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르크스주의 이론
1.1. 마르크스주의의 개요
1.2.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
1.3. 소비에트 사회주의 리얼리즘
1.4. 게오르그 루카치
1.5. 베르톨트 브레히트
1.6.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베냐민
1.7.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1.8. 이글턴과 제임슨의 최근 동향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르크스주의 이론
1.1. 마르크스주의의 개요
마르크스주의는 독일의 철학자 칼 마르크스와 독일의 사회학자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창시한 학파이다. 그들은 자신의 경제이론을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공산주의라고 불렀는데, 이는 산업과 교통수단 등의 소유권이 개인이 아닌 국가에 있어야 한다는 그들의 신념을 나타내고 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8년 공동저서 『공산당 선언』을 통해 공산주의의 출현을 세상에 알렸다.
마르크스주의의 목적은 생산과 분배, 그리고 교환 수단의 공유화에 바탕을 둔 계급 없는 사회 건립이다. 마르크스주의는 사회를 초월하는 세계나 힘의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 사물들을 설명하는 철학이다. 이는 정신적인 세계가 존재한다고 믿고 삶이나 행동을 종교적으로 설명하는 '관념론'과 상반된 개념이다. 다른 철학들이 단순히 세계를 이해하려 노력했다면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세계를 바꾸고자 애썼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당자신들의 경제이론을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공산주의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들의 신념인 산업과 교통수단 등의 소유권이 개인이 아니라 국가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들은 1848년 공동저서 『공산당 선언』을 통해 공산주의의 출현을 세상에 알렸다. 마르크스주의의 목적은 생산과 분배, 교환 수단의 공유화에 기반한 계급 없는 사회의 건립이다. 마르크스주의는 사회를 초월하는 세계나 힘의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 사물들을 설명하는 철학으로, 정신적 세계의 존재를 전제하는 관념론과 대비된다. 다른 철학들이 세계를 이해하려 했다면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세계를 변화시키고자 노력했다.
1.2.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은 20세기에 나타난 현상이다. 마르크스주의의 기본 입장은 철학이 단지 공허한 사색에 지나지 않으며, 이제는 철학이 실제 세계를 다루어야 한다는 것과, 모든 정신적 체계들이 실제 사회와 경제적 존재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마르크스주의 비평에서는 한 사회의 지배계급이 갖는 물질적 이해관계가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인간 존재를 보는 방식을 결정짓는다고 여긴다. 마르크스는 문화란 인간이 그 안에서 그들의 물질적 삶을 창조해가는 역사적 상황들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인간 역사의 특정 단계에서 사회적이고 경제적인 질서를 결정하는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사회의 총체적인 문화적 삶을 결정짓게 한다는 의미이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특정한 문학 형식을 리얼리즘에 대한 단 하나의 진정한 모델로 소중히 간직하려는 욕망을 위험한 형식주의로 간주했다. 그들은 어느 특정한 문학 형식을 리얼리즘의 모델로 강요해서는 안 되며, 리얼리티의 살아있는 힘을 포착하기 위해 작가가 모든 형식적 기교를 기꺼이 사용할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은 작가의 사회계급과 그 계급을 둘러싼 이데올로기가 계급의 구성원이 쓴 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작가를 자신의 천재성과 창조적인 상상력으로 인해 독창적이고 시대를 초월하는 작품을 만들어내는 자율적인 개인이 아니라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끊임없이 사회적 환경의 영향 받는 존재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비평은 계급 간의 갈등과 거대한 역사적 힘의 충돌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에 대해서 거의 논의하지 않으며 그 상황을 특정한 문학 텍스트의 해석을 위한 자료로 이용하는 경우도 찾아보기 힘들다""
1.3. 소비에트 사회주의 리얼리즘
소비에트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1917년 혁명이 형식주의자들로 하여금 혁명적인 예술이론을 계속해서 발전시켜가는 것을 고무시켰던 것과 때를 같이해서 등장한 정통 공산주의의 예술방식이다. 1910년을 전후해 일어난 유럽의 예술· 음악· 문학의 혁신은 소비에트 비평가들에 의해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퇴폐적 산물로 간주되었다. 모더니스트의 전통적 사실주의 배경으로 인해 사회주...
참고 자료
구글. 카를 마르크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B%A5%BC_%EB%A7%88%EB%A5%B4%ED%81%AC%EC%8A%A4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 2008,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한길사
조지 리처(George Ritzer), 2016, 『사회학이론』. 한올출판사
김도혁. "맑스의 유물론적 역사이해의 형성과정." 국내석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6. 전라남도
김지윤. (2021). 사회주의 고전 읽기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과 세 가지 구성 부분》 마르크스주의를 명쾌하게 정의하다. 마르크스21,(41), 137-145.
김부기, (2006),『마르크스의 인본주의적 변증법』
벤파인⦁알프레도 새드필호, 2006년,『마르크스의 자본론』
장춘익, (2006),『역사유물론과 역사유물론의 재구성』
정성훈, (2006),『역사유물론 비판과 ‘교류형태’로서의 코뮤니즘』
Sargent, Lyman Tower. (1994). 『현대사회와 정치사상』. 부남철 역. 파주: 한울아카데미.
문성훈, (2005). 『시대와 철학 16권 3호-노동운동의 이념적 자기반성을 위하여』. 파주: 동녘.
김세균 (1989), 『마르크스의 국가관』. 한국철학회.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2005), 『공산당 선언』. 서울: 새날
윤소영, (2009),『마르크스의자본』,공감
Alex Callinicos, (2000),『마르크스의 사상』, 북마스
박호성 (2000). 『유토피아로서의 마르크스주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박호성 (2005). 『사회 민주주의의 역사와 전망』, 서울: 책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