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회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중앙대 회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업의 재무회계 분석
1.1. 재무상태 분석과 재무비율
1.1.1. 수익성 분석
1.1.1.1. 매출총이익률
1.1.1.2. 총자산이익률
1.1.1.3. 자기자본이익률
1.1.2. 안정성 분석
1.1.2.1. 유동비율
1.1.2.2. 당좌비율
1.1.2.3. 부채비율
1.2. 회계정보 이용자의 이해
1.2.1. 내부정보이용자
1.2.2. 외부정보이용자
1.3. 기업회계의 개선방향
1.3.1. 회계정보의 충실성
1.3.2. 회계정보의 이해도 제고
1.4. 앙트레프레너십과 회계과제
1.4.1. 창업기업의 회계관리
1.4.2. 재무상태표 작성 및 분석
1.5. DART를 통한 재무제표 분석
1.5.1. 기업 선정 및 개요
1.5.2. 재무비율 분석 및 종합평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업의 재무회계 분석
1.1. 재무상태 분석과 재무비율
1.1.1. 수익성 분석
1.1.1.1. 매출총이익률

매출총이익률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금액인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한다. 이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매출액에서 발생한 순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준다.

삼성전자의 최근 3개년 매출총이익률을 살펴보면, 2018년 45%, 2019년 36%, 2020년 38.9%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로, 삼성전자가 주요 사업부문에서 상당한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매출총이익률 상승은 매출액이 증가하거나 매출원가가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 및 IT기기 부문에서의 판매 호조와 원가 절감 노력이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높은 매출총이익률은 기업이 제품 생산에 있어 우수한 원가관리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에서의 경쟁력 또한 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삼성전자의 최근 매출총이익률 추이는 해당 기업의 탁월한 수익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1.1.2. 총자산이익률

총자산이익률은 기업의 총자산 대비 당기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재무비율이다. 이 비율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총자산이익률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총자산이익률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총자산이익률이 높을수록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업의 수익성과 경영 효율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활용된다.

기업의 총자산이익률을 분석할 때에는 산업 평균이나 동종 기업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수준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도별 추이를 분석하여 기업의 수익성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경우 2020년 총자산이익률이 6.9%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6.1%보다 높아진 수치이며, 동종 업계 평균에 비해서도 양호한 편이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가 총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1.1.3.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이 투하한 자본 대비 당기순이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보여준다.

자기자본이익률은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자기자본이란 주주 또는 출자자의 출자금과 기업이 유보하고 있는 이익잉여금을 합한 것으로, 기업의 순자산에 해당한다. 따라서 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의 수익성과 더불어 재무 건전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자기자본이익률은 2020년 9.8%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8.5% 대비 상승한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과거 3개년간 자기자본이익률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데, 이는 당기순이익이 증가하면서 자기자본 운용 효율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2020년에는 264,078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면서 자기자본이 2,676,703억 원으로 늘어나 자기자본이익률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삼성전자의 자기자본이익률은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기업의 수익성과 자본 효율성이 매우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가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자본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1.2. 안정성 분석
1.1.2.1. 유동비율

유동비율은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재무비율이다.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계산되며,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를 얼마나 초과하는지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단기지급능력이 우수하다고 평가된다.

삼성전자의 경우 2020년 유동비율이 262%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284%보다 낮아진 수준이지만 여전히 매우 안정적인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유동비율이 100% 이상만 유지해도 단기적인 지급능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삼성...


참고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중앙대학교 박창헌 – 회계학 원론 – 2012년 2학기 강의 – K-IFRS의 개념체계 – 회계학원론 제01장 회계시스템 및 회계학의 기초http://contents.kocw.or.kr/contents4/document/lec/2012/ChungAng/ParkChanghun/1.pdf
회계정보이용자의 회계학 이해를 높이기 위한 회계교수방법론에 관한 제안. 고려대학교. 이율리. 2016http://www.riss.or.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a002cef71f358d9ffe0bdc3ef48d419&keyword=%ED%9A%8C%EA%B3%84%EC%A0%95%EB%B3%B4%EC%9D%B4%EC%9A%A9%EC%9E%90
회계정보 공급자와 회계정보이용자간의 정보비대칭이 정보이용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정재우,, 이성효. 융합정보논문지 제7권 제2호 pp. 125~130. 2017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1710748281812&oCn=JAKO201710748281812&dbt=JAKO&journal=NJOU00576176&keyword=%ED%9A%8C%EA%B3%84%EC%A0%95%EB%B3%B4%EC%9D%B4%EC%9A%A9%EC%9E%90
김진태. 재무비율분석을 통한 한국 도시가스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정령. 국내 회계법인 재무비율 분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