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수설계와 교수목표분석
1.1. 교수설계의 개념과 필요성
교수설계는 학습이론과 교육의 실제를 접목시키는 연계과학으로, 교수의 질 개선과 이해에 필수적인 학문분야이다. 교수설계란 수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계획함으로써 수업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활동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무엇을 학습해야 하는지, 어떤 학습활동과 학습전략, 학습자료를 제공해야 하는지, 목표 달성 여부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말하며, 좁은 의미에서는 특정 학습자를 대상으로 특정한 교과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때 가장 좋은 수업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설계의 필요성은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함이다. 체계적인 교수설계를 통해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교수의 과정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함이다. 교수설계는 교수활동의 구성요소들 간 유기적 관계를 파악하여 교수과정을 개선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교수의 전개과정을 최적의 환경으로 구성하기 위함이다. 교수설계는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여 최적의 교수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 넷째, 교수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체계적인 교수설계를 통해 수업 목표 달성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교수설계는 교육의 질 제고, 교수과정의 개선, 최적의 교수환경 구축, 교수효과 증진 등을 위해 필수적인 학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1.2.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은 교수설계의 각 단계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프로그램을 만들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eigeluth는 교수설계를 "교수의 과정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는 학문영역으로, 설계활동의 목적은 기대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최적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였다. 즉, 교수설계란 수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계획함으로써 수업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활동을 말한다.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의 대표적 예로는 Dick & Carey 모형을 들 수 있다. Dick & Carey 모형은 교수목표설정, 교수분석, 출발점 행동 및 학습자 특성 분석, 성취목표 진술, 준거지향검사 문항 개발, 교수전략 개발, 교수프로그램 개발 및 선정, 형성평가 설계 및 실시, 교수프로그램 수정, 총괄평가 실시 등의 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은 교수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단계의 결과가 다음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교수목표가 명확히 설정되면 그에 맞는 교수전략과 교수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형성평가를 통해 교수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있다. 이처럼 체계적 접근은 교수설계의 각 단계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을 활용하면 교수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첫째, 교수설계와 교수전달의 구분이 가능하다. 둘째, 개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셋째, 학습해야 할 기능과 최적의 학습조건을 고려할 수 있다. 넷째, 학습자의 목표별 평가가 가능하다. 이처럼 체계적 접근은 교수설계 과정을 체계화하여 교수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