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선박설계 조선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0.21
21,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친환경선박설계 조선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선산업 현황 및 전망
1.1. 조선산업의 특징
1.2. 세계 조선산업 동향
1.3. 국내 조선산업의 위상 및 주력선종
1.4. 조선산업 전망

2. 조선 산업 원가 구성 요소
2.1. 조선산업의 원가관리
2.2. 조선산업의 원가 구성

3. 국내 조선산업의 영업 손실 분석
3.1. 수주증가 대비 영업손실 발생
3.2. 재료비 상승
3.3. 노무비 상승

4. 스마트 야드를 통한 조선 산업 경쟁력 강화
4.1. 스마트 야드의 개념 및 필요성
4.2. 해외 경쟁국의 스마트 야드 구축 사례
4.3. 국내 스마트 야드 구축 현황 및 기대효과

5. IMO EEDI 만족을 위한 기술 동향
5.1. EEDI 기술분류 및 관련 기술개발 동향
5.2. EEDI 관련 특허 분석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조선산업 현황 및 전망
1.1. 조선산업의 특징

조선산업은 종합조립 산업으로서 해운, 수산, 군수, 레저 등 전방산업과 기계, 금속철강, 전기, 전자 등 후방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다. 조선산업은 기술, 자본, 노동집약산업으로 높은 기술 수준과 대규모 자본, 우수한 노동력이 요구되는 산업이며 해안 인접국인 경우, 조선산업은 시장 경쟁력 여부와 상관없이 자주 국방을 위해 지속적인 유지가 요구되는 방위산업의 하나이다. 또한 해운경기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원유가격, 곡물의 작황, 세계 경제성장율 및 교역량, 산유국의 정치상황 등 세계 정치경제 상황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다. 국내 조선산업은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3사가 80% 이상 차지하고 있는 과점 산업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1.2. 세계 조선산업 동향

세계 조선산업 동향은 다음과 같다.

세계 조선소 수주 및 수주잔량은 한국, 중국, 일본이 주도하고 있다. 클락슨리서치 보고서(2021)에 따르면 2021년 1~12월 기준 지역별 수주량, 건조량, 수주잔량을 살펴보면, 수주량에서는 한국이 17.44백만CGT로 전년 대비 100.5% 증가했고, 중국이 22.86백만CGT로 133.7% 증가했다. 일본은 4.13백만CGT로 24.4% 증가했다. 한국과 중국의 수주량이 크게 늘어났으나, 일본은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적었다. 건조량에서는 한국이 10.51백만CGT로 19.2% 증가, 중국이 13.48백만CGT로 21.9% 증가했으나, 일본은 5.2백만CGT로 16.4% 감소했다. 수주잔량에서는 한국이 29.39백만CGT로 28.1% 증가, 중국이 37.09백만CGT로 30.6% 증가했지만, 일본은 9.23백만CGT로 11.3% 감소했다.

특히 한국 조선소의 수주 비중은 2016년 약 30%에서 2020년 36%, 2021년 43%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친환경 선박을 앞세워 세계 시장을 재차 제패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 조선업계는 2018년 세계 LNG선 발주 72척 중 66척을 수주하며 연간 실적 1341만CGT로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다. 2021년 4분기에도 전세계 LNG선 발주 31척 중 30척을 수주하며 글로벌 1위를 지키고 있다.

이처럼 한국 조선업계가 친환경 선박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중국과 일본 또한 조선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 정책을 통해 조선업의 스마트화와 고급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은 '해사생산성혁명(i-shipping)' 전략으로 선박의 에너지 효율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세계 조선시장은 한국, 중국, 일본 3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조선업이 친환경 선박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경쟁국들의 기술개발과 정책적 지원이 지속되면서 향후 조선시장 지형이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1.3. 국내 조선산업의 위상 및 주력선종

국내 조선산업의 위상 및 주력선종은 다음과 같다.

국내 조선산업은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3사가 80% 이상 차지하고 있는 과점 산업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국내 선박 수주 점유율은 삼성중공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18년 중국을 앞지르며 세계 조선업계 1위를 탈환한 한국 조선업계는 2018년 전세계 LNG선 발주 72척 가운데 66척을 독식하며 연간 실적 1341만CGT로 1082만CGT의 중국을 제쳤다. 지난해에도 한국 조선업계는 4분기 총 LNG선 발주 31척 가운데 30척을 수주하는 뒷심을 발휘해 글로벌 1위를 지키고 있다.

2021년 4월까지 LNG선박의 경우 발주 9척 가운데 7척을 한국 조선 3사가 수주했고, LPG선박의 경우에는 지난해 38척(70만CGT) 가운데 14척(27만CGT)을 수주했으며, 2021년 4월까지 38척(97만CGT)을 수주해 점유율을 74.5%까지 끌어올렸다. 즉, 국내 조선업계의 주력선종은 LNG선박과 LPG선박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국내 조선산업은 친환경 선박을 앞세워 세계 시장을 제패하고 있다. 특히 LNG선과 LPG선 등 친환경 선박에서 막강한 기술력과 강세를 보이며 세계 1위 조선강국으로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다.


1.4. 조선산업 전망

영국의 조선해운 전문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가 발표한 '조선업 시황 전망'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31년까지 글로벌 연평균 발주량은 지난해 보다 2배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조선업계의 중장기 호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클락슨 리서치는 2021년과 2022년 선박 발주량은 세계 경제 회복과 글로벌 물동량 증가, 환경규제에 따른 노후 선박 교체 등으로 연 평균 1,200척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21년 3월 기준 글로벌 수주 잔고의 약 1/3이 친환경 이중연료 추진 선박임을 볼 때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선박 발주 추세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어 2023년~2031년에도 친환경 선박으로의 선박 전환 추세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어서, 글로벌 평균 발주량은 연 1800척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한국 조선소들의 주력 선박인 1만5000TEU (1TEU는 20피트 짜리 컨테이너 1개)급 이상 대...


참고 자료

삼성중공업(2021,05), 1분기 보고서
파이낸셜뉴스(2021,05,20), 조선업 '슈퍼사이클' 온다..."2031년까지 발주 평균 2배 이상 증가“
머니투데이(2021,05,27), '친환경 무장' 세계1위 韓조선의 위엄…"프리미엄 붙어도 中보단 韓“
머니투데이(2021,05,26), '친환경 강자' 韓조선, 암모니아·수소선박도 1등 야심
프라임경제(2021,05,28), 탄소중립 앞장 韓조선..."푸른 바다, 친환경 선박으로"
김진환&유성용&이찬호(2020). 원가회계:필수개념과 예제. 신영사 제1판
김윤주&이복남&최길선(2012). ‘한국 일등= 세계 일등’인 조선산업이 건설산업에 주는 교훈. 건설이유포커스
박우&박지문&이정화(2017). 중국조선산업의발전과 육성정책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 제36호
정석주 (2022). 세계조선해양 시장동향, 대한조선학회 웹진 2022년 3월 https://www.snak.or.kr/snakzine
문광민(2022,05.23). “후판값 인상에…K조선 수주 낭보에도 울상”인용 매일경제, A19면
한국생산성본부(2021). 노동생산성 국제비교. https://stat.kps.or.kr
이준규&최태정&김성조 (2021). 한국 스마트야드(K-yard) 핵심기술개발산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신상곤(2020). 조선분야 기술 특허트렌드. 특허청 기계금속기술심사국
양종서(2020). 해운 조선업 2019년 동향과 20202년도 전망.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 연구소
산업통산자원부&해양수산부(2022). K-조선 해운의재도약, 상생협력을 통한 희망찬 미래. https://www.korea.kr/docViewer
Clrarksons Resaerch (2021). Weekly Shipping Highlights-13th May 2022. https://sin.clarksons.net/Home
장경석 “ 해운환경 규제, 친환경 선박 시대의 서막 ” (2013.01.18.)
한국해사센터 “ IMO소식 & 국제해사동향 ”, 한국해사센터 Korea Maritime Center (KMC) (2012.03.14.)
황민순“IT조선 융합기술 국내연구개발 동향 ”, 현대중공업 (2009.12)
류경부 “ 선박온실가스협약 - 국제동향 및 대응방안 ”, 한국선급 (2013.03.04.)
“ 조선해양분야 산업 및 기술 동향 ”
이기상 “ 국제해사기구(IMO)의 산박 온실가스 배출 규제 국제 동향 ”, 국토 해양부 해사기술과 (2009.03.05.)
박기연 “ 선박 EEDI/EEOI 검증시스템 및 표준화 기술 개발 과제, 특허청 (2012.01)
김정환 “ 친환경 선박 개발을 위한 ET-조선 기술 융⦁복합 산업 기술인력 수급 전략 연구 ”, (2010.11)
해양수산부 “ 해양환경보호위원회 (MEPC) 67차 회의결과 ”, 해양수산부 해사산업기술과 (2014.12)
김문찬 “ EEDI 개선을 위한 상반 회전 프로펠러 단독성능 분석용 수치해석과 모의시험에 대한 연구 ”,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홍익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STX조선해양 (2013.11)
정노택 “ IMO의 선박기인 CO2 배출 규제 동향 및 고찰 ”, 울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부 (2011.02)
천강우 “ LNG연료 추진선과 벙커링 기술 동향 ”, 한국선급 (2014.10)
김문창 “ 친환경선박시대, 드디어 서막이 오르다 ” (2013.09.16.)
이돈출 “ 국적 선박에서 배출되는 그린하우스가스의 인벤토리 연구 ” , 목포해양대학교, 선박안전기술공단, 한국선급
황태규 “ 선박에너지효율등급 도입에 따른 친환경-고효율 조선 요소부품 경쟁력 제고 전략 ”, 부품소재혁신연구회 (2012.02)
유윤규 “ 모형 시험 단계의 EEDI 인증에 대한 최근 이슈 및 동향 ”, 대한조선학회지 제 52권 제 3호 (2015.0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