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세계영화기행 보고서
1.1. 서론
나는 세계 영화사의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 이론'과 '카니발 이론'을 이용하여 2014년 4월 30일에 개봉한 영화 '역린'에 대하여 분석을 하겠다. 우선, '몽타주 이론'을 알아보기 전에 '몽타주'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몽타주(Montage)'는 프랑스의 '몽토르(Montor), 모으다, 합치다'의 뜻으로 건축용어로 사용 되었다. 지금은 의미보다는 다양한 벽돌을 쌓아 멋진 건물을 지어 올리듯, 영화의 'A'쇼트와 'B쇼트'를 이용해 새로운 뜻과 의미 'C'를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진다. 또한, 각기 다른 두 개의 쇼트가 서로 연결되면서 그 본래의 의미보다 두 쇼트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의미가 더 부각되어서 인식하게 된다는 것으로, 이러한 몽타주 이론은 크게 운율, 율동, 음조, 배음으로 나뉘는데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영화를 더욱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다.
1.2. 역린 영화 분석
1.2.1. 몽타주 이론의 운율
영화 '역린'에 나타난 몽타주 이론의 운율은 주인공들의 심리적 변화와 갈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조가 암살의 위협을 받고 힘든 길을 걷고 있을 때, 안정적이고 자신들을 위해서만 사는 노론들, 정순왕후의 권력의 힘을 회상할 수 있는 비슷한 길이의 쇼트를 계속 반복하여 어떠한 대사 하나 없이 주인공들의 심리적 변화와 갈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마치 예전에 보았던 영화 '최종병기 활'에서 갑작스러운 위기를 맞이하여 가장 소중한 것을 지키기 위한 사상 최대의 활 전쟁을 벌이는 것과 같이 주인공들의 대조적인 변화와 갈등을 엿볼 수 있다""
1.2.2. 몽타주 이론의 율동
몽타주 이론의 율동은 빠른 속도로 이어지는 쇼트들의 변화와 대조로 인해 관객에게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영화 '역린'에서는 갑수 역할의 정재영과 을수 역할의 조정석이 조재현의 눈을 피해 서로의 이름을 만들고 갈라놓는 시간에서도 을수를 챙기는 모습에서 빠른 속도로 가위바위보의 결과를 훔쳐서 자신을 희생하는 장면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자신을 희생하는 모습에 어린 을수는 '왜 그렇냐는'식의 표정을 지으며 공포에 찬 자신의 모습을 원망하기도 하였고, 다 큰 을수가 정조를 살인하기 위해 궁에 입궐하면서 마지막에 갑수의 존재를 알아차리면서도 후회의 표정을 짓게 되면서 혈육은 아니지만 형제의 사랑과 희생을 통해 감동을 주게 되는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되는 영화였다. 이처럼 빠르게 전개되는 편집과 인물들의 배우의 연기로 인해 관객에게 강렬한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이 몽타주 이론의 율동이라고 할 수 있다."
1.2.3. 몽타주 이론의 톤
궁궐의 배경과 을수가 사는 동네의 배경은 확연한 차이가 난다. 정조가 거주하는 궁은 다채로운 색상과 파란하늘, 깨끗한 의복들, 그리고 다채로운 음식들이 나타나면서 생동감 넘치는 모습을 빠른 쇼트변경으로 더욱 강조해 주었다. 이에 반해, 어린 시절의 갑수, 을수, 그리고 성인이 된 을수가 지내고 움직였던 마을은 항상 힘없고 공포스러운 모습, 더러운 모습을 연상시키면서 서로서로를 경계하는 눈빛을 통해 느린 쇼트변화를 보여주며 시간이라는 재화의 양면성을 더욱 강조해주었다. 다만 을수가 자신의 짝인 여자를 만나며 회상하던 계곡에서는 을수의 인간적인 심리를 담은 배경이 될 수 있었다.
1.2.4. 몽타주 이론의 배음
정조가 살해의 위협에서 목숨을 핍박받을 때, 자신의 의복을 갈아입을 시기가 있었다. 평소라면 그냥 갈아입었을 옷을, 자신의 상궁 중 한 명이 정순왕후의 계획을 의복에다 그려 정조가 눈치 챌 수 있게 의복을 띄어 걸어놓았다. 단순한 의복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전체적 반전을 처음으로 느끼게 할 수 있는 영화 내 가장 크나큰 반전영상을 담은 부분이다. 이는 영화의 전체적인 반전을 내포하고 있어 관객들이 큰 의외성을 느끼게 할 수 있는 배음의 효과를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1.3. 카니발 이론
카니발 이론은 러시아 문학이론가 미하일 바흐친이 제시한 개념으로,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 민중문화 속에 녹아있는 축제와 웃음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