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연구 및 통계: 양적논문과 질적논문
1.1. 양적연구
1.1.1. 논문제목과 연구목적
논문제목(APA 양식)과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윤실, 오복자(2021).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 불안 및 우울, 존엄 인식과 영적 안녕이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33(3), 212-225.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지역사회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강도 및 양상), 불안과 우울, 존엄 인식, 영적 안녕 및 품위 있는 죽음 태도와 각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가 호스피스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1.1.2. 연구문제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 불안 및 우울, 존엄 인식과 영적 안녕과 품위 있는 죽음 태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이다.
호스피스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와 통증, 불안과 우울, 존엄 인식 및 영적 안녕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문제이다. 즉,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 불안 및 우울, 존엄 인식, 영적 안녕이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스피스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품위 있는 죽음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1.3.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와 통증, 불안과 우울, 존엄 인식 및 영적 안녕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 설계를 활용하였다. 서술적 조사연구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할 때 흔히 사용되는 연구설계이다. 호스피스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와 관련 변수들의 상관관계와 이들 변수가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서술적 조사연구 설계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1.1.4. 연구의 윤리적 고려사항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S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2-1040781-A-N-012020055HR)과 V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BOHUN 2020-05-017-001)을 받았다.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 진행 과정을 설명한 후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본 연구의 수집된 모든 자료는 잠금장치가 된 곳에 별도 보관한 후 오직 학술적인 연구목적 이외에는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비밀이 보장되는 것과 연구참여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연구대상자가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이유를 제시하지 않고 거절할 수 있으며, 연구참여 도중에 철회하더라도 어떠한 피해나 불이익이 없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연구대상자 설명문에는 연구자의 이름과 연락처를 기술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을 시 언제든지 질문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에게는 종료되는 시점에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다."
1.1.5. 연구 개념의 이론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연구 개념의 이론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이론적 정의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가진 환자의 신체적 증상을 조절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팀이 환자와 가족의 심리, 사회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고통을 경감시켜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총체적 돌봄의 의료서비스를 말한다.""이다.
품위 있는 죽음 태도의 이론적 정의는 ""임종 환자의 주요 존엄 범주를 토대로 정서적 안위 유지, 사회적 관계 정리, 고통 없음, 자율적 의사결정, 역할 보존을 포함해 한 개인이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며 평화로운 죽음을 맞이하는 것으로, 신체적 증상, 심리적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