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블라인드 면접 찬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블라인드 채용의 개념과 도입
1.1. 블라인드 채용의 정의
1.2. 블라인드 채용 실시 배경
1.3. 블라인드 채용 현황
2. 블라인드 채용의 장점
2.1. 인재 발굴을 통한 사회적 발전
2.2. 비합리적 경제지출 감소
3. 현 블라인드 채용의 문제점
3.1. NCS 기반 채용의 사교육화
3.2. 외적 요소에 의한 역차별
3.3. 채용 후 사내 차별 우려
4. 블라인드 채용 개선 방안
4.1. 실기전형 도입
4.2. 제한적인 학력 기재 허용
4.3. 다양한 1차 심사기준 마련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블라인드 채용의 개념과 도입
1.1. 블라인드 채용의 정의
블라인드 채용이란 채용과정(입사지원서‧면접) 등에서 편견이 개입되어 불합리한 차별을 야기할 수 있는 출신지, 가족관계, 학력, 외모 등 항목을 걷어내고, 개인능력(직무능력)을 평가하여 인재를 채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해외에서는 익명지원서(Anonymous Resume 등)를 통해 인종·성별·나이 등의 차별적 요소를 제거하는 목적에서 도입되었다. 또한 블라인드 채용에는 블라인드 면접도 함께 도입되면서 면접관이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요구하거나, 관련 질문을 할 수 없게 된다. 다만, 신체적 조건과 학력 등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예외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1.2. 블라인드 채용 실시 배경
블라인드 채용 실시 배경은 형평성, 적합성, 효율성의 세 원칙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형평성의 원칙은 모든 지원자에게 차별 없이 동등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효율성의 원칙은 인재들에게 제공할 비용보다 큰 수익을 가져다 줄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며, 적합성의 원칙은 조직이 지향하는 핵심 가치를 수용하고 그 가치 기준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다. 블라인드 채용의 핵심은 기업 채용 과정에서 이력서에 학력, 나이, 출신지, 스펙 등을 기재하지 않도록 하여 채용자의 주관적 편견을 배제하고 개인의 역량을 중심으로 공정한 선발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취업 준비생들에게 공평한 기회를 보장하고 좁은 취업시장의 문턱을 개방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1.3. 블라인드 채용 현황
블라인드 채용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2017년 7월부터 공공기관 332개와 지방공기업 149개가 블라인드 채용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 채용 도입은 취업준비생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고 편견에 의한 차별을 해소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주항공은 2017년 상반기 신입 및 경력직원 200여 명을 어학점수, 자격증, 나이 등 외적 요소를 배제한 블라인드 전형으로 선발했다. 동아쏘시오홀딩스와 그 계열사들도 2017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해 200여 명을 블라인드 방식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CJ그룹은 2012년 대졸 공채부터 서류전형에서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는 영어점수 기재도 없앴다. 또한 샘표는 2012년부터 서류전형에서 성별, 나이, 출신학교, 학점 등 스펙 요소를 배제하고 있다. SK그룹 역시 학력 등 스펙 기재가 없는 '바이킹 챌린지'를 2013년부터 도입하여 운영 중이다.
이처럼 공공부문과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그동안 편견과 차별이 개입되었던 기존의 채용 관행을 개선하고 공정성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블라인드 채용 제도가 일반 기업으로 더욱 확대되어 취업준비생들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 블라인드 채용의 장점
2.1. 인재 발굴을 통한 사회적 발전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과정에서 편견이 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배제하고 개인의 능력을 중심으로 공정하게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블라인드 채용의 장점 중 하나는 인재 발굴을 통한 사회적 발전이다.
블라인드 채용은 학력, 학벌, 출신지역 등의 정보를 배제함으로써 개인의 실력과 능력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숨은 인재들을 발굴할 수 있다. 특히 학력 중심의 채용 관행으로 인해 대학 진학률이 높아져 무작정 대학에 진학하는 부작용이 발생했는데, 블라인드 채용은 이...
참고 자료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전면 시행…지원서에 학력ㆍ사진 삭제/전혼잎/017.07.05
[이슈토론] 블라인드 채용/전상길/2017.07.19
‘스펙 없는 이력서’ 블라인드 채용 논란 점화/조택영/2017.06.02
[S-story]"블라인드 채용, 조직 다양성 도움되지만…또 다른 검증•역차별 부작용 커요"/윤홍우/2017.06.23
https://www.yna.co.kr/view/AKR20211115049600003?input=1195m
https://news.mtn.co.kr/news-detail/?v=2018090514184865742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810161700566885dd9e5ceb62_1/article.html?md=20181016170814_R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08741&ref=A
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7260
오석홍, 「블라인드채용의 이해득실」, 『한국행정포럼』, 한국행정학회, 2018.
조원기,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및 대학·전공 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제 16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안준용, “취준생 절반, 스펙 쌓는 데 한 달에 20만원 넘게 쓴다”, http://news.chosun.com/misaeng/site/data/html_dir/2017/06/09/2017060900015.html, (2018. 6. 13 최종검색)
조현정, “전공 선택 후회하는 대학생들… 37% 전공 바꾸고파”,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08/2017090800917.html, (2018. 6. 13 최종검색)
최가현, “새로운 채용방법의 두 얼굴 평등일까 아니면 차별일까”, http://news.mju.ac.kr/news/articleView.html?idxno=3717, (2018. 6. 13 최종검색)
최예림, “양극화해결과 공정한 시스템”, https://blog.naver.com/leekyung21c/221125244010, (2018. 6. 13 최종검색)
NCS국가직무능력표준, “NCS소개”, https://www.ncs.go.kr/th01/TH-102-001-01.scdo, (2018. 6. 23 최종검색)
pmg지식엔진연구소, “블라인드 채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652266&cid=43667&categoryId=43667, (2018. 6.13 최종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