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서울 성모병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가톨릭서울 성모병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호스피스 개요
1.1. 호스피스의 정의
1.2. 호스피스의 기본개념
1.3. 호스피스의 어원
1.4. 호스피스의 역사
1.4.1. 고대
1.4.2. 중세
1.4.3. 근세(현대)
1.5. 국내 호스피스 역사
1.6. 호스피스 케어 대상자
1.7. 전통적 의료 vs 호스피스
1.8. 국내 호스피스 전망과 실정

2.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
2.1. 선정 이유
2.2. 운영 방식
2.3. 병상 종류
2.4. 간호사 근무체계
2.5. 간호사 근무 현황
2.6. 간호사 근로 조건
2.7. 간호사 임금 실태
2.8. 간호사 복리후생
2.9. 연간, 월간 입원환자 수
2.10. 사망 환자 수
2.11. 환자 입원비
2.12. 병상 수
2.13. 병상 외 시설
2.14. 연혁

3. 전략적 간호관리
3.1. 보건의료기관 분석
3.1.1. 서울대학교병원
3.1.2.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3.1.3. 삼성서울병원
3.2. 미션과 비전 비교
3.3. 미션 및 비전 개발 고려 사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호스피스 개요
1.1. 호스피스의 정의

호스피스란 "죽음이 가까운 환자를 입원시켜 위안과 안락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특수 병원"이다. 말기 환자들에게 육체적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치료를 제공하고, 심리적 및 영적으로 도움을 주어 인간다운 존엄한 마지막 삶을 보내도록 하는 것이 호스피스의 목적이다. 즉, 호스피스는 더 이상 치료할 수 없는 말기 환자들이 편안하고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1.2. 호스피스의 기본개념

호스피스의 기본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의학적으로 치유불가를 선고받고 임종을 앞둔 말기환자(주로 암환자)들에게 기독교적 관점에서 전인적(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인 보살핌을 제공해줌으로써 죽음의 공포대신에 내세에 대한 확신과 소망을 가지고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남은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선종 봉사이다.

둘째, 함께 고통 받고 있는 환자의 가족들에게도 환자의 죽음을 수용하고 사별에 잘 대처하도록 도움을 준다.

셋째, 이 사역은 팀(team) 사역이다. 의사, 간호사, 약사, 성직자, 교수, 사회사업가, 자원봉사자, 사회복지사, 후원가 등이 함께 환자와 그 가족을 돌본다.


1.3. 호스피스의 어원

호스피스의 어원은 라틴어 HOSPES에서 유래되었다. HOSPES는 HOST(접대하는 사람)와 GUEST(손님)의 합성어로, "손님을 맞고 돌보며 환대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빌리 그래함 목사는 저서에서 HOSPICE란 HOSPITUM(사랑방)에서 유래되었다고 언급하였다. 이처럼 호스피스 어원은 "손님을 맞아들이고 돌보는 장소"라는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1.4. 호스피스의 역사
1.4.1. 고대

고대 그리스 문헌에 의하면 티타누스(Titanus)에서는 그들의 신전 중 하나를 치료의 신 에스큘라피우스의 신전으로 봉헌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로마를 지배하게 된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에스큘라피우스를 폐쇄하도록 하고 노소코메이아(Nosokomeia)라고 하는 기독교적 진료소를 설치하였으며, 이곳에서 성지를 순례하는 나그네들이나 병들어 죽어가는 자들을 보살피도록 하였다. 칼카타의 마틴 감독은 대성당 건물에 붙은 부속실을 많이 만들게 하고 가난하고 병든 자들을 돌아보게 하였다. 4세기 후반 로마의 한 귀부인은 노소코메니아에서 환자와 나그네를 돌보는 일을 보고 큰 감동을 받은 후 돌아와서 사재를 털어 진료소를 세웠는데 이것이 본격 호스피툼(Hospitium)의 시작이 되었다."이다.


1.4.2. 중세

중세 시대 호스피스의 발달은 타계적 신앙에 기인한 바가 크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중세 시대에는 자연히 경건과 종교적 열정이 뜨거웠다. 이 시기 성지순례는 경건의 한 조건이 되었는데, 예수님의 무덤이 있는 예루살렘을 순례하는 것은 성지순례의 중요한 목적이었다. 그러나 셀주쿠족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성지순례자들을 괴롭히면서 상황이 악화되었다. 이에 따라 수도원이 성지순례자들의 숙식을 제공하고 병든 자들을 치료하는 등 피난처의 기능을 하게 되었다. 특히 수도원에서는 임종자에 대한 장례까지 치러주었다. 이처럼 중세 시대 호스피스는 기독교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에 의해 발전하였으며, 성지순례자와 같은 환자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보살핌을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1.4.3. 근세(현대)

17세기에는 프랑스 독일, 영국을 중심으로 "자선 수녀회"(Sister of Charity) 활동을 했다. 19세기에는 아일랜드(더블린)에서는 채리티 수녀원이 "성모 선종원" 개설했다. 20세기에는 영국(런던)에 "성.요셉 선종원"(St.Joshep Hospice)가 개설,운영 되면서 비로소 현대적호스피스의 초석이 놓여지게 된다. 성.크리스토퍼 선종원(St.Chistopher's Hospice)은 성.요셉 선종원에서 자원 봉사자로 섬겨오던 의사 시실리 손더스(DR.Cicely Saunders)는 그간의 경험을 살려 호스피스의 이론과 원칙들을 정립, 발전시키고1 976년에 런던 교회에 성.크리스 토퍼 수양관을 세움으로써 현대 호스피스시설의 모델이 되었다. 즉, 지금까지의 호스피스시설이 일번적으로 어둡고 침침한 분위기였던 것에 비하여 이곳에서는 마치 가정과같이 발고 명랑한 분위기를 제공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정서상 안정감을 갖도록 하였다. 심지어는 애완동물의 동거도 허락할 정도이다.1996년 현재까지 약17000 여명의 평안한 임종을 도왔다고 한다. 세계적으로는 영국이 200 여개 미국이 1200개의 호스피스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1.5. 국내 호스피스 역사

국내 호스피스 역사는 1963년 "마리아 작은 자매회"(강릉, 갈바리의원 14개 병상)을 시작으로, 1982년 강남성모병원이 호스피스 병실을 개설하였으며, 1986년 이화여대에서 프로그램을 도입하였고, 1987년 연세대에서 호스피스 케어를 시작하였다. 90년대 들어서부터는 인식의 급속한 확대로 2002년 현재 전국적으로 약 60여 단체가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종류로는 병원호스피스, 시설 호스피스, 가정 호스피스, 주간 호스피스(Day Care)- 본회 천사운동 등이 있다.


1.6. 호스피스 케어 대상자

호스피스 케어 대상자는 현대 의학적으로 치유불가를 선고받고 임종을 앞둔 말기환자, 주로 암환자이다. 이들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전인적(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인 보살핌을 제공받으며, 죽음의 공포 대신에 내세에 대한 확신과 소망을 가지고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남은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도움을 받는다. 또한 함께 고통받고 있는 환자의 가족들에게도 환자의 죽음을 수용하고 사별에 잘 대처하도록 도움을 준다. 호스피스 케어 대상자는 암으로 진단받은 후 수술이나 항암요법 등의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전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 의사의 진단 결과 6개월 내지 1년 내 사망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의사의 동의나 의뢰가 있는 경우, 환자나 가족이 증상완화를 위한 비 치료적 간호를 받기로 결정한 경우, 가족이나 친지가 없어 호스피스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선정된 경우 등이다."


1.7. 전통적 의료 vs 호스피스

전통적 의료와 호스피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치료 목적"이다. 전통적 의료는 질병의 완치를 목적으로 하지만, 호스피스는 말기 환자의 "고통 경감"에 초점을 맞춘다.

전통적 의료는 질병을 적극적으로 치료하여 완치를 목표로 하는 반면, 호스피스는...


참고 자료

김성근. (2016). 조직미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RISS.
신현종. (2003). 병원조직의 미션(Mission)과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RISS.
진소진. (2012). 일터학습이 병원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 비전, 상사 비전의 조절 효과. (석사학위,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RISS.
Ireland, R. D., & Hirc, M. A. (1992). Mission statements: Importance, challenge, and recommendations for development. Business Horizons, 35(3), 34-42.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홈페이지 https://www.cmcseoul.or.kr
단국대학교병원 홈페이지 https://www.dkuh.co.kr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홈페이지 https://www.newyjh.com
사측제공문서
서울대학교병원 웹사이트, http://www.snuh.org/content/M005001.do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웹사이트, https://www.cmcseoul.or.kr/hospitalinfo.vision.sp
삼성서울병원 웹사이트,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info/introduce.do?sub=vision
이종수, 2009,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