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관계이론에서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술하고 어떤 요인이 사회복지조직에 적용하면 좋을지 본인의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복지조직과 인간관계이론
2.1. 사회복지조직의 특성
2.2. 인간관계이론의 발전
3. 인간관계이론의 사회복지조직 적용
3.1. 인간관계이론의 강조점
3.2. 인간관계이론의 장단점
4. 사회복지조직에서 인간관계이론의 유용성
4.1. 사회복지실천과의 부합성
4.2. 조직 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5. 인간관계이론의 한계점
5.1. 환경, 조직 구조 등 다른 요인들에 대한 고려 부족
5.2. 실천가들의 활동 조작 가능성
6. 현대 사회복지조직이론에 대한 시사점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관계이론은 고전이론에 대한 반론의 방법으로 출발하여 발전을 거듭하면서 현대 조직이론의 형성과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전이론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으로, 미국의 메이요 교수 등이 호손공장에서 실험한 결과로부터 나타났다. 이 실험에서 밝혀진 결론과 조직에 대한 인간주의적 접근방법의 공통점은 조직의 효과성이 조직의 목적과 업무자의 개인적 요구 사이의 상호보상성이나 일치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또한 조직 관리자의 리더십이 하급자들의 직무 수행과 직무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며, 행정관리자의 슈퍼비전 능력이 조직원들의 조직에 대한 헌신의 정도를 차이 나게 한다고 보는 것이다. 결국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은 물질적 환경의 조정이 생산성을 높이지 않고, 오히려 노동자들이 감시를 당하고 팀 작업이 보고되고 비교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환경에서 개인 상호 간의 효과가 물질적 환경 요인보다 훨씬 강력한 생산성 증대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처럼 인간관계이론은 인간 측면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조직이론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2. 사회복지조직과 인간관계이론
2.1. 사회복지조직의 특성
사회복지조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조직은 국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비영리조직으로, 클라이언트와 직접 접촉하며 활동하는 특성이 있다. 사회복지조직의 목표는 매우 불확실하며 모호한데, 이는 기술의 불확실성, 직원과 클라이언트의 관계로 구성된 업무 활동, 직원의 전문성에 대한 의존, 효과성과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객관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회복지조직은 환경에 매우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최근의 사회복지조직의 환경 변화를 세심하게 살펴보고 사회복지조직 이론을 검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2. 인간관계이론의 발전
인간관계이론의 발전은 다음과 같다.
인간관계이론은 1924년 미국 '호손(Hawtgone)공장' 실험의 예기치 않은 결과가 출발점이 되었다. 하버드대 교수였던 메이어(E. Mayo)와 그의 동료들은 미국 시카고 인근에 있는 '웨스턴 일렉트릭사(Western Electric)'를 대상으로 작업조 건(조명, 소음 등)이 근로자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원래 가설은 작업 환경을 개선하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것이었으나 가설과 달리 작업 환경과 생산성은 별다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1924년에 2차 연구가 시행되었다. 그 결과 작업 환경과 금전적 보상보다는 일의 보람과 긍...
참고 자료
이민훈ㆍ이진용 외 5명(2019), 사회복지 행정론, 어가.
이민혜(2019), 사회복지조직의 절차공정성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 내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창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김기재(2012), 사회복지조직 내의 인간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강의교재 3주차 1-2차시
강종수. 2019.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학지사
지은구. 2007. 사회복지조직 연구. 청목출판사
강종수(2019),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학지사
생각의마을(2019), 사회복지 행정론, 공동체
김영종(2017), 사회복지행정,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