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강화의 개념
1.1. 반응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과정
반응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과정이란 특정한 행동이나 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련된 자극을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 형성이론에 따르면, 강화(reinforcement)는 행위와 결과의 연결관계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을 촉진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억제하는 영향력 과정이다.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화의 기본 원리가 '강화'라고 보았는데, 강화란 어떤 특수한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을 의미한다. 강화는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로 구분된다. 긍정적 강화는 행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여 그 행위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며, 부정적 강화는 불쾌한 결과를 회피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스키너는 이러한 강화의 원리를 적용하여 정신병원 환자들의 행동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행동변화가 환경요인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반응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행동의 결과에 대한 강화를 제공함으로써 그 행동이 반복되도록 유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2. 강화물은 그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자극
강화물은 그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자극이다.
행동에 대한 결과가 보상적이라고 여겨지면 그 행동은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때 보상적인 자극이 바로 강화물이다. 강화물은 특정 행동을 증가시켜 그 행동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강화물은 특정 행동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자극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숙제를 잘 하면 부모가 좋아하여 칭찬을 해주는 경우 칭찬이 강화물이 된다. 아이는 부모의 긍정적인 반응에 만족감을 느끼고, 이에 따라 숙제를 더 열심히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강화물은 행동을 증가시키는 자극으로 작용하여 특정 행동이 반복되도록 한다.
2.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
2.1. 긍정적 강화
2.1.1. 긍정적 강화의 정의
긍정적 강화란 바람직한 행위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행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긍정적 강화물은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주어졌을 때, 또는 그 상황에 가해졌을 때, 그 행동이 장차 일어날 확률을 높이는 자극물로서, 때로는 정적 강화자극이라고도 한다. 행위의 결과를 보상하는 칭찬, 승진 등의 바람직한 행위의 반복을 가져오게 되면 긍정적 강화 요인이 되는 것이다.
2.1.2. 긍정적 강화물
긍정적 강화물이란 바람직한 행위를 유발하기 위해 제공되는 보상 또는 자극을 의미한다. 긍정적 강화물은 특정 행동이 발생한 직후에 주어지거나 그 상황에 투입되었을 때, 그 행동이 앞으로도 일어날 가능성을 높이는 자극이 된...