부처별로도 다양한 바이오 플라스틱 R&D 기획이 제시되고 있다. 정부는 2018년 5월 국무총리 주재로 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량을 지금보다 50% 감축하고 재활용률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으며, 편의점, 백화점 등의 유통과정에서 비닐, 스티로폼 등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해서 과대포장검사를 의무화하는 법령 개정을 추진 중에 있다.
1.1.3. 바이오 플라스틱의 필요성 증가
국내 정부 정책에 있어서도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 처리에 대한 대응이 매우 소극적이었던 이전과는 달리, 플라스틱 폐기물 감소에 대한 강력한 대책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각 부처별로도 다양한 바이오 플라스틱 R&D 기획이 제시되고 있다. 정부는 2018년 5월 국무총리 주재로 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량을 지금보다 50% 감축하고 재활용률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으며, 편의점, 백화점 등의 유통과정에서 비닐, 스티로폼 등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해서 과대포장검사를 의무화하는 법령 개정을 추진 중에 있다. 실례로 대형마트의 과대포장 제품 입점 금지와 커피전문점의 일회용품을 규제가 점진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1.2. 바이오 플라스틱 개요 및 종류
1.2.1. 개념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식물체 바이오매스(biomass)와 같은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제조된 바이오 기반 고분자를 말한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바이오매스 기반의 고분자 플라스틱 전체를 의미하므로 여기에는 생분해 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탄소 중립(carbon neutral)형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적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소재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매스를 일부 적용한 바이오베이스(bio-based)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사용 감량 및 이산화탄소 저감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주요인이 이산화탄소로 인식되면서 석유기반 고분자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친환경 소재가 필요하게 되었고, 탄소 중립(carbon neutral)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바이오매스 기반 고분자가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이란 이름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또한,...
참고 자료
황성연, 바이오 플라스틱의 기술 개발 현황 및 전망, 융합연구리뷰, 2019년 12월
NatureWorks Overview Pamphlet, 2019
김현옥, 플라스틱 신소재 ‘인지오(Ingeo)’ 우수한 보존성에 생분해, 2016.07.11.
김타영, 잘 썩는 친환경 플라스틱이 뜬다, FORTUNE KOREA, 2021년 4월
Erwin T.H. Vink, Karl R. Rábago, David A. Glassner, Patrick R. Gruber, Applications of life cycle assessment to NatureWorks™ polylactide (PLA) production,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ume 80, Issue 3, 2003, Pages 403-419,
박시재,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미생물 플랫폼 제작을 위한 대사공학 전략 개발,Appl. Chem. Eng., Vol. 25, No. 2, April 2014, 134-141
유영선, 오유성, 홍승회 등. 2015.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의 연구개발, 제품화 및 시장 동향”. 청정기술 21, no.3 : 142-151p)
김용환. 2009. “바이오플라스틱”. NICE 27, no.3 : 298-299p
심우석. 2014. “바이오플라스틱산업의 창조적 역할과 발전과제”. KIET산업경제 2014, no3 : 28p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바이오소재 활용기술(바이오 플라스틱 중심으로)”, 기술동향 2012-5. 10p
You, Y. S. 2010. “Trend of Eco-Packaging Technology,”. The Monthly Packaging World, 201 : 118-128
이상호, 박경문, 주정찬. 2019.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생산기술과 산업동향”. KEIT PD Issue Report, vol.19-10 : 20p
박노형, 김동현, 김창목 외. 2013. “바이오플라스틱의 산업동향과 전망”. Biomaterials Research (2013), 17(2) : 45p
(사)한국바이오소재패키징협회. 2020,2,6.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종류, 최신동향 및 제품 적용 현황”. HANDLER, http://www.ihandler.co.kr
wakamori. 2019,10,4. “バイオプラスチックで問題は解決?-海洋プラスチック汚染の対策 (바이오플라스틱이 문제를 해결했습니까? - 해양 플라스틱 오염방지)”. Less Plastic Life, https://lessplasticlife.com/marineplastic/responses/bioplastics
[그림1] 김용환. 2009. “바이오플라스틱”. NICE 27, no.3 : 298p
[그림2] SERI 경영노트 2011. “지구를 구하는 소재, 썩는 플라스틱의 부상”
[그림3] 박노형, 김동현, 김창목 외. 2013. “바이오플라스틱의 산업동향과 전망”. Biomaterials Research (2013), 17(2)
[그림4,5,6] (사)한국바이오소재패키징협회. 2020,2,6.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종류, 최신동 향 및 제품적용 현황”. HANDLER, http://www.ihandler.co.kr
김민욱 외 2명, ‘바다 위 거대 쓰레기섬 5개…‘식탁 공동체’ 한·중 공동 대처를‘, 중앙일보, 2019, 1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63394#home
김은희, ‘생활쓰레기가 썩는데 걸리는 시간’, 대전광역시청
https://www.daejeon.go.kr/drh/DrhContentsHtmlView.do?menuSeq=2195
Breathelife, “플라스틱 폐기물”, 2021/09/28,
https://breathelife2030.org/ko/news/burning-plastic-waste-adds-global-air-pollution-problem/
박준모, ‘환경오염 주번인 플라스틱 사용 줄여야’, 철강금속신문, 2021, 1면
https://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80732
BMP, 바이오플라스틱 소개, 2021/10/12
http://biopack.or.kr/neomcc/2_feature.html
이준우, “생분해성플라스틱”, 2002, p. 13
BMP, “산업화 제품소개”, 2021/10/12
http://www.neomcc.com/default/bio_plastic/product_introduce.php?sub=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